목차
제 1절 공급사슬 및 공급사슬관리의 개념
제 2절 공급사슬관리의 필요성과 채찍효과
제 3절 공급사슬관리 어플리케이션
제 4절 공급사슬관리의 비즈니스적 가치
제 2절 공급사슬관리의 필요성과 채찍효과
제 3절 공급사슬관리 어플리케이션
제 4절 공급사슬관리의 비즈니스적 가치
본문내용
로 변하고 있는 것
- 이른바 네트워크 기반전략에 의한 “가상 기업”의 확대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e-SCM이 활용되어 지는 것임
고객과 제조업체와의 직접거래가 용이하게 함
-기존 중개업자들이 사라지고, 대신 고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새로운 의미의 정보중개자들 등장
-> 정보 중개자들 infomediary
제 4절 공급사슬관리의 비즈니스적 가치
1. 공급사슬관리의 현황
-“대부분의 기업들은 공급사슬의 구성에 있어서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잇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잇지만.
극소수의 기업만이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전체의 공급사슬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잇다.
(C.Fine, MIT Sloan School)”
2. 공급사슬관리시스템의 활용 이점
-공급자와 구매자간의 비협력적, 경쟁적 관계는 Zero Sum 게임의 결과만을 가져오므로
장기적 고나계 강화가 어렵게 됨
-만약 자재,정보,대금의 원활한 흐름이 저해되어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이 증가되면, 자재납품지연, 불량자재납품, 기계고장, 주문취소, 정보오류, 느린정보, 수송사고, 각 단계별 예측오류 등의 문제 발생
-공급사슬관리시스템의 활용 이점
-언제 얼마만큼을 생산, 저장, 이동하여야 하는 가의 의사결정을 지원
-주문관련 의사 소통의 신속화
-주문 상황의 추적 용이
-재고 수준의 모니터링
-재고,운송,창고,관련 비용의 감축
-제품 발송의 추적 용이
-고객 실수요에 기초한 생산계획 수립
-제품 설계의 변경에 대한 의사소통 신속화
-따라서 공급사슬관리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정보공유와 신뢰적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하여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공급의 리드타임 감소 또는 거래 비용의 감소와 같은 효율성 증가의비즈니스적 가치가 있음
3. 아리조나 공공 서비스(Arizona Public Service) 사례
-아리조나 공공 서비스는 공공전력회사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었으나 의회의 규제철폐와 더불어 경쟁체제를 맞이하게 되었음
-따라 심화된 경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음의 과제들을 해결하여야 했음
- 높은 구매 비용 : 총 수입의 33%차지
- 재고의 비효율적 관리 : 20%이상의 재고품목은 중복되었으며,
고가의 변압기 등을 다량의 재고로 보유하고 있었음
-이러한 기존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아리조나 공공 서비스는 공급업체와의 합의를 통합 구매 및 재고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꾀하게 됨
-이는 “전자구매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급업체와 합의된 가격, 품질, 납기를 기준으로 구매를
효율화하는 것으로 하루에 5만~8만 건의 구매 처리를 함으로써 재고의 20%감소하고 구매비용의 5%감소할 수 있었음
-구매리드타임의 혁신적 개선을 이루어 일반구매가 4일, 고속구매가 48시간으로 줄어듦
-공급사슬관리 어플리케이션에는 공급사슬계획 시스템과 공급사슬실행 시스템이 있음
-공급사슬관리가 가지는 비즈니스적 가치는 공급사들과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정보공유와
신뢰적,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하여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거래 비용의 감소와 같은 효율성 증가를 꾀하는 것임.
- 이른바 네트워크 기반전략에 의한 “가상 기업”의 확대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e-SCM이 활용되어 지는 것임
고객과 제조업체와의 직접거래가 용이하게 함
-기존 중개업자들이 사라지고, 대신 고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새로운 의미의 정보중개자들 등장
-> 정보 중개자들 infomediary
제 4절 공급사슬관리의 비즈니스적 가치
1. 공급사슬관리의 현황
-“대부분의 기업들은 공급사슬의 구성에 있어서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잇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잇지만.
극소수의 기업만이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전체의 공급사슬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잇다.
(C.Fine, MIT Sloan School)”
2. 공급사슬관리시스템의 활용 이점
-공급자와 구매자간의 비협력적, 경쟁적 관계는 Zero Sum 게임의 결과만을 가져오므로
장기적 고나계 강화가 어렵게 됨
-만약 자재,정보,대금의 원활한 흐름이 저해되어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이 증가되면, 자재납품지연, 불량자재납품, 기계고장, 주문취소, 정보오류, 느린정보, 수송사고, 각 단계별 예측오류 등의 문제 발생
-공급사슬관리시스템의 활용 이점
-언제 얼마만큼을 생산, 저장, 이동하여야 하는 가의 의사결정을 지원
-주문관련 의사 소통의 신속화
-주문 상황의 추적 용이
-재고 수준의 모니터링
-재고,운송,창고,관련 비용의 감축
-제품 발송의 추적 용이
-고객 실수요에 기초한 생산계획 수립
-제품 설계의 변경에 대한 의사소통 신속화
-따라서 공급사슬관리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정보공유와 신뢰적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하여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공급의 리드타임 감소 또는 거래 비용의 감소와 같은 효율성 증가의비즈니스적 가치가 있음
3. 아리조나 공공 서비스(Arizona Public Service) 사례
-아리조나 공공 서비스는 공공전력회사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었으나 의회의 규제철폐와 더불어 경쟁체제를 맞이하게 되었음
-따라 심화된 경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음의 과제들을 해결하여야 했음
- 높은 구매 비용 : 총 수입의 33%차지
- 재고의 비효율적 관리 : 20%이상의 재고품목은 중복되었으며,
고가의 변압기 등을 다량의 재고로 보유하고 있었음
-이러한 기존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아리조나 공공 서비스는 공급업체와의 합의를 통합 구매 및 재고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꾀하게 됨
-이는 “전자구매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급업체와 합의된 가격, 품질, 납기를 기준으로 구매를
효율화하는 것으로 하루에 5만~8만 건의 구매 처리를 함으로써 재고의 20%감소하고 구매비용의 5%감소할 수 있었음
-구매리드타임의 혁신적 개선을 이루어 일반구매가 4일, 고속구매가 48시간으로 줄어듦
-공급사슬관리 어플리케이션에는 공급사슬계획 시스템과 공급사슬실행 시스템이 있음
-공급사슬관리가 가지는 비즈니스적 가치는 공급사들과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정보공유와
신뢰적,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하여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거래 비용의 감소와 같은 효율성 증가를 꾀하는 것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