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디자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디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예 디자인
근대공예
현대공예

패션디자인
개화기
양장점시대
맞춤복시대
살롱시대
기성복시대

본문내용

I. 공예 디자인

1.근대 공예 (19세기~ 1945년)

갑오경장(1894) :
한국공예의 새로운 국면
한일합방 이후 일본인들이 조선의 골동품을 선호
- 나전칠기, 도자기, 목공예가 성행

세계 박람회 출품 (1893년 시카고, 1900년 파리)
공예에서 근대성을 자각하게 된 계기
- 목기, 철기, 도자기, 유기, 악기 등을 출품, 낙후성을 인식

국가적 개선 방안

1902년 : 농상공부령 임시 박람회사무소 규칙 제정
- 장인들이 만든 여러분야의 공예품을 사들여 품평과
시상을 통한 공예 활성화 추구

1906년 : 농상공학교, 관립공업전습소 설립

1908년 : 창덕궁에 한성 미술품제작소 설립

1920년 : 이왕직 미술품 제작소로 개정

일제 강점기

1920년대 :
숭문천기 사상으로 인해 장인들에 의한 전통공예가 활성되지 못함.
근대 사회로 자연스럽게 전승되기 보다 서민들의 가수용이나 순박
한 민예적인 생활용구로 명맥유지

1930년대 :
일본 유학파 강창원, 이순석, 한흥택, 유강렬, 김재협이 활동
어려운 시대상황에서 공예의 전통성과 민족성을 고수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평가됨. 그러나 창의성에 별다른 기여 못함.


근대 한국 공예의 특징

역사적 시련으로 인해 문화적인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함
  • 가격1,2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8.2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874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