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literatur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literatur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나리오 작가(The Screenwrite)

2. 영화 대본(The Screenplay)

3. <북북서로 기수를 돌려라> : 시나리오

4. 비유(Figurative Comparisons)

5. 시점(Point of view)


6. 문학 작품의 각색

본문내용

접근하여, 원천으로 삼은 문학 작품을 영화의 입장에서 충실하게 재현하려 한다. 앙드레 바쟁은 충실한 각색자를 원작에 상응하는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번역자에 비유하였다. 물론 바쟁은 문학과 영화 간에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road'를 ’strada' 혹은 ‘strasse'로 바꾸는 번역자의 문제는 언어를 영상으로 변화시키려는 영화 감독의 문제만큼 통렬한 것은 아니다.
예) 리처드슨의 <톰 존스> - 존 오스본의 시나리오는 소설의 플롯 구조를 대부분 간직하고 있으며, 주요 사건과 대부분의 주요 인물을 그대로 등장시킨다. 심지어 재치 있는 전지적 화자까지도 그대로이다. 그러나 리처드슨의 영화는 소설을 그림으로 보여 주는 것만은 아니다. 우선 필딩의 원작 소설은 영화화하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사건으로 가득 차 있다. 그래서 수많은 여인숙 장면은 그 중심적인 에피소드인 업톤 여인숙에서의 장면으로 집약되어 있다. 소설에서는 부차적이었던 두 가지 측면이 영화에서는 확대되었다. 그것은 톰과 워터즈 부인 사이의 유명한 식사 장면과 여우 사냥 이야기이다. 사실 오스본은 원작 소설 전체를 통해 필딩이 가장 즐겨 쓴 메타포의 원천 중의 두 가지가 식사와 사냥이었기 때문에 이런 장면을 포함시킨 것이다. 오스본은 이런 분산된 메타포를 근본적인 재료로, 혹은 바쟁의 용어로 하면 영화적 ‘등가물’로 사용한 것이다.
(3) 축자적 각색
축자적 각색은 희곡을 원작으로 삼는 경우에 한정된다. 우리가 이미 보았듯이, 희곡의 두 가지 기본적 양식인 행동과 대사는 영화에서도 발견되는 것이다. 희곡을 영화화하는 데에 주요 문제는 언어보다 시공을 다루는 면에 있다. 만약 감독이 롱 쇼트에 카메라를 두고, 편집 기법을 씬을 바꿀 때에만 국한시켜 사용한다면, 그 결과는 원작과 유사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연극을 녹화하길 바라는 감독은 거의 없을 것이며, 또한 영화 감독이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런 식으로 영화화하는 동안에 원작의 흥미가 많이 상실될 것이고, 영화라는 매체의 이점을 살리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는 특히 클로즈업과 편집을 통한 쇼트의 병치에 의해, 연극에 여러 차원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런 기법은 무대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므로, 영화에서의 ‘축자적’ 각색이라는 것도 원작과는 어느 정도 차이가 나게 마련이다.
연극 대사가 영화에서 그대로 보존될 때도 종종 있지만, 관객에게 미치는 효과에서 차이가 난다. 무대에서 대사의 의미는, 작중 인물이 동일한 대사에 관객과 함께 반응하면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무대 위에 있다는 사실로 결정된다. 이와는 달리 영화에서 시간과 공간은 각각의 쇼트에 의해서 잘게 나뉜다. 나아가서 문학적인 영화도 주로 시작에 의존하며 부차적으로만 언어에 의존하므로, 모든 대사는 영상에 의해 그 의미가 가감 수정된다. 그렇다면 대략적 각색, 충실한 각색, 축자적 각색 사이의 차이는 근본적으로는 정도의 문제인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서 영화적 형식은 원작의 문학학적 내용을 바꾸어 놓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