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치료학] 신장생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치료학] 신장생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

: 1개당 약 150g 정도, 100만개의 nephron.

1. 네프론의 구조
신소체(renal corpuscles)=(glomerulus + Bowman\'s capsule) + tubules
1) 신소체의 구조
afferent arteriole / efferent arteriole
Bowman\'s capsule / peritubular capillary
2) 세뇨관의 구조
proximal tubule / loop of Henle
distal tubule / collecting duct
renal pelvis
3) 신장의 신경 지배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으나 부교감신경 지배는 확실하지 않다.
.
.
.
신장의 혈액유통

1. 신장에 분포된 혈관
renal artery → interlobar arteries → arcuate arteries → interlobular arteries → 수입동맥 → 수출동맥 → 세뇨관 주변 모세혈관 → interlobular veins → arcuate veins → interlobular veins → 대정맥

2. 신장 혈액유통량의 조절
1,200ml/min, 심박출량의 25%.
250ml/min 까지 감소할 수 있다.

1) extrinsic regulation
: 신장에 분포되어 있는 자율신경계에 의존
교감신경이 흥분되면 혈관을 축소시켜 혈액유통량 감소
.
.
.
2) intrinsic regulation
자동조절, 혈압이 80mmHg~180mmHg 사이에서 신장 혈액유통량이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고, 사구체 여과속도도 일정하게 유지.
혈관의 저항과 압력이 평형하게 상승.
(1) cell separation theory: 혈압이 높아지면 혈구의 수가 많아져서 점도가 증가하여 혈관에 대한 저항이 생긴다 → 식염수에 의해서도 나타나므로 잘못된 학설로 생각됨.
(2) 신장 내압설: 혈압의 상승으로 사구체 여과량이 많아지면 신장의 조직압이 높아짐으로써 혈관의 저항이 커지는 결과로 일어난다는 이론.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3.08.28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875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