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인척 간의 호칭사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친인척 간의 호칭사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친인척 호칭과 연관된 어휘

제 2절 상황에 따른 호칭과 호칭어 오류

본문내용

외사촌의 며느리
외당질부
진외당숙
아버지의 외사촌
진외당숙(陳外堂叔)
2) 호칭어 오류
사전
실제의미
오류사항
삼촌-댁(三寸宅):
삼촌의 아내란 뜻으로 작은어머니를 낮추어 이르는 말.
삼촌-댁(三寸宅):
숙부가 사는 집.
숙모는 어머니와 같은 반열의 어른이며 ‘작은어머니’란 호칭과 ‘숙모’란 지칭이 있다. 처남댁 같은 것은 딴 호칭이 없고, 존속이 아니므로 처남댁이라고 불러도 되겠지만, 숙모를 삼촌댁이라고 하면 말도 안 된다.
이질(姨姪):
아내의 자매의 아들딸
이질(姨姪): 여형제끼리 그들의 자녀를 서로 이르는 말
아내의 여형제의 아들딸은 처이질이다. 남자에게는 이질이 없다
내종(內從):
고종(姑從)을 외종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예전에는 외삼촌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내종(內從):
외사촌. 고종이 외종이고 외종의 대어(對語)가 내종이다
- 아들이 낳은 자녀나 딸이 낳은 자녀들이나 같은 손자인데, 출가외인이 된 딸이 밖에서 낳았기 때문에 밖에서 난 손자란 뜻으로 외손(外孫)이라고 한다.
- 형제자매의 자녀는 같은 조카이지만 출가한 자매가 밖에서 낳은 조카는 밖에서 난 조카란 뜻으로 외질(생질의 文語)이라고 한다.
- 숙부의 자녀나 고모의 자녀는 같은 사촌이지만 출가한 고모가 낳은 자녀는 밖에서 난 사촌이란 뜻으로 외종이라고 한다.
현조(玄祖): 오대조
현손-증손-손-자-(부)기신(자)-부-조-증조-고조에서 대칭되는 말끼리 짝을 지우면 부자-조손-증조손-고조손이 된다. 현조는 대칭으로 짝이 없고, 사용되지 않는 말이다. 고손은 높다는 뜻을 가진「고(高)」자를 피하여 현손이라고 하지만 조상을 현조라고 할 이유가 없고, 「현(玄)」은 멀다는 뜻이니, 현조(玄祖)는 불경한 말이다. 고조의 아버지를 오대조라고 하지 현조라고 하지 않는다.
사전
실제의미
오류사항
내질(內姪): =처조카
내질(內姪):
「1」고모가 친정조카를 이르는 말
「2」아내의 조카
고모는 친정 조카를 내질(內姪)이라 하고, 외숙은 생질을 외질(外姪)이라고 한다. 내권(內眷), 내조(內助)의 內는 아내를 뜻하지만 내질(內姪)의 내(內)는 친정을 의미한다
사돈(査頓):
「1」혼인한 두 집의 부모들 사이, 또는 그 두 집안의 같은 항렬 되는 사람들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이르는 말
「2」혼인으로 맺어진 관계, 또는 혼인관계로 척분이 있는 사람.≒인친(姻親).
사돈(査頓):
혼인한 두 사람의 부모들끼리 또는 두 사람의 조부모, 숙부모, 종조부모, 종숙부모가 위계가 같은 상대방을 부르는 말
아들의 빙부모와 딸의 시부모; 손자의 장조부와 손녀의 시조부모; 조카의 빙부모와 질녀의 시부모; 종손자의 장조부모와 종손녀의 시조부모; 종질의 빙부모와 종질녀의 시부모를 결혼한 두 사람의 부모, 조부모, 숙부모, 종조부모, 종숙부모가 위계가 같은 상대방을 사돈이라 부른다.
「1」의 뜻풀이에서 사돈집의 위계를 항렬이라고 하면 안 된다.항렬은 동성동본의 대수(代數) 위계(位階)에 쓰는 말이다. 두 집안에서 위계가 같은 사촌까지만 사돈이라고 한다. 사촌을 넘으면 사돈이라고 하지 않는다.
「2」의 뜻풀이에서 혼인관계로 척분이 있는 사람 모두를 사돈이라고 하지 않는다. 사돈의 아랫대를 사하생(査下生)이라하고 사돈의 아랫대끼리는 서로 사형(査兄)이라고 한다. 전에는 편지에서 사돈을 사형(査兄)이라고 하고 자기를 낮추어 사제(査弟)라고 했다. 지금은 편지에서도 사돈을 사형(査兄)이라고 하지 않고 바로 「사돈」으로 호칭하는 것이 맞고, 자기를 낮추어 사제(査弟)라고 해도 된다. 「○○ 사돈 올림」또는 「사돈 ○○○ 올림」이라고 해도 된다. 앞의 ○○은 지명이고, 뒤의 ○○○은 성명이다
사전
실제의미
오류사항
사부인(査夫人):
안사돈의 높임말
사부인(査夫人):
안사돈을 지칭하는 말
査夫人은‘사돈의 부인’이란 뜻이다. 안사돈은 사돈의 부인밖에 못되는 존재가 아니고, 안사돈도 당당한 사돈이다. 그런데 안사돈과 밭사돈은 과거에는 內外를 하던 어려운 사이므로 서로‘사돈어른’이라고 부른다.
안사돈을 삼자에게 査夫人으로 지칭할 수는 있어도 대면해서 호칭하는 말로는 부당한 말이다
매부(妹夫):
「1」손위누이나 손아래누이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2」친정 언니나 여동생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매부(妹夫):
여동생의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매부(妹夫):「1」의 뜻풀이를 틀렸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부적절한 뜻풀이다. 누나의 남편은 자형(兄)이라고 하고, 여동생의 남편은 매부(妹夫)라고 구분해서 말하는 것이 옳다.「남매(男妹), 매가(妹家),누이 좋고, 매부 좋고」에 있는 매(妹)는 누나와 여동생이 다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매부(妹夫)를 손위누이나 손아래누이의 남편을 통칭해도 틀렸다고 하기는 어렵다는 말이다.
서울에서는 매(妹)가 누나와 여동생을 통칭하고 있지만, 매(妹)는 여동생이고, 자()는 누나이므로 자형(兄)과 매부(妹夫)로 구분하는 것이 옳다
표숙(表叔): =외삼촌
표종=외종을 외사촌이라고 잘못 보는 데서 외숙(外叔)까지 표숙(表叔)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표(表)는 외(外)와 같은 뜻이므로 외숙을 표숙이라고 해도 될 것 같지만, 그렇게 말을 만들면 안 된다. 외숙이란 말이 있는데, 논리에 맞지 않게 표숙이란 말을 만들면 안 된다.
교객(嬌客):
사위를 친근하게 이르는 말
교객(嬌客):
자기 사위를 이르는 말.
여서(女壻)
사위를 친근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하면 그 사위가 자기 사위인지, 남의 사위인지, 아니면 통칭인지 분명하지 않다.「척독대방(尺牘大方」에「교객: 자기 사위를 이름(嬌客:己壻稱) 」으로 되어 있다. 한문사전에도「교객(嬌客): 자기 사위를 이르는 말.」로 되어 있다. 자기 사위임을 분명하게 나타내야 하겠다
한국문화의 특장점인 가족문화 가운데 특별히 호칭이 깊은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이제 잘 활용하여 품위 있는 인간관계를 유지해 나가자.
‘동서’는 어떨 때 불러야 할까?
- 한글발음은 같지만 한자는 다름에 유의해야 한다.
동서(同棲) : 보금자리 서, 깃들 서, 형제의 아내끼리 부른다
동서(同壻) : 사위 서 / 자매의 남편끼리 부른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