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2)목적, 의의
2) 본문:
2.1)수리체계의 정의
2.2)수리체계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2.2.1)관개에 대한 논쟁
2.2.2)비스포겔의 “수력사회론”
2.3)타 문명의 수리체계
2.3.1) 이집트의 수리체계
2.3.2) 메소포타미아의 수리체계
2.3.3) 인더스의 수리체계
2.4)중국의 수리체계
2.4.1)중국수리체계의 특징과 타 문명 수리체계와 다른 점
2.4.2)시대별 중국의 수리체계
2.4.3)상황별 중국의 수리체계
2.4.4)몇 개 특징적인 수리체계의 예
3) 결론:
4) 참고문헌
1.2)목적, 의의
2) 본문:
2.1)수리체계의 정의
2.2)수리체계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2.2.1)관개에 대한 논쟁
2.2.2)비스포겔의 “수력사회론”
2.3)타 문명의 수리체계
2.3.1) 이집트의 수리체계
2.3.2) 메소포타미아의 수리체계
2.3.3) 인더스의 수리체계
2.4)중국의 수리체계
2.4.1)중국수리체계의 특징과 타 문명 수리체계와 다른 점
2.4.2)시대별 중국의 수리체계
2.4.3)상황별 중국의 수리체계
2.4.4)몇 개 특징적인 수리체계의 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공고히 하기 위해 수나라 정부는 운하건설을 전면적으로 계획하는 한편 대규모의 운하건설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 거대한 공정은 605년 수양제가 마무리하여 수양제는 운하를 건설한 황제로 역사에 남게 된 것이다 서영빈, 같은 책, pp247-249.
. 대운하의 굴착에는 동원된 인원만도 백만 명에 이르렀으며 아녀자까지도 굴착에 참가하게 되면서 백성들은 생활을 영위해나갈 수 조차 없었다. 하지만 이 상황 하에서도 수양제는 3차례의 대대적인 운하순유 (배를 타고 운하를 따라 유람하는 것)를 하여 이에 쓰인 재물이 엄청났고 백성들의 원성이 매우 컸다. 따라서 이런 수왕조의 폭정과 가렴주구로 인해 전국적인 인민봉기가 일어나고 따라서 수왕 조는 40여년밖에 안 되는 왕조역사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왕웨이등, 같은 책, pp385-392.
. 그러나 대운하의 굴착은 신속한 남북경제의 발전을 도모하였으며 광대한 연안지역의 경제발달은 줄곧 경제의 명맥인 운하에 의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만약 수양제가 운하순유하지 않고 재물을 탕진하지만 않았다면, 수 왕조는 좀 더 오래 존속할 수 있었을 것이며 수양제 또한 우와 견줄 만큼 탁월한 치수사업을 하였다고 평가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대운하의 개통은 운하의 연안의 경제발전을 추진하며 특히는 연안도시의 경제와 문화의 발전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운하의 개통이 있었기에 운하연안도시들로 하여금 처음으로 성벽이 도시의 경제발전에 대한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으며 처음으로 ‘중국도시혁명’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대운하의 작용은 봉건제국의 내부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동방세계가 외교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일환이 되었다. 어떻게 보면 운하는 고대 “실크로드”의 연장으로 볼 수가 있다. 이는 중국이 우방인 조선과 일본과의 연계도 좀 더 긴밀해 지게 하였다. 이는 중국이 통일된 국면에서만 나타날 수 있었다 http://zhjyx.hfjy.net.cn/Resource/Book/Edu/JXCKS/TS011100/0029_ts011100.htm
. 그 예로 당 왕조를 들 수가 있는데 대운하는 당 왕조에서 엄청난 도움을 주었으며 중국문명역사상 가장 빛나고 강대했던 시기라고 일컬어지는 당 왕조의 경제발전과 외교에 크나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대운하는 당 왕조의 생명줄 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왕웨이등, 같은 책, p392.
.
하지만 운하는 이렇듯 좋은 면만 있는 것도 아니었다. 운하는 배가 뜰 수 있는 물높이를 유지하여야만 했으므로 자연히 건조할 때도 많은 물을 필요로 하게 되며 따라서 농경지용수와 경쟁을 하게 된다. 또한 우기에는 자주 범람하여 주위의 논에 나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운하에 대한 수리시설체계에도 지속적인 보수와 유지비용이 필요하게 되기도 한다.
결론:
우리는 이번 논문에서 총체적으로 수리체계란 무엇인가로부터 중국의 수리체계에 이르기까지 알아보았다. 우리는 수리체계의 개념과 수리체계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그중에서도 비스포겔의 수력사회론과 관개문명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이에 기초하여 고대4대문명발상지에서의 수리체계와 중국의 수리체계를 비교해 보았고 나아가서 중국의 수리체계의 특점에 대해 시대별과 상황별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중국의 주요한 몇 개 수리체계를 알아봄으로써 그 수리체계들이 중국문명에 끼친 정치적, 경제적인 영향을 논했다.
인류문명의 역사는 물과의 투쟁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강의 범람과 극심한 가뭄이라는 자연의 도전조건에 대응하여 인류는 물을 다스리고 이용하는 응전의 과정을 통하여 문명을 발달시켜 왔다. 특히 중국의 수리체계는 고대의 첨단기술이었다. 수리체계의 발전은 경제, 문화 그리고 정치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곧 문명의 원류가 되었다. 즉 중국의 수리체계는 분열과 통일에 직접적으로 영향 주며 중국의 정치적 발전을 촉진하였고 관개와 운송을 통해 문명의 발전에 경제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번 발표를 준비하면서 문명의 발달에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볼 수 있는 수리체계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진 것 같다. 다만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더욱 심충적인 분석을 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참고문헌:
1) 왕웨이외(박점옥역), 손에 잡히는 중국역사의 수수께끼, 대산출판사, 2001.
2) 서영빈, 중국의 불가사의, 대산출판사, 2001.
3) 이충희, 칼 A. 비트포겔 저 <동양적 전제주의> 동서 문화비교의 고전, 한국논단, 1991, Vol.28.
4) 이석희, 서양학자들의 동양사회국가관에 관한 고찰 - 베버 , 마르크스 , 비트포겔을 중심으로, 1994, 한국행정사학지, Vol.3.
William, W. Kelly, Concepts in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Irrig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Vol 85, No 4, 1983.
5) Geertz, Clifford, The wet and the dry; Traditional Irrigation in Bali and Morocoo, human Ecology 1:23-39.
7) Glick, Thomas, irrigation and society in Medieval Valencia, Cambridg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ty Press,1970.
8) 李瑟, <中國科學技術史>,科出版社、上海古籍出版社, 第一卷, 第7,1990.
9) 朱西, <中古代著名水利工程>, 商印, 1997.
10) http://www.wenyi.com/history/read.asp?id=221
11) http://zhjyx.hfjy.net.cn/Resource/Book/Edu/JXCKS/TS011100/0029_ts011100.htm
12 http://www.water.or.kr/waterstory/sense/wst_sen_view.html?seq=11&Page=12&No=11&count=250&search=&select=&keyword=&read_cnt=564
13) http://www.chinaculture.org/gb/cn_zggk/node_1975.htm
. 대운하의 굴착에는 동원된 인원만도 백만 명에 이르렀으며 아녀자까지도 굴착에 참가하게 되면서 백성들은 생활을 영위해나갈 수 조차 없었다. 하지만 이 상황 하에서도 수양제는 3차례의 대대적인 운하순유 (배를 타고 운하를 따라 유람하는 것)를 하여 이에 쓰인 재물이 엄청났고 백성들의 원성이 매우 컸다. 따라서 이런 수왕조의 폭정과 가렴주구로 인해 전국적인 인민봉기가 일어나고 따라서 수왕 조는 40여년밖에 안 되는 왕조역사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왕웨이등, 같은 책, pp385-392.
. 그러나 대운하의 굴착은 신속한 남북경제의 발전을 도모하였으며 광대한 연안지역의 경제발달은 줄곧 경제의 명맥인 운하에 의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만약 수양제가 운하순유하지 않고 재물을 탕진하지만 않았다면, 수 왕조는 좀 더 오래 존속할 수 있었을 것이며 수양제 또한 우와 견줄 만큼 탁월한 치수사업을 하였다고 평가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대운하의 개통은 운하의 연안의 경제발전을 추진하며 특히는 연안도시의 경제와 문화의 발전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운하의 개통이 있었기에 운하연안도시들로 하여금 처음으로 성벽이 도시의 경제발전에 대한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으며 처음으로 ‘중국도시혁명’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대운하의 작용은 봉건제국의 내부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동방세계가 외교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일환이 되었다. 어떻게 보면 운하는 고대 “실크로드”의 연장으로 볼 수가 있다. 이는 중국이 우방인 조선과 일본과의 연계도 좀 더 긴밀해 지게 하였다. 이는 중국이 통일된 국면에서만 나타날 수 있었다 http://zhjyx.hfjy.net.cn/Resource/Book/Edu/JXCKS/TS011100/0029_ts011100.htm
. 그 예로 당 왕조를 들 수가 있는데 대운하는 당 왕조에서 엄청난 도움을 주었으며 중국문명역사상 가장 빛나고 강대했던 시기라고 일컬어지는 당 왕조의 경제발전과 외교에 크나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대운하는 당 왕조의 생명줄 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왕웨이등, 같은 책, p392.
.
하지만 운하는 이렇듯 좋은 면만 있는 것도 아니었다. 운하는 배가 뜰 수 있는 물높이를 유지하여야만 했으므로 자연히 건조할 때도 많은 물을 필요로 하게 되며 따라서 농경지용수와 경쟁을 하게 된다. 또한 우기에는 자주 범람하여 주위의 논에 나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운하에 대한 수리시설체계에도 지속적인 보수와 유지비용이 필요하게 되기도 한다.
결론:
우리는 이번 논문에서 총체적으로 수리체계란 무엇인가로부터 중국의 수리체계에 이르기까지 알아보았다. 우리는 수리체계의 개념과 수리체계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그중에서도 비스포겔의 수력사회론과 관개문명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이에 기초하여 고대4대문명발상지에서의 수리체계와 중국의 수리체계를 비교해 보았고 나아가서 중국의 수리체계의 특점에 대해 시대별과 상황별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중국의 주요한 몇 개 수리체계를 알아봄으로써 그 수리체계들이 중국문명에 끼친 정치적, 경제적인 영향을 논했다.
인류문명의 역사는 물과의 투쟁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강의 범람과 극심한 가뭄이라는 자연의 도전조건에 대응하여 인류는 물을 다스리고 이용하는 응전의 과정을 통하여 문명을 발달시켜 왔다. 특히 중국의 수리체계는 고대의 첨단기술이었다. 수리체계의 발전은 경제, 문화 그리고 정치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곧 문명의 원류가 되었다. 즉 중국의 수리체계는 분열과 통일에 직접적으로 영향 주며 중국의 정치적 발전을 촉진하였고 관개와 운송을 통해 문명의 발전에 경제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번 발표를 준비하면서 문명의 발달에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볼 수 있는 수리체계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진 것 같다. 다만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더욱 심충적인 분석을 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참고문헌:
1) 왕웨이외(박점옥역), 손에 잡히는 중국역사의 수수께끼, 대산출판사, 2001.
2) 서영빈, 중국의 불가사의, 대산출판사, 2001.
3) 이충희, 칼 A. 비트포겔 저 <동양적 전제주의> 동서 문화비교의 고전, 한국논단, 1991, Vol.28.
4) 이석희, 서양학자들의 동양사회국가관에 관한 고찰 - 베버 , 마르크스 , 비트포겔을 중심으로, 1994, 한국행정사학지, Vol.3.
William, W. Kelly, Concepts in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Irrig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Vol 85, No 4, 1983.
5) Geertz, Clifford, The wet and the dry; Traditional Irrigation in Bali and Morocoo, human Ecology 1:23-39.
7) Glick, Thomas, irrigation and society in Medieval Valencia, Cambridg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ty Press,1970.
8) 李瑟, <中國科學技術史>,科出版社、上海古籍出版社, 第一卷, 第7,1990.
9) 朱西, <中古代著名水利工程>, 商印, 1997.
10) http://www.wenyi.com/history/read.asp?id=221
11) http://zhjyx.hfjy.net.cn/Resource/Book/Edu/JXCKS/TS011100/0029_ts011100.htm
12 http://www.water.or.kr/waterstory/sense/wst_sen_view.html?seq=11&Page=12&No=11&count=250&search=&select=&keyword=&read_cnt=564
13) http://www.chinaculture.org/gb/cn_zggk/node_1975.htm
추천자료
소음의 영향과 관리체계
국가경쟁력의 정의, 국가경쟁력의 변화요인, 국가경쟁력의 체계, 국가경쟁력의 지표, 국제경...
[아동복지정책과 제도] 아동복지정책의 개념(정의, 의의, 방안)과 우리나라와 외국의 아동복...
풍수지리(풍수지리설) 정의, 풍수지리(풍수지리설) 원리, 풍수지리(풍수지리설) 용어, 풍수지...
[불교건축][불교건축의 양식][불교건축의 상징체계][불교건축의 탑][불교건축의 사원]불교건...
데이터 베이스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을 포함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각자의 현업 비...
[현대기업과 경영환경] 경영환경의 중요성과 구성체계, 경영환경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자가간호][자가간호 정의][Orem이론][오렘이론]][고혈압][간호체계이론][자가간호환자][자가...
[공정분석의 기본분석] 공정개선과 기본분석의 개념(정의,목적,특징,체계)과 기본분석 추진방...
노인복지 분야에서의 윤리적인 실천 (노인복지의 정의 및 개념, 노인복지 현황, 사회문제로서...
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논하고, 주요 청소년육성 관계법들에서 ‘청소...
외국(미국, 영국, 독일, 일본, 중국, 싱가포르)의 부동산업과 부동산시장의 정보체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