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관여근육
5. 진단방법
6. 치료
1) 전기
2) 마사지
3) 운동법(exercise theraphy - 안면재훈련)
# 예후
7. 주의사항
8. 중추성 얼굴신경마비와 말초성 얼굴신경마비의 차이
2. 원인
3. 증상
4. 관여근육
5. 진단방법
6. 치료
1) 전기
2) 마사지
3) 운동법(exercise theraphy - 안면재훈련)
# 예후
7. 주의사항
8. 중추성 얼굴신경마비와 말초성 얼굴신경마비의 차이
본문내용
10-15%는 불완전한 치료가 된다.
때로는 신경의 regeneration이 잘못되어 faulty reinnervation을 초래하여 회복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웃으려 할 때 눈을 깜빡이게 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침대신 눈물이 나오기도 한다. 어떤 환자에게 있어서는 axon regeneration이 비효과적이고 마비가 남아있으므로 수술이 필요하다.
3개월 내에 50%가 회복되나 3개월 이상 마비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회복이 어렵다.
7. 주의사항
안면운동을 시킬 때 빠르고 자동적인, 반사적인 표정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운동들은 불량한 조절(poor control)과 연결되며 보다 피로에 민감하다.
그러므로 안면운동 시에는 아주 느리고 명료하며, 완만한 연축이나 긴장성 근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비감정적 동작(nonemotional movement)들로 지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지시들은 보다 적절한 안면 동작들을 촉진하고 최소한의 근피로로 완만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환자가 근육의 촉진을 위한 연습을 천천히 하지 않고서는 분리된 근육운동을 기대 할 수 없다.
8. 중추성 얼굴신경마비와 말초성 얼굴신경마비의 차이
때로는 신경의 regeneration이 잘못되어 faulty reinnervation을 초래하여 회복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웃으려 할 때 눈을 깜빡이게 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침대신 눈물이 나오기도 한다. 어떤 환자에게 있어서는 axon regeneration이 비효과적이고 마비가 남아있으므로 수술이 필요하다.
3개월 내에 50%가 회복되나 3개월 이상 마비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회복이 어렵다.
7. 주의사항
안면운동을 시킬 때 빠르고 자동적인, 반사적인 표정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운동들은 불량한 조절(poor control)과 연결되며 보다 피로에 민감하다.
그러므로 안면운동 시에는 아주 느리고 명료하며, 완만한 연축이나 긴장성 근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비감정적 동작(nonemotional movement)들로 지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지시들은 보다 적절한 안면 동작들을 촉진하고 최소한의 근피로로 완만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환자가 근육의 촉진을 위한 연습을 천천히 하지 않고서는 분리된 근육운동을 기대 할 수 없다.
8. 중추성 얼굴신경마비와 말초성 얼굴신경마비의 차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