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 기저핵[Basal Ganglia]에 대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부생리] 기저핵[Basal Ganglia]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저핵이란 ?

 기저핵의 구조

 기저핵의 기능
-구심신경로
-원심신경로
-운동계로 가는경로

 기저핵의 운동장애

본문내용

4.기저핵의 운동장애
① 파킨슨 증후군

- 원인 : 흑색질 치밀부 신경원 의 파괴와 이에 따른 도파민의 결핍

* 보통 진전마비(paralysis agitans)라 하며 운동불능증, 근경직, 휴식시 떨림의 세가지 중요한 임상적 징후가 나타난다

* 움직임을 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보폭이 짧고 빠른 다리운동을(종종걸음) 몇 차례 보이다가 걸을 수 있으며 일단 걷기 시작하면 멈추기가 어려워 몇발자국 지나서야 정지할 수 있다.

* 얼굴도 가면을 쓴 것처럼 표정감소증(hypominia)이나 표정불능증(aminia) 등이 나타나고, 말하는 것도 단조로와 진다. 결국에는 온몸에 떨림이 생기고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앞굽힘자세(anteflexex position, 고릴라 자세)가 되면 사지의 운동은 시간이 갈수록 느리고 불완전하게 된다. 꼭 필요하지 않은 운동을 피하려고 하며, 팔을 흔든다든지하는 부수적인 운동도 사라지게 된다.

* 근육이 잘 이완되지 않으며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켰을 때 가끔씩 길항근의 긴장이 감소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누워있을 때 머리를 들었다 놓으면 금방 떨어지지 않고 천천히 베개를 향해 떨어지게 된다.(head dropping test) 또 강직의 상태와는 달리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는 증가되지 않고 병적반사도 나타나지 않고 부전마비도 없다

* 떨림은 초당 4~8회의 빈도로 율동적으로 일어나며 주동근과 길항근의 교대작용으로 나타난다. 이 떨림은 소뇌병변시의 의도성 떨림 (intention tremor)과는 반대로 의도적인 운동을 할 때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환약을 빛는(pillrolling) 또는 돈을 세는 모양이 특징적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876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