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당뇨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당뇨에 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당뇨병의 정의

2. 당뇨병의 분류

3. 당뇨병의 증상

4. 발병인자

5. 합병증

6. 치료.

7. 소아 당뇨병

본문내용

부작용은 비교적 적은 편으로 다른 약제에 비해 신속히 제거되므로 장기간의 고인슐린혈증을 유발하지 않아 저혈당의 발생이 적고, 불규칙한 식사습관을 가진 환자에서 유용합니다.
⑤ 디아졸리디네다이온계 약물
종류: 로지글리타존(아반디아), 피오글리타존(액 토스)
특징: 지방조직이나 근육조직 같은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켜주는 약제로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약제입니다.
인슐린요법
1) 인슐린
인슐린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IDDM)환자에게 필수적이며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IDDM)환자에서도 식사요법과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자에게 필요합니다.
2) 인슐린 치료의 기본원칙
당뇨병의 근본 원인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고장으로 인슐린 분비가 적어지는 것이므로 인슐린을 투여하는 것이 완치는 되지 않지만 치료약제 중에서는 가장 근원적인 치료제입니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의 예
1.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2. 식사 ,운동, 내복약으로 혈당 조절 않 되는 성인 당뇨병
3. 임신 중 당뇨병이 식사요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4. 심한 신장, 간질환이 있는 당뇨병환자
5. 급성 감염증이나 당뇨병성 혼수
6. 당뇨병 환자가 수술을 하거나, 심한 외상이 있을 때
7. 스테로이드 호르몬 치료 중에 악화된 당뇨병
운동요법
식사요법을 하면서 병행해야 되는 관리법으로 혈당조절에 도움이되며 신혈관 질환의 합병증을 줄이고 치료약의 용량도 줄이게 합니다.
1) 운동의 기본 요령
좋아하고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합니다.
매일 또는 주 3회 이상 해야 합니다.
일정한 시간에 하며, 아침 식후 1시간 뒤가 가장 좋습니다.
공복 시에 절대로 운동을 해서는 안 됩니다.
준비운동과 마무리 운동을 꼭 하며, 본 운동은 30분 이상 합니다.
운동의 종류로는 유산소성 운동 즉 산책, 등산, 자전거타기, 배드민턴 또는 수영등이 좋습 니다.
2) 운동의 강도
피곤할 정도의 무리한 운동은 피합니다. : 적절하게 계획된 운동 프로그램은 혈당조절에 좋은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이에 반해 부적합한 운동을 할 경우 오히려 당대사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운동 강도는 심장박동 수(또는 심박 수, 맥박 수)를 이용하여 정하는데 최대 심박 수의 50%~80%정도(인슐린의존형 당뇨병은 50%~80%,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은 40%~60%)의 심박 수를 유지하도록 운동하면 안전 하면서도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최대 심박 수 220에서 나이를 빼서 구합니다. 즉, 맥박 수가 [(220-나이) × 0.7]정도의 운동 예를 들어, 40세인 사람의 경우에는 최대 심박 수가 180(220 - 40)이므로 적절한 운동 강도는 심박 수가 90회에서 144회 사이의 범위가 됩니다. 심박 수의 측정은 운동 중 또는 운동 직후에 목의 경동맥이나 손목의 요골 동맥을 촉진하여 10초간의 심박 수를 센 후 이것에 6을 곱하여 1분간의 심박 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합니다. 심박 수의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약간 힘들다고 느끼는 정도, 또는 호흡의 곤란을 느끼지 않으면서 알아들을 수 있게 이야기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면 됩니다. 운동은 매일 하는 것이 좋지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역효과가 나므로 피로한 경우에는 1주에 1~2일은 쉬도록 합니다. 그렇지만 1주일에 3회 이하의 빈도로 운동하는 것은 혈당을 떨어뜨리거나 심폐기능을 좋게 하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운동 시간은 운동의 강도 및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목표 강도에서 20분~60분(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20분~40분,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은 40분~60분) 정도가 좋습니다. 그리고 운동 전 후에는 5분~10분 동안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을 하여야 갑작스러운 운동으로 인한 부상이나 사고를 예방 할 수 있으니 빠뜨려서는 안 됩니다.
3) 운동시 주의 사항
다른 사람의 보호 하에 운동을 계속 합니다.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운동으로 인한 고통이 없어야 합니다.
다음날 아침 일어났을 때 전날 한 운동의 피로와 후유증이 없어야 합니다.
운동의 강도를 급속히 증가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운동을 할 때는 특히 영양 섭취에 주의 해야 합니다.
일주일에 2회는 휴식 합니다.
더운 날 장시간 운동을 할 경우에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 합니다.
추운 날에는 보온에 노력 합니다.
수면 시간에 주의 합니다.
신체 조건이 나쁠 경우에는 휴식 합니다.
7. 소아 당뇨병
소아 당뇨병의 치료는 치료는 인슐린주사,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인슐린은 식사전후에 혈당이 정상범위에 머물도록 하루 2~4회 주사한다. 주사 전 혈당검사를 실시, 인슐린 양을 조절해야 한다. 식이요법은 칼로리가 많은 음식보다는 채소류나 단백질이 많은 영양가 음식을 권한다. 운동은 칼로리 소모를 높여 입맛을 돋우고 자신감을 갖게 한다. 현재 치료에 이용되는 췌장이식은 많은 효과를 보고 있으나 수술 후 면역억제제를 계속 투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당뇨병이 걸린 소아들은 식이요법과 더불어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인슐린 비의존형당뇨병이 대부분인 어린들은 식이요법으로 잘 지낼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 있는 아이들은 식이요법과 아울러 인슐린을 주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식이요법
당뇨병을 가진 소아도 건강한 아이들과 같이 자라고 뛰노는데 드는 충분한 영양을 섭취해야 한다. 식이요법이 먹는 것을 덜어 주는 것이 절대 아니며, 과식을 피하는 정도로 하고 혈당이 잘 조절 되도록 여러 번에 나누어 주는 것이 좋다.
2) 인슐린
제1형 당뇨병환자는 일생동안 인슐린을 맞아야 됩니다. 인슐린의 양 및 주사방법은 의사의 지도를 받아야 하지만 항상 의사가 옆에 있을 수는 없으므로 부모가 인슐린 사용법을 잘 알아야 하며 소아가 성장함에 따라 환자자신이 배워서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3) 운동
소아는 본래 활동적이므로 운동을 시키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아닙니다. 어떤 운동이든 자유롭게 하도록 허용하는데, 운동을 하면 저혈당이 생기는 수가 있으므로 간식을 주어 방지하도록 한다.

키워드

의학,   당뇨,   조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