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학] em - 자기장 속에서 전자를 원운동을 시켜 자연계의 중요한 상수 값의 하나인 전자의 전하량과 질량의 비를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기학] em - 자기장 속에서 전자를 원운동을 시켜 자연계의 중요한 상수 값의 하나인 전자의 전하량과 질량의 비를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 목적]

[실험 이론]

[실험 장치]

[실험 방법]

[실험 결과]

[실험 결론]

본문내용

11.36
1.1
0.000857
9.6
4.8
1.89*
7.39
1.2
0.000935
9.0
4.5
1.81*
2.84
180V
1.49
0.001091
8.6
4.3
1.63*
7.38
1.6
0.001046
8.0
4.0
2.06*
17.04
1.7
0.001164
7.0
3.5
2.17*
23.29
1.8
0.001302
6.5
3.25
2.01*
14.02
200V
1.47
0.001285
6.5
3.25
2.29*
30.11
1.6
0.001336
6.5
3.25
2.19*
24.43
1.7
0.001324
6.3
3.15
2.16*
22.73
1.8
0.001402
6.1
3.05
2.19*
14.77
평균
1.98*
12.98
[140V] [160V]
[180V] [200V]
[실험 결론]
결과를 살펴보면 I값이 증가 할수록 코일의 자기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자기력에 세져서 회전반경이 작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의 오차가 I가 커질수록 대체로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가 작을 때, 즉 자기장이 때는 전반적으로 회전반경이 커서 측정하기 쉬웠으나, 자기장이 강해질수록 회전 반경이 작아 측정하기 어려웠습니다.
기본이론이나 개념이 어려운 실험은 아니지만 가속시켜 동그란 원을 얻어내는 것이 그리 쉬운 업은 아니었다.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전자의 궤적이 동그란 원이 아닌 찌그러진 원이 나와 동그란 원을 얻기 위해 실험장치의 방향을 바꾸거나 필라멘트의 방향을 조정했다.
실험 방법에서는 가속전압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해야 하지만 가속전압을 변화시키면서 동그란 원을 얻는 게 힘들어 일정한 가속전압에서 실험을 수행했다. 수회 실험을 했지만 동그란 원을 얻은 4회만 계산했다.
이번 실험에서 얻은 평균 은 C/kg이며, 평균오차는 12.98%이다. 오차는 눈금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지구자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했다.
특히 12.987%의 오차는 필라멘트 안의 자의 눈금을 읽 을 때 눈짐작으로 읽기 때문에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또 지구 자기장의 영향에 의한 오차도 크게 작용했다. 그래 서 미소한 자기장의 오차도 결과 값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이번 실험에서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지구자기장에 의 한 전자선의 굴절과 전자선을 실제로 본 것이다. 지구 자 기장의 존재를 이번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9.02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