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체온
(1)체온의 종류
(2)체온계의 종류
(3)체온측정부위에 따른 정상범위 및 측정시간
(4)체온측정부위
(5)체온의 범위
(6)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7)발열
(8)저체온
2)맥박
(1) 맥박에 변화를 주는 요인
(2) 맥박의 특징(종류)
3)혈압
4) 호흡(Respiration)
(1)체온의 종류
(2)체온계의 종류
(3)체온측정부위에 따른 정상범위 및 측정시간
(4)체온측정부위
(5)체온의 범위
(6)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7)발열
(8)저체온
2)맥박
(1) 맥박에 변화를 주는 요인
(2) 맥박의 특징(종류)
3)혈압
4) 호흡(Respiration)
본문내용
이 떨어지며 흥분하기 쉽다.
운동할 때- 산소 소모량이 많아진다.
흡연할 때
공포, 불안, 노여움 등 강한 감정 변화가 있을 때.
2.서맥
맥박률이 1분에 60회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①서맥
느려지는 경우. 50~60회/min↓
②서맥이 오는 경우
호식할 때-분당 60회 이하로 떨어진다.
운동선수(신체단련)일 경우- 안전상, 맥박수 적고, 박출량 크다.
저체온인 경우-0.6。C저하시 1분에 7~10회 감소.
반사성 서맥- 두 개 내압 증가.
③부정맥
맥박이 불규칙적인 것.
④경맥
맥박의 긴장도가 강한 것.
⑤연맥
맥박의 긴장도가 약한 것.
⑥정맥
(3)혈압
혈압은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이 혈관벽 특히 동맥벽에 닿았을 때 형성되는 압력을 말한다
*혈압이 상승될 때
①운동할 때 : 골격근 수축 → 근내혈관 수축 심박출량 ↑ → 동맥혈압↑ → P↑
②정맥치료(IV therapy)를 할 때
③혈액점도가 높을 때
다혈구증 : B.P↑
④동통이 있을 때 (pain)
⑤노여움과 흥분이 있을 때 → 교감신경자극 : B.P↑
⑥동맥벽의 탄력성 저하
⑦호식(expiration) 할 때 : 약간 상승
고혈압(Hypertension)의 증상
- 상기된 피부
- 두통
- 현훈 (內耳질환):환자자신이 공간에서 회전하는 것 같은 감각
- 어지러움
- 혈압상승
- 경련
- 혼수
*혈압이 하강할 때
①shock에 빠졌을 때 → B.P↓
②volume이 떨어질 때 : 설사, 출혈 심할 때, 구토가 많을 때
③자세를 변경 : 누웠다가 갑자기 설 경우 orthostatic hypotension(체위성 저혈압) = postural hypotension(직립성 저혈압)
앉아 있을 때 하부에 모인 혈액이 일어섰을 때 위쪽으 로 원활히 움직이지 못하여 생김
저혈압(Hypotension)의 증상
- 어지러움
- 기절
- 차고 축축한 피부
- 호흡이 저하
- 부위별 감각상실
- 혼돈
- 쇼크
4) 호흡(Respiration)
산소(O₂)를 들이 마시거나 다른 물질의 산화로 인해서 이산화탄소(CO₂)를 배출하는 폐의 공기 흡입과 유출이 계속되는 과정이다.
외호흡: 폐포와 혈액사이의 O₂와 CO₂가 교차되는 것(폐와 환경사이의 공기 이동)
내호흡: 혈액과 체세포 사이의 gas의 교환이다(헤모글로빈과 단세포 사이의 산소의 이 동)
1)외호흡의 4가지 기전
①환기(ventilation):외부와 폐사이의 공기의 이동기전.
②전도(conduction):폐의 기도를 통해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기전.
③확산(diffusion):폐포와 혈액세포 사이의 O₂와 CO₂의 움직임.
④관류(perfusion):폐의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을 배포하는 기전.
2)호흡조절
뇌의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에서 한다.
즉, 자율신경계의 신경섬유와 혈액의 화학적 주성분에 의하여 일어난 혈액의 화학적 성분은 호흡의 도수와 같이를 조절하며, 혈액내의 CO₂량의 증가는 호흡중추 활동을 증가시킨다.
호흡조절은 무의식적으로 행해지지만 어느정도는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정상호흡(Eupnea)
출생시 30~40회/분
1세 26~30회/분
사춘기 20회/분
성인 16~18회/분
노인 14~16회/분
*호흡에 변화를 주는 요인
① 연령, 성별, 소화, 감정, 운동, 동통, 독소, 출혈, 기압
② 약품: 아편(몰핀)과 전신마취 등은 호흡을 느리고 깊게 하며, 까페인과 아트로핀은 호흡을 자극해서 빠르고 얕은 숨을 쉬게 한다
③ 체온: 대체로 0.5~1。C의 체온이 증가하면 호흡이 2회~4회증가한 다.
*호흡의 특징
① 빈호흡(tachypnea) - 24회 이상/분 이상(호흡수가 정상보다 빠른것이다.)
② 서호흡(bradypnea) - 10번 이하/분 이하(정상보다 느린 것으로 모르핀복 용, 대사성산증, 뇌압상승시에 나타난다.)
③ 무호흡(apnea) - 호흡정지
④ 과호흡 (hyperpnea) - 30~50회/ 분이상 : O₂가 과잉흡입되고 CO₂는 과잉 배출된다. 호흡률은 빨라지고 깊이는 깊어진다.
⑤ 좌위호흡(좌식호흡:rrthopnea) - 누워서는 호흡이 어려워 앉아서 한다.
⑥ 호흡곤란(dyspnea) - 흡기와 호기가 모두 힘들고, 늑간근과 부속근을 과 도하게 사용
⑦ 체인톡스 호흡(cheyne- Stoke's respiration) - 무호흡과 과도호흡이 불규 칙하게 교대로 있는 것.
⑧쿠스마울 호흡(Kussmaul's respiration) - 분당 20회 이상으로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한 과도환기상태이다. 발작적인 호흡곤란, 대사성산독증, 신부 전에서 나타난다.
*호흡의 형태
① 복식호흡(diaphragmatic respiration)
주로 복부근육을 아용하며 편한 호흡으로 주로 남성에게 많다.
② 흉식호흡(thoracis respiration)
주로 횡격막을 이용하는 호흡으로 여성에게 많다.
그러므로 측정시에는 여자는 가슴을 보고 남자는 배쪽을 보고 재면 된다.
* 호흡의 기능 장애 (Respiratory dysfunction)
1)원인
① 산소공급이 부적절할 때(화재시 유독가스 흡입, 고산지대, 심해잠수)
② 산소(O₂)가 들어오기는 하는데 흡수가 안 될 때
③ 가스교환은 되는데 O₂의 운반(tramsport)이 되지 않을 때
④ 기도가 폐색되었을 때 (부분적인 폐색이나 천식이 있을시)
⑤ 호흡조절기전의 장애가 있을 때(morphin)은 호흡을 억제(depression)시 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뇌손상에는 주의한다.
* 저산소증의 증상과 징후
①힘든 호흡(호흡의 양상이나 깊이의 변화)
②대상자 자신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좌위호흡(orthopnea)하려고 한다.
③하품
④청색증(cyanosis)-특히 설하정맥, 결막, 구강점막에서 흔하고 손톱은 창 백하다.
⑤흉통(chest pain)이 있다.
⑥뇌 기능장애 증상 나타남- 나중엔 혼돈(confusion), 지남력 상실 (disorientation)상태에 빠진다.
⑦경정맥(neck vein)에 울혈(engorgement)이 생긴다.
⑧빈호흡(tachypnea)
⑨사상맥(thready pulse)
⑩가래(sputum)가 나온다. 폐기종, 만성기관지염은 가래가 짙고, 점도가 높다.
운동할 때- 산소 소모량이 많아진다.
흡연할 때
공포, 불안, 노여움 등 강한 감정 변화가 있을 때.
2.서맥
맥박률이 1분에 60회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①서맥
느려지는 경우. 50~60회/min↓
②서맥이 오는 경우
호식할 때-분당 60회 이하로 떨어진다.
운동선수(신체단련)일 경우- 안전상, 맥박수 적고, 박출량 크다.
저체온인 경우-0.6。C저하시 1분에 7~10회 감소.
반사성 서맥- 두 개 내압 증가.
③부정맥
맥박이 불규칙적인 것.
④경맥
맥박의 긴장도가 강한 것.
⑤연맥
맥박의 긴장도가 약한 것.
⑥정맥
(3)혈압
혈압은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이 혈관벽 특히 동맥벽에 닿았을 때 형성되는 압력을 말한다
*혈압이 상승될 때
①운동할 때 : 골격근 수축 → 근내혈관 수축 심박출량 ↑ → 동맥혈압↑ → P↑
②정맥치료(IV therapy)를 할 때
③혈액점도가 높을 때
다혈구증 : B.P↑
④동통이 있을 때 (pain)
⑤노여움과 흥분이 있을 때 → 교감신경자극 : B.P↑
⑥동맥벽의 탄력성 저하
⑦호식(expiration) 할 때 : 약간 상승
고혈압(Hypertension)의 증상
- 상기된 피부
- 두통
- 현훈 (內耳질환):환자자신이 공간에서 회전하는 것 같은 감각
- 어지러움
- 혈압상승
- 경련
- 혼수
*혈압이 하강할 때
①shock에 빠졌을 때 → B.P↓
②volume이 떨어질 때 : 설사, 출혈 심할 때, 구토가 많을 때
③자세를 변경 : 누웠다가 갑자기 설 경우 orthostatic hypotension(체위성 저혈압) = postural hypotension(직립성 저혈압)
앉아 있을 때 하부에 모인 혈액이 일어섰을 때 위쪽으 로 원활히 움직이지 못하여 생김
저혈압(Hypotension)의 증상
- 어지러움
- 기절
- 차고 축축한 피부
- 호흡이 저하
- 부위별 감각상실
- 혼돈
- 쇼크
4) 호흡(Respiration)
산소(O₂)를 들이 마시거나 다른 물질의 산화로 인해서 이산화탄소(CO₂)를 배출하는 폐의 공기 흡입과 유출이 계속되는 과정이다.
외호흡: 폐포와 혈액사이의 O₂와 CO₂가 교차되는 것(폐와 환경사이의 공기 이동)
내호흡: 혈액과 체세포 사이의 gas의 교환이다(헤모글로빈과 단세포 사이의 산소의 이 동)
1)외호흡의 4가지 기전
①환기(ventilation):외부와 폐사이의 공기의 이동기전.
②전도(conduction):폐의 기도를 통해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기전.
③확산(diffusion):폐포와 혈액세포 사이의 O₂와 CO₂의 움직임.
④관류(perfusion):폐의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을 배포하는 기전.
2)호흡조절
뇌의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에서 한다.
즉, 자율신경계의 신경섬유와 혈액의 화학적 주성분에 의하여 일어난 혈액의 화학적 성분은 호흡의 도수와 같이를 조절하며, 혈액내의 CO₂량의 증가는 호흡중추 활동을 증가시킨다.
호흡조절은 무의식적으로 행해지지만 어느정도는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정상호흡(Eupnea)
출생시 30~40회/분
1세 26~30회/분
사춘기 20회/분
성인 16~18회/분
노인 14~16회/분
*호흡에 변화를 주는 요인
① 연령, 성별, 소화, 감정, 운동, 동통, 독소, 출혈, 기압
② 약품: 아편(몰핀)과 전신마취 등은 호흡을 느리고 깊게 하며, 까페인과 아트로핀은 호흡을 자극해서 빠르고 얕은 숨을 쉬게 한다
③ 체온: 대체로 0.5~1。C의 체온이 증가하면 호흡이 2회~4회증가한 다.
*호흡의 특징
① 빈호흡(tachypnea) - 24회 이상/분 이상(호흡수가 정상보다 빠른것이다.)
② 서호흡(bradypnea) - 10번 이하/분 이하(정상보다 느린 것으로 모르핀복 용, 대사성산증, 뇌압상승시에 나타난다.)
③ 무호흡(apnea) - 호흡정지
④ 과호흡 (hyperpnea) - 30~50회/ 분이상 : O₂가 과잉흡입되고 CO₂는 과잉 배출된다. 호흡률은 빨라지고 깊이는 깊어진다.
⑤ 좌위호흡(좌식호흡:rrthopnea) - 누워서는 호흡이 어려워 앉아서 한다.
⑥ 호흡곤란(dyspnea) - 흡기와 호기가 모두 힘들고, 늑간근과 부속근을 과 도하게 사용
⑦ 체인톡스 호흡(cheyne- Stoke's respiration) - 무호흡과 과도호흡이 불규 칙하게 교대로 있는 것.
⑧쿠스마울 호흡(Kussmaul's respiration) - 분당 20회 이상으로 호흡수와 깊이가 증가한 과도환기상태이다. 발작적인 호흡곤란, 대사성산독증, 신부 전에서 나타난다.
*호흡의 형태
① 복식호흡(diaphragmatic respiration)
주로 복부근육을 아용하며 편한 호흡으로 주로 남성에게 많다.
② 흉식호흡(thoracis respiration)
주로 횡격막을 이용하는 호흡으로 여성에게 많다.
그러므로 측정시에는 여자는 가슴을 보고 남자는 배쪽을 보고 재면 된다.
* 호흡의 기능 장애 (Respiratory dysfunction)
1)원인
① 산소공급이 부적절할 때(화재시 유독가스 흡입, 고산지대, 심해잠수)
② 산소(O₂)가 들어오기는 하는데 흡수가 안 될 때
③ 가스교환은 되는데 O₂의 운반(tramsport)이 되지 않을 때
④ 기도가 폐색되었을 때 (부분적인 폐색이나 천식이 있을시)
⑤ 호흡조절기전의 장애가 있을 때(morphin)은 호흡을 억제(depression)시 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뇌손상에는 주의한다.
* 저산소증의 증상과 징후
①힘든 호흡(호흡의 양상이나 깊이의 변화)
②대상자 자신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좌위호흡(orthopnea)하려고 한다.
③하품
④청색증(cyanosis)-특히 설하정맥, 결막, 구강점막에서 흔하고 손톱은 창 백하다.
⑤흉통(chest pain)이 있다.
⑥뇌 기능장애 증상 나타남- 나중엔 혼돈(confusion), 지남력 상실 (disorientation)상태에 빠진다.
⑦경정맥(neck vein)에 울혈(engorgement)이 생긴다.
⑧빈호흡(tachypnea)
⑨사상맥(thready pulse)
⑩가래(sputum)가 나온다. 폐기종, 만성기관지염은 가래가 짙고, 점도가 높다.
추천자료
내과 케이스 게실염
외과실습 충수돌기염 케이스
귀 간호사정
응급실 ER실습보고서 (출혈, 약물중독, 화상, Shock, 골절 환자 간호)
이비인후과/외과병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갑상선암(Malignant neoplasm of thyroid ...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폐렴(pneumonia, ICP)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경추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췌장암(pancreas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뇌졸중 (Cerebral Vascular Accident ; CVA)
[모성간호학] 자연분만(NSVD) Case study
수술 환자 간호 - 수술 후 간호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ER CASE, 응급실 케이스,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