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요 약 (Abstract)
이번 실험을 통하여 실제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유속과 레이놀드 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관의 종류에 따른 손실두를 구해봄으로써, 관벽과의 마찰과 유체 점성으로 인한 유체의 기계적 에너지 손실 정도를 알 수 있다.
첫번째 실험은 레이놀드 수를 구하는 실험으로서, 수조에 물을 채우고, 원통관에 물을 흘려 줄 때 밸브로 유속을 조절하면서, 물의 흐름을 잉크로 관찰 한 후 각각 층류와 난류라고 생각되는 흐름을 세번 씩 흘려주어 물의 유량을 측정한 후 레이놀드 수를 구하였다. 계산을 통해 얻은 데이터들을 통해 레이놀드 수를 구해봄으로써, 가정한 흐름과 그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를 유속과 레이놀드에 대한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 유속에 비례하여 레이놀드 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실험은 손실두를 구하는 실험으로서, 실험에 사용될 두개의 관을 선택한 후 마노미터로 압력 차를 측정하고, 각 관에 층류, 전이영역, 난류라고 생각되는 유속으로 물을 흘려 준 후 계산을 통하여 손실두를 구하였다. 손실두의 크기는 벤츄리 미터가 평관보다 컸고, 레이놀드 수가 증가 함에 따라 그만큼 손실두가 증가하였다.
1. 서론
레이놀드 수는 유체에서 층류, 난류, 전이영역을 구별하는 무차원수로, 이번 실험에서는 층류, 전이영역, 난류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관찰하고, 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레이놀드 수를 직접 계산을 하였다. 또한 오리피스, 벤츄리미터, 평관 등의 관에 유체를 흘려주어 관벽과 유체 간의 마찰로 인한 손실두를 직접 구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실제 화학공학에서 유체의 이동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의 흐름에 관한 공부를 할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 공업 프로세스를 제어하려면 프로세스에 출입하는 물질의 양을 알아야 한다. 물질은 대체로 액체로 수송하므로, 관이나 유로를 통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질량유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는 거의 없으며, 부피 유량이나 평균 유속을 측정하여 질량유량을 구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유체인 물은 비압축성 유체이고, 정상상태로 가정하여 실험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실제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유속과 레이놀드 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관의 종류에 따른 손실두를 구해봄으로써, 관벽과의 마찰과 유체 점성으로 인한 유체의 기계적 에너지 손실 정도를 알 수 있다.
첫번째 실험은 레이놀드 수를 구하는 실험으로서, 수조에 물을 채우고, 원통관에 물을 흘려 줄 때 밸브로 유속을 조절하면서, 물의 흐름을 잉크로 관찰 한 후 각각 층류와 난류라고 생각되는 흐름을 세번 씩 흘려주어 물의 유량을 측정한 후 레이놀드 수를 구하였다. 계산을 통해 얻은 데이터들을 통해 레이놀드 수를 구해봄으로써, 가정한 흐름과 그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를 유속과 레이놀드에 대한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 유속에 비례하여 레이놀드 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실험은 손실두를 구하는 실험으로서, 실험에 사용될 두개의 관을 선택한 후 마노미터로 압력 차를 측정하고, 각 관에 층류, 전이영역, 난류라고 생각되는 유속으로 물을 흘려 준 후 계산을 통하여 손실두를 구하였다. 손실두의 크기는 벤츄리 미터가 평관보다 컸고, 레이놀드 수가 증가 함에 따라 그만큼 손실두가 증가하였다.
1. 서론
레이놀드 수는 유체에서 층류, 난류, 전이영역을 구별하는 무차원수로, 이번 실험에서는 층류, 전이영역, 난류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관찰하고, 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레이놀드 수를 직접 계산을 하였다. 또한 오리피스, 벤츄리미터, 평관 등의 관에 유체를 흘려주어 관벽과 유체 간의 마찰로 인한 손실두를 직접 구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실제 화학공학에서 유체의 이동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의 흐름에 관한 공부를 할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 공업 프로세스를 제어하려면 프로세스에 출입하는 물질의 양을 알아야 한다. 물질은 대체로 액체로 수송하므로, 관이나 유로를 통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질량유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는 거의 없으며, 부피 유량이나 평균 유속을 측정하여 질량유량을 구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유체인 물은 비압축성 유체이고, 정상상태로 가정하여 실험하였다.
추천자료
내연기관 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절삭력 측정 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전자공학실험- Diode 응용회로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제트 유동장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열전달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인장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스트레인 게이지 응용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기계시스템운동의 가시화 & 기초진동실험
[최신디지털공학실험] 제10판 실험08.논리 회로 간소화 만점레포트 : BCD 무효 코드 검출기 ...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PSD센서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마찰계수측정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역설계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이중열교환기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증기압축식 열펌프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