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폭력의 순환에 대한 보고서, A Clockwork Orange
<시계태엽오렌지>를 보고
인간에 잠재되어 있는 폭력성의 분출
교화를 위한 국가의 개입은 정당한가?
폭력의 순환
<시계태엽오렌지>를 보고
인간에 잠재되어 있는 폭력성의 분출
교화를 위한 국가의 개입은 정당한가?
폭력의 순환
본문내용
국가 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영화 곳곳에는 남자의 성기를 상징하는 소품들이 배치되어있는 게 눈에 띈다. 레코드 바에서 여자들이 손에 들고 있는 아이스바라던가 캣레이디의 집에 놓인 성기 모양의 장식품, 알렉스 방에 걸린 나체 여인 그림의 가랑이 사이에서 꿈틀대는 뱀이 그 상징물들이다. 즉, <시계태엽오렌지>에서는 처음에서부터 끝까지, 개인과 국가를 오가며 순환되는 폭력과 섹스가 변주된다.
영화는 루도비코 요법에 의해 폭력과 섹스에 거부반응을 보이는 알렉스가 결국은 폭력적 성향을 되찾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그가 머리 속으로 되뇌는 ‘나는 완전히 치유되었다.’라는 말은 본성과 자유의지를 되찾았다는 의미에서이다. 그렇다면 ‘폭력’은 개인과 집단을 막론하고 인간에 내재되어 있는, 치유할 수 없는 악한 본성인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국가의 인위적 통제와 개입을 거부하는 입장에 서있지만, 악행에 맞선 해결책은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것을 인간의 자유의지에 맡긴 채 방관적 태도를 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영화가 막을 내린 후에도 ‘인간의 선과 악’을 둘러싼 여러 주제들에 관한 고민으로부터 해방될 수 없다.
영화는 루도비코 요법에 의해 폭력과 섹스에 거부반응을 보이는 알렉스가 결국은 폭력적 성향을 되찾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그가 머리 속으로 되뇌는 ‘나는 완전히 치유되었다.’라는 말은 본성과 자유의지를 되찾았다는 의미에서이다. 그렇다면 ‘폭력’은 개인과 집단을 막론하고 인간에 내재되어 있는, 치유할 수 없는 악한 본성인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국가의 인위적 통제와 개입을 거부하는 입장에 서있지만, 악행에 맞선 해결책은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것을 인간의 자유의지에 맡긴 채 방관적 태도를 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영화가 막을 내린 후에도 ‘인간의 선과 악’을 둘러싼 여러 주제들에 관한 고민으로부터 해방될 수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