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목표
4. 프로그램 대상
5. 세부사업내용
목 표
하 위 목 표
프로그램 내용 및
수행방법
수행인력
1.미술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① 매주 미술활동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 내가 가장 행복할 때, 자화상 그리기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한다.
담당 워커,
자원봉사자
2.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성을 향상 시킨다.
① 매 회마다 그룹별로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매 회 작품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담당워커,
자원봉사자
② 2회의 집단 미술활동을 실시한다.
- 모자이크, 그림 돌려 그리기 등의 집단 활동을 실시한다.
6. 세부활동내용
7. 평가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목표
4. 프로그램 대상
5. 세부사업내용
목 표
하 위 목 표
프로그램 내용 및
수행방법
수행인력
1.미술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① 매주 미술활동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 내가 가장 행복할 때, 자화상 그리기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한다.
담당 워커,
자원봉사자
2.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성을 향상 시킨다.
① 매 회마다 그룹별로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매 회 작품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담당워커,
자원봉사자
② 2회의 집단 미술활동을 실시한다.
- 모자이크, 그림 돌려 그리기 등의 집단 활동을 실시한다.
6. 세부활동내용
7. 평가
본문내용
6
우리가 꿈꾸는 나라
집단
50
7
이야기 듣고 그리기
개인
50
절정
8
자화상 그리기
개인
50
9
내가 가장 행복 할때
개인
50
마무리 하기
10
종결 파티와 사후 검시 실시
개인
50
7. 평가
목적 - 초롱교실을 이용하는 아동들에게 개인 작품과 집단 작품의 완성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을 돕고, 서로의 의견을 나눔으로써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사회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목표
하위 목표
평가 지표
측정 도구
측정 방법
1.미술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① 매주 미술
활동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 전시회 실시 여부
- 사전 사후
결과 향상
- 자아존중감
척도
- 관찰일지
- 전시회 계획 보고 및
결산보고
- 사전, 사후
검사 실시
- 매회관찰
일지 작성
2.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성을 향상 시킨다.
① 매 회마다
그룹별로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토의 시 적극성 정도
- 관찰 일지
- 타인 수용
척도
- 종결 시 사후 검사 실시
② 연 집단 미술활동을 실시한다.
- 집단 프로그램 실시여부
- 관찰일지
- 대인관계 변화 척도
- 사전, 사후
검사 실시
8. 기대효과
(1) 타인에게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되며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해 줄 수 있다.
(2) 혼자서 하기 보다는 함께 하는 방법을 배워 간다.
(3) 누군가를 도아 줄 수 있는 자세를 배운다.
(4) 자신의 작품의 완성으로 만족감을 느껴 자신감을 갖는다.
(5) 자기 P.R에 대한 확신을 갖는 기회가 있고, 발표력 향상이 된다.
우리가 꿈꾸는 나라
집단
50
7
이야기 듣고 그리기
개인
50
절정
8
자화상 그리기
개인
50
9
내가 가장 행복 할때
개인
50
마무리 하기
10
종결 파티와 사후 검시 실시
개인
50
7. 평가
목적 - 초롱교실을 이용하는 아동들에게 개인 작품과 집단 작품의 완성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을 돕고, 서로의 의견을 나눔으로써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사회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목표
하위 목표
평가 지표
측정 도구
측정 방법
1.미술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① 매주 미술
활동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킨다.
- 전시회 실시 여부
- 사전 사후
결과 향상
- 자아존중감
척도
- 관찰일지
- 전시회 계획 보고 및
결산보고
- 사전, 사후
검사 실시
- 매회관찰
일지 작성
2.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사회성을 향상 시킨다.
① 매 회마다
그룹별로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 토의 시 적극성 정도
- 관찰 일지
- 타인 수용
척도
- 종결 시 사후 검사 실시
② 연 집단 미술활동을 실시한다.
- 집단 프로그램 실시여부
- 관찰일지
- 대인관계 변화 척도
- 사전, 사후
검사 실시
8. 기대효과
(1) 타인에게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되며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해 줄 수 있다.
(2) 혼자서 하기 보다는 함께 하는 방법을 배워 간다.
(3) 누군가를 도아 줄 수 있는 자세를 배운다.
(4) 자신의 작품의 완성으로 만족감을 느껴 자신감을 갖는다.
(5) 자기 P.R에 대한 확신을 갖는 기회가 있고, 발표력 향상이 된다.
추천자료
아동자원봉사
[장애아동][장애아동가족][장애아동가족지원]장애아동의 의미, 장애와 사회적 편견, 장애아동...
(아동복지) 이혼가정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보고서 - 이혼의 개념 및 정의, 아동의 적응, ...
초등학교방과후 프로그램과 저소득층가정의 상관관계-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저소득 ...
* 방과후 아동의 놀이 및 사회성 지도
[자폐증,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 언어특성, 행동특성...
아동복지론 - 빈곤아동(빈곤의 개념, 빈곤과 아동발달, 빈곤아동의 현황, 빈곤아동을 위한 사...
유아기 아동의 경우 사회성이 확장되는 시기이다. 이시기에 아동의 사회성을 증진시킬 수 있...
[아동과학] 아동과학의 개념을 기초로 현대 사회에서의 아동과학지도의 중요성을 서술하고 가...
유아기 아동의 경우 사회성이 확장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아동의 사회성을 증진시킬 수 있...
이혼증가의 사회적 원인과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그리고 그들을 위한 실천적 사회복...
아동발달 연구방법(아동발달 연구의 관찰법, 질문법, 사회성측정법)
아동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애착발달, 부모와의 관계, 성격발달단계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