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법이 기본으로 작품에 내재돼 있고 표면상으로는 사실적인 조명처럼 보이게 하는 기법도 있다. 영화들 중에서 정사, 달콤한 인생등이 바로 이런 의도로 촬영한 것이다. 각 장면은 주인공의 심리적인 표현에 집중됐고, 영화의 가공성을 최대한 살려 화면에 표현하려는 의도를 촬영에 반영했다. 정사에서 주황색 조명은
위의 색의 상징성에 들어 맞는다.
<러브러브>중에서 - 서로 다른 색의 조명(녹색과 붉은색)을 사용한 색채의 대조, 화면을 네 방향에서 대각선으로 가르는 금속성 복도의 선들에 의해 이 장면은 강렬한 시각적 인상을 줍니다. 표현주의 영화에서는 종종 감독의 의도에 맞게 꾸며진 세트 안에서 촬영을 하게 되는데, 이는 감독이 영화의 배경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3.낮은 톤의 조명(LOW KEY TONE LIGHTING)
화면에서 암부(어두운 부분 그림자 등)의 비율을 늘리고, 중간조(적정노출이 맞은 곳 등)와 명부(밝은곳: 하이라이트부분)를 극히 제한해 중후하고 안정감을 주는 조명방법을 말한다. 조명은 직접 조명을 주로 사용한다. 소프트라이트는 확산광으로 화면전체로 빛이 골고루 퍼지며 통제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드라이트(조명기를 직접 피사체에 비추고, 고보 등의 액세사리를 이용해 그림자를 만든다.)를 주로 사용해 강조하고 싶은 부분만을 강조하고 나머지 부분은 조절한다. 연기자의 표정이 모두 보이기보다는 얼굴의 선이나 제한된 부분만을 묘사하게 되므로 관객은 많은 상상을 하게 된다. 처음부터 끝까지 로우키 톤을 유지하는 것은 관객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담담함과 많은 상상은 감상을 힘들게 할 수 있다.
4.중간 톤의 조명(MEDIUM KEY TONE LIGHTING)
특징적인 화면의 개성이나 강조보다는 연기자의 표정과 화면의 전체적인 느낌이 시각적으로 잘 보인다. 이로 인해 관객은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것과 표정 등으로 작품을 편하게 보고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인 표현에 맡는 무난한 조명방법이다. 이 조명은 전체적인 톤이 적정노출 범위에서 일정하게 조절되며 눈에 거슬리게 밝거나 어두운 부분을 없애 편하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일상적인 장면 묘사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이키 톤이나 로우키 톤의 조명 중 휴식이 필요한 장면에 사용되기도 한다. 작품전체를 한가지 톤으로 한다면 관객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미디움키 톤의 일관된 작품은 시각적인 강조가 없기 때문에 잘못하면 작품에 개성이 없어 보이고 지루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시각적인 표현보다는 사실적인 표현, 연기자의 연기력, 내용에 충실하게 작품을 이끌어 나갈 때 주로 사용된다. 하이틴물, 아동영화, 멜로드라마 등에 주로 사용된다.
5.높은 톤의 조명(HIGH KEY TONE LIGHTING)
주로 희극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무표정한 배우의 얼굴도 가벼워 보이면서 밝아 보이고 또한 즐거워 보인다. 화면에서 암부를 가급적 줄이고 배우의 의상이나 세트의 색깔도 밝은 색을 선택한다. 조명은 간접조명을 주로 사용하는데 라이트를 피사체에 집적 주기보다는 광선을 부드럽게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고보 등을 사용하거나 반사조명을 사용한다. 또한 치메라, 디퓨전 필터 등을 이용하기도 하며 키노플로라는 형광등 형식의 소프트라이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조명은 배우의 심리상태가 즐겁거나 행복한 감정 등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되며 주의할 점은 화면에 입체감이 없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색깔의 배합과 연기자의 동선과 화면의 구도에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6.평탄한 톤의 조명(FLAT KEY TONE LIGHTING)
주광(KEY LIGHT)의 방향을 정면에서 잡아 그림자를 없애거나 보조광을 밝게 조정하는 방법으로 화면에 골고루 일정량의 조명을 주는 방법 등이 있다. 화면에 입체감이 없는 평면적인 화면이 되므로 일반적 드라마(DRAMA)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뉴스, 인터뷰, 교육프로그램, 대담프로그램 등 주로 방송프로에서 많이 쓰인다. 조명으로 어떤 감정에 영향을 주지 않아 객관성을 유지할 때 아주 유용한 기법이다. 전달할 내용에 충실한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광효율을 높일 때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7.부드러운 톤의 조명(SOFT KEY TONE LIGHTING)
주광과 보조광의 비율을 적정으로(3:1, 2:1) 해서 그림자를 부드럽게 살려주는 기법으로 명암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드라마에서 많이 사용된다. 화면의 사이즈나 배경의 색, 하늘이 차지하는 면적 등에 따라 그때 그때의 조명과 노출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 조명은 화면의 효과가 부드럽고 정서적이어서 멜로물에서 많이 사용한다. 인물조명은 거의 소프트라이트를 이용해 카메라 시점에서 피사체의 측면에서 비추는 것
사이드라이트 위치에서 사용함에 따라 명암을 주면서도 화면의 톤은 부드러움을 유지시켰다.
8.강한 톤의 조명(HARD KEY TONE LIGHTING)
화면의 대부분이 암부로 형성되게 보조광도 가급적 사용을 억제해 극명한 대비가 되도록 조명의 톤을 조절하는 기법이다. 주인공의 삶이 아주 극단적이거나 선택의 결과가 대비될 때 등의 묘사에 많이 사용된다. 화면의 제일 밝은 부분의 노출을 기준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서 로우키톤 라이팅과 잘 어울린다. 역광을 주광으로 설정하는 실루엣 등도 여기에 속한다. 이 조명은 극적인 효과를 재현할 때 사용한다.
<참고문헌>
1.제럴드 밀러슨, <영화 조명 기술>,
영화진흥공사기획/영화이론총서 제13집, 집문당, 1996.
2.윤여창, <영상 연출 기법>, 바다출판사, 2000.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0.
3.http://naver.com (2) 주광 (Main light or Key light) 에 의한 조명 사진 이야기
http://blog.naver.com/edilim/60016544180
4.http://www.cineseoul.com/seminar/seminar_newwave-9-2.html
, 씨네서울 홈페이지.
5.http://www.hdmbc.com/theory/theory02/light/light01.html
, HDMBC 홈페이지.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9.1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