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ventilation
SIMV rate : rate는 인공호흡기가 공급하는 강제적인 분당호흡수다. 호흡수는 low level 분당 0.4-4회/분(파란색 바탕의 숫자를 본다), high level 분당 4-40회/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level에 따라 노란색 램프가 켜 지므로 꼭 확인해야한다.
SIMV rate는 반드시 환자의 호흡수보다 많아서는 안된다.
* SIMV cycle(초)=60/set CMV rate
⇒CMV RR은 SIMV rate보다 많게 설정한다.
적절한 인공호흡이 가능하도록 apnea alarm은 두 호흡간의 간격이 15 초를 경과할 경우 작동하며, minute vol. alarm도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 므로 작동하게 된다.
설정 : pressure, SIMV 모드 선택, SIMV rate, CMV rate설정(SIMV시 TV은 CMV rate × TV= MV이 되게 계산하여서 MV을 설정), insp. time, pause time, FiO2, lower alarm limit & upper alarm limit for O2 concenturation(%), PEEP, upper pr. limit, trigger, 성인/소아 선택, lower alarm limit, upper alarm limit
5.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설정 : pressure, CPAP 모드, lower alarm limit, upper alarm limit, FiO2, lower alarm limit &upper alarm limit for O2 concenturation(%), PEEP, trigger sensitivity, infant/adult
※ CPAP모드 설정시 노란색 램프가 켜진다.
6. Ventilator Setting
① Tidal volume, TV (일회 환기량) : 안정 상태에서 한번 호흡하는 동안 들이 마시거나 내 쉬는 공기의 양.
정상인의 경우 5-8ml/kg 정도.
② Respiration rate (호흡수) : 환자가 1분 동안에 호흡하는 횟수. setting은 성인 15~20, 소아 30회, ABGA상 PCO2 38~42 유지를 목표로 호흡 수 조정
③ 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흡입시 산소농도) :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때 산 소 농도 조절. 산소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60%이하의 산소를 공급하도 록 한다.
④ Peak inspiratory flow (흡기시 최고유량 조정기) : 가스의 최고 흐름속도를 나타내며 보 통 45~50, 많이 주면 줄수록 흡기시간이 빨라져 볼륨이 빠른 속도로 전달됨. 일회 호흡량과 흡기:호기 비율, 호흡수에 따라 조절됨.
⑤ PEEP (호기말 양압) : PEEP은 functional residual capacity를 증가시키므로 alveolar collapse를 예방하고, 폐용적을 유지시켜 폐유순도와 가스교환을 증가 시켜 oxygenation을 증가시키므로 고농도의 산소를 제공하므로 발생되 는 산소중독증을 예방한다.
환자가 숨을 모두 내 쉬었을 때 폐에 양압을 유지시켜 환자의 폐표면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Ventilator가 환자의 호흡을 돕는다.
trigger sensitivity : 환자가 호흡을 스스로 시작할 때 기계가 반응할 수 있는 음압의 수준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PEEP의 설정 수준과 관계있다.
예) trigger sensitivity는 -2로 설정하고 PEEP을 +10으로 설정하면 환자의 기도내 압력이 +8이 되면 기계가 반응한다.
환자가 용이하게 호흡을 하도록 도와주는 assist mode에서는 - 2~-3정도로 하고 자발적인 호흡을 못하게 하는 control mode에 서는 -20으로 설정한다.
humidfier : 체온보다 약간 낮은 온도
7. ventilator와 관련된 합병증
mechanical failure
Alarm failure
resp.alkalosis - chronic CO2 retention
barotrouma - pneumothorax
atelectasis - 급격한 peep 감소, small breath
G-I bleeding (stress ulcer)
Peep vein thrombosis
Psychological problem
8. ventilator 대상자 간호
- 분비물은 흡인하고 100% 가습을 해준다.
- 인공호흡기의 연결이 대상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예방한다.
- 인공호흡기의 경보기는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 Ambu bag은 항상 침상 옆에 두어야 한다.
- 경보음이 울릴 때 마다 즉각적으로 대응해야한다.
- 인공호흡기의 조절상태는 매 시간마다 점검한다.
- 1회 호흡량 , 호흡수, FiO2 , 그리고 다른 지수를 지시대로 맞춘다.
- 호흡기 연결 튜브에 물이 고여 있으면 연결부위를 풀고 물을 비워준다.
- 대상자의 저산소증, 고탄산증, 저탄산증을 관찰하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동맥혈 가스검사 를 한다.
- 폐음을 청진하며, 활력증후를 주의 깊게 측정한다.
- PEEP를 사용하면 심박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혈압 , 맥박과 소변량에 특별히 주의한다.
- PEEP에서 양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흉에 대해 관찰해야한다.
- 매시간 자세를 변경시키고, 피부사정, ROM, 구강간호를 한다.
- 오랫동안 기계적 인공호흡을 실시하면 합병증으로 스트레스성 위궤양이 발생한다.
- 스트레스성 위궤양의 기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염산의 과다분비와 위점막내 저 항력의 감소와 관련된다.
- 위자극은 출혈을 초래하므로 간호사는 새로운 출혈이나 잠혈 여부를 사정해야한다.
- 환자의 불안 감소를 위해 간호 할 수 있어야 한다.
9. 인공호흡기의 사용중단 (weaning)
호흡부전의 원인이 해결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중단
인공호흡기 사용의 중단과정은 (인공호흡기의 제거->기관내관 혹은 기관절개관 제거-> 산소공급중단)
①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기준
환자상태 안정
- 심리상태 안정적일
SIMV rate : rate는 인공호흡기가 공급하는 강제적인 분당호흡수다. 호흡수는 low level 분당 0.4-4회/분(파란색 바탕의 숫자를 본다), high level 분당 4-40회/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 level에 따라 노란색 램프가 켜 지므로 꼭 확인해야한다.
SIMV rate는 반드시 환자의 호흡수보다 많아서는 안된다.
* SIMV cycle(초)=60/set CMV rate
⇒CMV RR은 SIMV rate보다 많게 설정한다.
적절한 인공호흡이 가능하도록 apnea alarm은 두 호흡간의 간격이 15 초를 경과할 경우 작동하며, minute vol. alarm도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 므로 작동하게 된다.
설정 : pressure, SIMV 모드 선택, SIMV rate, CMV rate설정(SIMV시 TV은 CMV rate × TV= MV이 되게 계산하여서 MV을 설정), insp. time, pause time, FiO2, lower alarm limit & upper alarm limit for O2 concenturation(%), PEEP, upper pr. limit, trigger, 성인/소아 선택, lower alarm limit, upper alarm limit
5.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설정 : pressure, CPAP 모드, lower alarm limit, upper alarm limit, FiO2, lower alarm limit &upper alarm limit for O2 concenturation(%), PEEP, trigger sensitivity, infant/adult
※ CPAP모드 설정시 노란색 램프가 켜진다.
6. Ventilator Setting
① Tidal volume, TV (일회 환기량) : 안정 상태에서 한번 호흡하는 동안 들이 마시거나 내 쉬는 공기의 양.
정상인의 경우 5-8ml/kg 정도.
② Respiration rate (호흡수) : 환자가 1분 동안에 호흡하는 횟수. setting은 성인 15~20, 소아 30회, ABGA상 PCO2 38~42 유지를 목표로 호흡 수 조정
③ 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흡입시 산소농도) :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때 산 소 농도 조절. 산소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60%이하의 산소를 공급하도 록 한다.
④ Peak inspiratory flow (흡기시 최고유량 조정기) : 가스의 최고 흐름속도를 나타내며 보 통 45~50, 많이 주면 줄수록 흡기시간이 빨라져 볼륨이 빠른 속도로 전달됨. 일회 호흡량과 흡기:호기 비율, 호흡수에 따라 조절됨.
⑤ PEEP (호기말 양압) : PEEP은 functional residual capacity를 증가시키므로 alveolar collapse를 예방하고, 폐용적을 유지시켜 폐유순도와 가스교환을 증가 시켜 oxygenation을 증가시키므로 고농도의 산소를 제공하므로 발생되 는 산소중독증을 예방한다.
환자가 숨을 모두 내 쉬었을 때 폐에 양압을 유지시켜 환자의 폐표면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Ventilator가 환자의 호흡을 돕는다.
trigger sensitivity : 환자가 호흡을 스스로 시작할 때 기계가 반응할 수 있는 음압의 수준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PEEP의 설정 수준과 관계있다.
예) trigger sensitivity는 -2로 설정하고 PEEP을 +10으로 설정하면 환자의 기도내 압력이 +8이 되면 기계가 반응한다.
환자가 용이하게 호흡을 하도록 도와주는 assist mode에서는 - 2~-3정도로 하고 자발적인 호흡을 못하게 하는 control mode에 서는 -20으로 설정한다.
humidfier : 체온보다 약간 낮은 온도
7. ventilator와 관련된 합병증
mechanical failure
Alarm failure
resp.alkalosis - chronic CO2 retention
barotrouma - pneumothorax
atelectasis - 급격한 peep 감소, small breath
G-I bleeding (stress ulcer)
Peep vein thrombosis
Psychological problem
8. ventilator 대상자 간호
- 분비물은 흡인하고 100% 가습을 해준다.
- 인공호흡기의 연결이 대상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예방한다.
- 인공호흡기의 경보기는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 Ambu bag은 항상 침상 옆에 두어야 한다.
- 경보음이 울릴 때 마다 즉각적으로 대응해야한다.
- 인공호흡기의 조절상태는 매 시간마다 점검한다.
- 1회 호흡량 , 호흡수, FiO2 , 그리고 다른 지수를 지시대로 맞춘다.
- 호흡기 연결 튜브에 물이 고여 있으면 연결부위를 풀고 물을 비워준다.
- 대상자의 저산소증, 고탄산증, 저탄산증을 관찰하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동맥혈 가스검사 를 한다.
- 폐음을 청진하며, 활력증후를 주의 깊게 측정한다.
- PEEP를 사용하면 심박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혈압 , 맥박과 소변량에 특별히 주의한다.
- PEEP에서 양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흉에 대해 관찰해야한다.
- 매시간 자세를 변경시키고, 피부사정, ROM, 구강간호를 한다.
- 오랫동안 기계적 인공호흡을 실시하면 합병증으로 스트레스성 위궤양이 발생한다.
- 스트레스성 위궤양의 기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염산의 과다분비와 위점막내 저 항력의 감소와 관련된다.
- 위자극은 출혈을 초래하므로 간호사는 새로운 출혈이나 잠혈 여부를 사정해야한다.
- 환자의 불안 감소를 위해 간호 할 수 있어야 한다.
9. 인공호흡기의 사용중단 (weaning)
호흡부전의 원인이 해결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중단
인공호흡기 사용의 중단과정은 (인공호흡기의 제거->기관내관 혹은 기관절개관 제거-> 산소공급중단)
① 인공호흡기 사용중단 기준
환자상태 안정
- 심리상태 안정적일
키워드
추천자료
뇌사와 안락사를 통한 죽음의 의미
심폐 소생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안락사 허용될 수 있는가-생명윤리
기관절개술
신생아 무호흡증후군(AOP) case
뇌사정의 및 찬반 논쟁
Prematurity case study
안락사 과연 존엄한 죽음인가 ...
[존엄사]존엄사 허용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 존엄사 논쟁의 주요 쟁점 및 찬반양론 분석, ...
전폐절제술 수술전후 간호에 대해서
CABG간호
[아동간호학][미숙아][저체중아][Prem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Nebulizer, 분무요법 (1. Nebulizer 2. 분무요법 3. 아동의 분무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