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어말어미
나. 어말어미의 체계
1) 기본체계
가) 종결어미
3. 결론
2. 본론
가. 어말어미
나. 어말어미의 체계
1) 기본체계
가) 종결어미
3. 결론
본문내용
낸다. 즉, 문장에 담긴 명제적 내용에 대하여 화자가 청자에게 가지는 의향을 표현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평서형
-다
-네
-오
-습니다
감탄형
-구나, -도다
-구려
의문형
-느냐
-는가, -나
-오/소
-습니까
명령형
-어라
-게
-오
-십시오
청유형
-자
-세
-읍시다
-십시다
결론 어말어미는 단어 끝에 분포하는 어미라는 뜻으로서 문장 속에서 그 단어의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낸다. 어말어미는 다시 그것이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느냐 아니면 그러지 못하고 그 다음으로 문장을 더 이어지게 하느냐에 따라 종결어미와 비종결어미로 나눌 수 있다. 종결어미는 어말에 위치해 그 어미로써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어말어미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참고자료
1. 김기혁 ‘국어문법연구’(1995), 박이정
2. 최전승 외 ‘국어의 이해’ (2000) 태학사
3.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
=web&cd=30&ved=0CFsQFjAJOBQ&url=http%3A%2F%2Fwaam.
net%2Fxe%2F%3Fmodule%3Dfile%26act%3DprocFileDownload
%26file_srl%3D249738%26sid%3Daf0061245059c7464c9ae934
ef7be4c3&ei=rAifUfLRM5DDlQX-7oHoCA&usg=AFQjCNGrP40aJQ
iAF2GH3G5h5ENOJc1x8g&sig2=j056UkMaylu-Wr8MDd1Mvg&bv
m=bv.47008514,d.dGI&cad=rjt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평서형
-다
-네
-오
-습니다
감탄형
-구나, -도다
-구려
의문형
-느냐
-는가, -나
-오/소
-습니까
명령형
-어라
-게
-오
-십시오
청유형
-자
-세
-읍시다
-십시다
결론 어말어미는 단어 끝에 분포하는 어미라는 뜻으로서 문장 속에서 그 단어의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낸다. 어말어미는 다시 그것이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느냐 아니면 그러지 못하고 그 다음으로 문장을 더 이어지게 하느냐에 따라 종결어미와 비종결어미로 나눌 수 있다. 종결어미는 어말에 위치해 그 어미로써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어말어미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참고자료
1. 김기혁 ‘국어문법연구’(1995), 박이정
2. 최전승 외 ‘국어의 이해’ (2000) 태학사
3.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
=web&cd=30&ved=0CFsQFjAJOBQ&url=http%3A%2F%2Fwaam.
net%2Fxe%2F%3Fmodule%3Dfile%26act%3DprocFileDownload
%26file_srl%3D249738%26sid%3Daf0061245059c7464c9ae934
ef7be4c3&ei=rAifUfLRM5DDlQX-7oHoCA&usg=AFQjCNGrP40aJQ
iAF2GH3G5h5ENOJc1x8g&sig2=j056UkMaylu-Wr8MDd1Mvg&bv
m=bv.47008514,d.dGI&cad=rjt
추천자료
비음화와 유음화의 적용 기제에 대하여
상징부사의 서술성, 그 애매모호함
체팅언어의 분석
일본어와 한국어의 이중주어문- 조사
의존명사의 유형분류 및 의미
독일어(독어)의 통제이론, 독일어(독어)의 상대적 초점이론, 독일어(독어)의 통사구조, 독일...
한국어 문법 연구사
한국과중국의 언어와문자문화
일본형용동사(일어 형용동사, 일본어 형용동사)정의, 일본형용동사(일어 형용동사, 일본어 형...
향가의 기존 연구
『무가(巫歌)』의 이해 및 무가 연구를 위한 제언 _ 김화경 저.pptx
한국어문법론 - 한국어의 문장, 단어, 소리의 특징에 대해 약술하시오.
한국어음운론-‘없다’의 어간 기저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참고하여 명사 ‘닭’의 기저형을 설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