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
실험 이론
실험 값
질문 대답
토의
결과보고
오차보고
결론
실험 이론
실험 값
질문 대답
토의
결과보고
오차보고
결론
본문내용
하부호를 띄었다. 두 금속구의 전하부호를 확인할 때 금속구로 직접 측정한 게 아니라 테스트봉을 이용했었는데 테스트봉에 문제가 있어서 서로 정반대의 전하부호가 나오게 된 것 같다.
마지막 보충실험 역시 ㉮와 ㉰의 전하부호가 이론과는 반대로 측정되었었는데 이것 역시 전하부호 확인 시 테스트봉을 이용하였는데 세 번째 실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스트봉의 문제로 인해 서로 정반대의 전하부호가 나온 것 같다.
1. 결과 분석
(1) 접촉에 의한 대전 1 - 두 절연체의 마찰에 의한 대전
--> 이로써 전기적으로 중성인 두 절연체를 접촉시키면 서로 다른 전하부호로 대전됨을 알 수 있다.
(2) 접촉에 의한 대전 2 - 대전된 절연체와 중성의 도체의 접촉에 의한 대전
--> 아크릴판과 금속구의 전위량이 위처럼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전하가 금속구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았거나, 전하 손실이 컸다고 볼 수 있다.
(3) 유도에 의한 대전 1 - 두 개의 금속구 사용
--> 이론과 실제 실험 결과가 반대로 나타나 버렸다. 여러 번 실험을 반복했지만 똑같은 결과가 나왔는데, 자세한 내용은 오차논의에서 논하겠다.
(4) 유도에 의한 대전 2 - 한 개의 금속구 사용
--> 아크릴판에 의해 유도된 전하와 반대 부호의 전하를 접지시켜서 내보내니 이론대로 금속구엔 아크릴판과 반대 부호의 전하만 남게 되었다.
(5) 보충 실험
--> 이론대로라면 ㉮가 음의 전위, ㉰가 양의 전위를 띠어야 하지만 다르게 측정되었다. 어떤 물음에선 옳은 측정값이 나오고, 어떤 물음에선 이론과 다른 측정값이 나왔다.
2. 오차 논의 및 검토
(1) 두 절연체의 마찰에 의한 대전 실험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지만 이는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전하가 손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접촉에 의한 대전 2 - 대전된 절연체와 중성의 도체의 접촉에 의한 대전
아크릴판과 금속구의 전위량이 위처럼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전하가 금속구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았거나, 전하 손실이 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한 오차도 있지만 아크릴판의 전하가 모두 이동할 만큼 금속구가 전하 수용력이 크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3) 유도에 의한 대전 1 - 두 개의 금속구 사용
완전히 실험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는데, 검토 결과 이는 테스트 봉의 문제로 나타났다. 다른 막대와 실험용 기구들은 측정시 모두 정상적으로 측정되는데, 테스트 봉은 측정되어야 할 전위차의 반대 부호로 나타난다.
이는 장비의 오류로 인한 기계오차로 볼 수 있다.
(4) 유도에 의한 대전 2 - 한 개의 금속구 사용
이론대로 측정되었다.
(5) 보충 실험
(3)과 마찬가지로 테스트 봉의 문제로 인해 측정값이 뒤죽박죽 나타나게 되었다. 이도 기계오차로 볼 수 있다.
[5] 결론
중성의 도체가 대전되려면 접촉이나 유도의 과정이 필요하다. 접촉의 경우에는 절연체와 같은 부호로, 유도의 경우에는 절연체와 다른 부호로 대전된다. 이러한 대전의 과정은 도체의 음전하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동되는 전하의 양에 의해 전위의 세기가 달라진다.
마지막 보충실험 역시 ㉮와 ㉰의 전하부호가 이론과는 반대로 측정되었었는데 이것 역시 전하부호 확인 시 테스트봉을 이용하였는데 세 번째 실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스트봉의 문제로 인해 서로 정반대의 전하부호가 나온 것 같다.
1. 결과 분석
(1) 접촉에 의한 대전 1 - 두 절연체의 마찰에 의한 대전
--> 이로써 전기적으로 중성인 두 절연체를 접촉시키면 서로 다른 전하부호로 대전됨을 알 수 있다.
(2) 접촉에 의한 대전 2 - 대전된 절연체와 중성의 도체의 접촉에 의한 대전
--> 아크릴판과 금속구의 전위량이 위처럼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전하가 금속구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았거나, 전하 손실이 컸다고 볼 수 있다.
(3) 유도에 의한 대전 1 - 두 개의 금속구 사용
--> 이론과 실제 실험 결과가 반대로 나타나 버렸다. 여러 번 실험을 반복했지만 똑같은 결과가 나왔는데, 자세한 내용은 오차논의에서 논하겠다.
(4) 유도에 의한 대전 2 - 한 개의 금속구 사용
--> 아크릴판에 의해 유도된 전하와 반대 부호의 전하를 접지시켜서 내보내니 이론대로 금속구엔 아크릴판과 반대 부호의 전하만 남게 되었다.
(5) 보충 실험
--> 이론대로라면 ㉮가 음의 전위, ㉰가 양의 전위를 띠어야 하지만 다르게 측정되었다. 어떤 물음에선 옳은 측정값이 나오고, 어떤 물음에선 이론과 다른 측정값이 나왔다.
2. 오차 논의 및 검토
(1) 두 절연체의 마찰에 의한 대전 실험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지만 이는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전하가 손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접촉에 의한 대전 2 - 대전된 절연체와 중성의 도체의 접촉에 의한 대전
아크릴판과 금속구의 전위량이 위처럼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전하가 금속구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았거나, 전하 손실이 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한 오차도 있지만 아크릴판의 전하가 모두 이동할 만큼 금속구가 전하 수용력이 크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3) 유도에 의한 대전 1 - 두 개의 금속구 사용
완전히 실험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는데, 검토 결과 이는 테스트 봉의 문제로 나타났다. 다른 막대와 실험용 기구들은 측정시 모두 정상적으로 측정되는데, 테스트 봉은 측정되어야 할 전위차의 반대 부호로 나타난다.
이는 장비의 오류로 인한 기계오차로 볼 수 있다.
(4) 유도에 의한 대전 2 - 한 개의 금속구 사용
이론대로 측정되었다.
(5) 보충 실험
(3)과 마찬가지로 테스트 봉의 문제로 인해 측정값이 뒤죽박죽 나타나게 되었다. 이도 기계오차로 볼 수 있다.
[5] 결론
중성의 도체가 대전되려면 접촉이나 유도의 과정이 필요하다. 접촉의 경우에는 절연체와 같은 부호로, 유도의 경우에는 절연체와 다른 부호로 대전된다. 이러한 대전의 과정은 도체의 음전하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동되는 전하의 양에 의해 전위의 세기가 달라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초 전기 실험] 옴의 법칙(예비, 결과 모두 포함)
[기초회로실험] 6주차 실험 25, 26, 31, 33장 결과보고서입니다.
[기초회로실험] 7주차 실험 35, 37, 38장 결과보고서입니다.
[기초회로실험] 10주차 실험 47, 53장 결과보고서입니다.
[기초회로실험] 13주차 실험 55, 56장 결과보고서입니다.
[기초회로실험]노턴의 정리(결과)
[기초회로실험]교류 회로 소자의 특성(결과)
[기초회로실험]브리지 회로(결과)
[기초회로실험]rc 및 rl미적분회로(결과)
[기초회로실험]rc, rl, rlc 회로의 임피던스 및 전력 측정(결과)
[기초회로실험]rlc 직렬 공진회로(결과)
[기초전기실험]옴(Ohm)의 법칙 결과보고서
[전자전기기초실험]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대 병렬회로 대 직렬회로 결과값 보고서 입니다
소재기초실험 - 녹는점 측정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