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진단검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과 진단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혈소판)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지표를 이용해 파악할 수 있다.
2)목적
①CBC: 혈액의 세포학적 및 이학적 성질과 상태 검사 (적혈구수, 혈색소량,
적혈구 용적, 출혈시간, 응고시간 등)
②Electolyte: 전해질 균형 상태 파악하기 위함
③ESR: 증가 시 폐결핵이나 암과 같이 세포 파괴시키는 염증성 질병을 나타냄
④CRP: 결핵이나 암이 넓게 퍼져 조직파괴나 염증을 나타냄
⑤LDH: 세포 내 신진대사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로, 증가 시 폐경색 의심
⑥albumin: 영양상태 파악 및 간기능 장애의 스크리닝 검사
⑦BUN: 신장기능 평가
⑧Creatine : 신장기능 장애의 진단
3)방법
① 혈액 검사물 수집 (보라색 마개의 진공채혈관을 사용해 채혈, 대부분 정맥 1.8cc)
② 대상자 준비
③ 정맥 천자 시 정맥의 상태 관찰하여 정맥염 부위는 피해서 처자
④ povidone 용액이나 alcohol 용액으로 닦은 다음 공기로 말리거나 멸균된 거즈로 닦아
피부에 남아있는 소독용액이 혈액에 섞이지 않도록 함
4)검사 전 간호
대상자에게 시술에 대한 설명을 하고 교육한다. 말초혈관 천자 시 피부의 병소, 부종, 피부
온도를 사정하여 따뜻하고 병소나 부종이 없는 부위를 선정해야 한다. 피부는 베타딘이나
70% 알콜 등으로 닦고 건조시켜 혈액과 섞이지 않게 한다.
5)검사 후 간호
정맥혈을 채취한 피부를 소독솜으로 닦아 청결히 하고, 바늘을 제거한 다음 바늘을 삽입했
더 부위에 출혈 예방을 위해 단시간 알코올 솜이나 밴드를 이용해 압박해준다.
16. Thoracentesis (흉강천자술)
1)정의
바늘을 늑막강내로 삽입하여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는 침습정 방법이다. 늑막액은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채취하게된다.
2)목적
① 늑막강 내 병적으로 모여있는 액체 제거
② 호흡곤란, 동통, 압박감 경감
③ 늑막액 채취하여 검사 및 진단에 이용
④ 늑막강내로 항생제나 다른 약물 투여
3)방법
① 환자는 발을 의자에 버티고 침대 가장자리에 앉는다. 높은 침상 옆 탁자를 이용해 굽힌
팔 위에 머리를 기대거나 의자 등받이를 보고 두 다리를 벌리고 앉아 팔 머리를 의자
등에 기댄다.
② 옷을 올린 후 반창고나 켈리로 고정 준비를 한다
③ 천자는 무균적 방법으로 의사 시행하며, 피부 소독 후 국소마취제를 천천히 주입한다
④ 늑막강에 천자 바늘을 삽입하여 위치 확인 후(흉부의 늑골 사이 중 아래쪽 늑골 상부),
주사기로 액체를 뽑아 3-way로 잠근다.
⑤ 주사기로 체액을 뽑아 5~10ml 흡입하여 소독된 검사튜브에 담는다
⑥ 삼출액은 천천히 흡인하며 한번에 1200ml 이상은 뽑지 않도록 한다.
⑦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V/S, 전체적 모습 호흡상태를 관찰한다
4)검사 전 간호
검사의 목적, 방법, 절차를 설명하고 검사 승낙서를 받는다. 검사 중에 움직이지 말 것과 검사가 끝난 후에 약간 불편감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린다. 검사 중에 움직이면 주사바늘이 안으로 들어가 간이나 폐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5)검사 후 간호
바늘을 뺀 자리를 작은 소독거즈로 대고 압박 드레싱을 한다. 1시간 정도 천자 부위가 위로 가도록하여 측와위로 눕히고, 천자부위로 삼출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채취한 삼출물은 검사실로 보내고 흡인한 삼출물의 양과 특성 및 검사 중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다.
17. Pleural biopsy (늑막 생검)
1)정의
흉수환자에서 보다 큰 바늘을 이용하여 흉막조직을 얻어내는 시술법이다.
2)목적
①늑막액 채취하여 검사 및 진단에 이용
3)방법
① 흉강천자술과 같은 방법으로 검사할 흉수를 채취한다
② 국소마취한 흉부의 늑간 사이 피부를 일부분 절개하여 생검바늘을 흉강에 삽입하고
흉막생검을 실시한다
③ 생검 바늘 내경을 통해 카테터를 흉강 내로 삽입하고 피부에 고정한다
④ 카테터를 통해 흉수를 배액한다
4)검사 전 간호
흉강천자술과 동일하다.
5)검사 후 간호
흉강천자술과 동일하다.
18. Lung biopsy (폐생검)
1)정의
조직학적, 세포학적 검사를 위해 폐 조직을 떼어내는 방법. 투시, 초음파 혹은 CT를 이용해 폐쇄적 생검을 통하여 검사물을 얻거나, 전신 마취를 통해 흉강 절개술을 시행해 이루어지는 개방적 생검이 있다.
2)목적
① 원인불명의 산재성 폐질환의 원인 확인
② 암, 감염, 기생충 침습이 의심될 시
③ 흉부x-ray, CT, 객담검사와 같이 침습적이지 않은 검사로 결과를 확인하기 어려울 시
3)방법
① 검사 받기 1시간 전 기관지분비물을 감소시키고 불안감소를 위한 약물을 주사한다
② 기관지경을 삽입 후, 병소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직의 일부를 떼어낸다
혹은 기관지경에 바늘을 삽입해 흡인하거나, 브러시를 이용해 묻혀 채취한다.
4)검사 전 간호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 전날 금식하도록 교육하며, 폐생검이 진행되는 동안 기침을 하는 등의 몸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5)검사 후 간호
폐생검으로 인한 합병증(국소마취제에 의한 어지러움, 저혈압, 출혈과 기흉)이 있는지 관찰한다.
19. Lung scan
⑴ perfusion (폐관류 스캔)
1)정의 : 폐혈류의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는 스캔방법이다.
2)목적
① 폐색전증의 평가와 색전증 치료 후의 경과 관찰
② 폐경색과 같은 COPD의 평가, 국소폐관류 등의 평가
③ 심장질환에 의해 발생되는 폐관류의 이상 유무 평가
3)방법
① 검사를 위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정맥주사한 후 바로 검사 시행한다
4)검사 전 간호
IV line을 확보한다. 임산부나 임신 예상되는 환자의 경우 주의하여 관찰한다.
5)검사 후 간호
방사성동위원소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⑵ inhalation (폐환기 스캔)
1)정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입으로 흡인하여 폐내의 환기분포나 기도의 개방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는 방법이다.
2)목적
① 폐의 환기 평가
② 폐색전증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
③ 혈류 분포 이상과 환기장애를 동시에 관찰하기 위함
3)방법
①가스로 변한 방사성동위원소를 입으로 흡입 후 바로 검사 시행한다
4)검사 전 간호
특별히 없음
5)검사 후 간호
특별히 없음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9.26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2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