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버스 측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래버스 측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2
2.92
-10.73
-0.03
-0.02
2.89
-10.75
6-1
29.51
17.04
-24.09
-0.10
-0.05
16.94
-24.14
155.03
0.52
0.24
→ 경거 , 위거 ()
위의 식을 이용하여 측선들의 경거, 위거를 구한 뒤
폐합오차와 폐합비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폐합오차 E = = 0.572712842(m)
폐합비 == =0.003676707
경거조정량
위거조정량
위의 컴퍼스법칙을 이용하여 각 측선들의 조정량을 배분하여 더해주어 조정경거와 조정위거를
구하고 표로 정리하였다.
측선
합경거
합위거
측점
E 좌표
N 좌표
1
100
100
1-2
29.93
17.30
2
129.93
117.30
2-3
22.38
49.14
3
122.38
149.14
3-4
1.08
49.99
4
101.08
149.99
4-5
-19.83
34.89
5
80.17
134.89
5-6
-16.94
24.14
6
83.06
124.14
6-1
0
0
1
100
100
→ 다음으로 조정경거, 조정위거를 통해 합경거, 합위거를 구하여 각 측점들의 좌표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시작점의 좌표를 (100,100)으로 가정하였다.)
→ 횡거란 어느 측선의 중앙점으로부터 기준 자오선(NS선)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의미하며
배횡거는 횡거의 두 배 만큼의 길이로 횡거와 배횡거의 식은 다음과 같다.
어느 측선의 횡거 = 하나 앞 측선의 횡거 + (하나 앞 측선의 경거) + (그 측선의 경거)
어느 측선의 배횡거 = 하나 앞 측선의 배횡거 + 하나 앞 측선의 경거 + 그 측선의 경거
측선들의 배횡거를 구하면,
1-2 :
2-3 :
3-4 :
4-5 :
5-6 :
6-1 :
배면적(폐합트래버스의 면적)을 구하는 식을 이용하여 배면적, 면적을 구한다.
2A = { (각 측선의 위거)(각 측선의 배횡거) }
= 17.30229.93 + 31.84252.31 + 0.85223.46
- 15.10181.25 - 10.75163.23 - 24.14183.06
= 3290.6145
A =
CAD를 이용하여 확인해 본 결과 면적값이 일치하였다.
→ 마지막으로 CAD를 이용하여 측량결과를 제도하였다. 첫 번째 도면은 각 조정을 한 뒤 구한
방위각과 거리 측정값으로 그린 것으로 A점에서 어긋난 부분에 선을 그려(빨간선) 확인한 결과
X증분(경거오차), Y증분(위거오차) 값이 0.52, 0.24로 위 표의 결과와 동일하게 나왔다.
두 번째 도면은 최종적으로 조정경거와 조정위거를 통해 구한 좌표로 그린 것으로 완전하게 폐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위에 썼듯이 면적값의 확인에 이용하였다.
첫 번째 도면에서 방위각은 선홍색, 교각은 파란색으로 표시하였고
두 번째 도면에서 조정경거는 선홍색, 조정위거는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다.
◆ 오차 및 해결방안
기계 설치에 있어서 구심, 정준오차가 부득이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나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천천히 미세하게 조정하면 오차를 아주 작게 만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바람이 불거나 지면이 흙바닥일 때 데오도라이트가 밀린다거나 미세한 진동 등에 의해 우연오차가 발생하고 빛의 굴절, 기온 등에 따른 자연오차가 무조건적으로 발생한다.
그 밖에 보정이 가능한 오차로 각 측정을 할 때에 폴대가 지면과 완전히 수직이 되지 않거나 폴대의 정중앙을 정확하게 시준하지 못해서 생기는 오차는 수준측량 때와 같이 폴대를 좌우로 흔들어 데오도라이트 렌즈의 수직선과 폴대의 옆면을 완전히 일치시킨 뒤 폴대의 중앙을 조준한다거나 관측자를 1명으로 하여 개인오차를 줄인다. 또한 가장 오차가 컸을 것으로 판단되는
거리측정에서는 지형으로 인해 줄자의 수평을 맞추기 힘들었고 처짐에 대한 오차가 발생하였다. 측점 간의 거리는 되도록 같게 하고 측점간의 고저차를 최소화하며 줄자를 최대한 팽팽하게 잡아당겨 처짐을 최소화하고 처짐에 대한 보정을 해주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쉬웠던 부분은 각측량 때에도 그랬지만 특히 이번 실험은 지반이 단단하지 않은 곳에서 데오도라이트를 사용하는 도중에 수포가 조금씩 흔들리는데 중간에 수포를 맞추어도 근본적으로 수포가 움직인다는 것은 기계가 미세하게 움직임을 뜻하므로 신경을 많이 썼음에도 오차가 발생한 것 같아 아쉬웠다.
◆ 고찰
기본적으로 데오도라이트를 설치하고 구심과 정준을 조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려고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바닥에 측점을 표시할 때 평평한 시멘트 바닥에는 분필로 표시를 하고 잔디밭에서는 흙에 분필조각을 박아 표시하였습니다. 조정을 할 때에는 배운대로 발끝으로 대략적 위치를 찾고 수포를 맞추어 정준을 한 뒤 데오도라이트 상단부분 나사를 풀어 미세하게 구심을 맞추고 다시 한번 정준하는 식으로 기계를 설치하였습니다. 폴대를 바라볼 때에는 측점의 중앙이 폴대의 중앙선과 일치하므로 폴대의 중앙선을 조준하였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에 데오도라이트를 설치하고 폴대를 세워도 폴대의 기울기로 인해 조금만 움직여도 초단위에서는 값이 크게 변하여 정위, 반위 값 차이가 꽤 있었습니다. 시간에 여유가 있다면 각 관측을 할 때에 단측법이 아닌 반복법을 사용하여 좀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거리측정에서도 잔디밭과 도로사이에 턱이 있어 줄자의 수평을 맞추기 힘들었고 흙바닥이 평평한 것이 아니고 울퉁불퉁하며 고저차이가 있어서 오차가 많이 생긴 것 같습니다. 강의노트를 보면
보통지의 측각허용오차 = , 측점이 6개이므로 계산하면
이고 폐합비의 허용오차가 1/3000~1/5000 라고 되어 있는데 저희조의 실험은 각오차 346,폐합비 약 1/272 로 범위 안에는 들어가질 않습니다. 다른 조들과 비교했을 때는 정확하게 측정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 측량에 미숙하다보니 그래도 오차가 큰 것 같습니다. 내업에서는
계산순서에 맞추어서 차근히 따라했더니 신기하게 값들이 잘 나왔고 동시에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한 학기동안 많은 측량을 하지는 못했지만 처음보는 측량도구들의 사용법을 익히고 배워가는 것이 재미있었고 응용측량학 때에는 좀 더 준비를 많이 해서 허용오차 내로 측량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