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리를 소홀히 하여 이주민들이 고통 받는 모습을 보고는 백성을 위해 성을 쌓고 치수를 관리한다. 그는 진정한 관리라면 백성을 위해 애쓰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백성을 위해 교육에 앞장서는 이상형 관리의 인물을 보여준다.
6. 유림외사의 사상 및 풍자성
중국의 풍자소설이 일반적으로 사회현실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이상세계를 찬양하는 두 가지 태도로 나누어지듯이 <儒林外史>에서는 이 정반인물을 통해 사회폐단을 비판하고 작자자신의 이상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1) 과거제도에 대한 풍자
청대의 과거제도는 팔고문을 위주로 인재를 선발했다. 이는 청 왕조의 통치기반을 공고히 해줄 수 있는 지식인을 배양하고 민족적 대립감정에 의한 반항정신을 진압시키기 위해 시행한 것으로서, 개인의 사상을 철저하게 통제하여 통치자 계급에 순종하도록 만들었다. 작자는 <儒林外史>를 통해 이러한 과거제도뿐만 아니라, 과거를 통한 인재 선발에 있어 팔고문이라는 제한된 형식을 두어 응시하는 지식인들에게 사고의 범위를 제한하고 사상의 획일화를 가져온 것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한편 부귀공명과 명예에만 집착하는 무지한 지식인의 위선적 모습을 폭로하고자 하기도 했다. 즉 팔고문 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과거제도에 대한 지나친 중시로 인하여 획일화된 사상을 가질 수밖에 없던 지식인, 팔고문 외에 다른 학문과 생활에 대해서는 무지무능한 지식인, 그리고 지식과 실천이 분리된 채 단지 개인의 부귀공명에만 관심을 가져 점점 도덕성을 잃어가는 지식인을 비판하고 있다.
2) 사회병폐에 대한 풍자
지식인들은 학문이 아닌 과거시험에만 열중하고, 관직에 오르면 명예를
6. 유림외사의 사상 및 풍자성
중국의 풍자소설이 일반적으로 사회현실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이상세계를 찬양하는 두 가지 태도로 나누어지듯이 <儒林外史>에서는 이 정반인물을 통해 사회폐단을 비판하고 작자자신의 이상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1) 과거제도에 대한 풍자
청대의 과거제도는 팔고문을 위주로 인재를 선발했다. 이는 청 왕조의 통치기반을 공고히 해줄 수 있는 지식인을 배양하고 민족적 대립감정에 의한 반항정신을 진압시키기 위해 시행한 것으로서, 개인의 사상을 철저하게 통제하여 통치자 계급에 순종하도록 만들었다. 작자는 <儒林外史>를 통해 이러한 과거제도뿐만 아니라, 과거를 통한 인재 선발에 있어 팔고문이라는 제한된 형식을 두어 응시하는 지식인들에게 사고의 범위를 제한하고 사상의 획일화를 가져온 것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한편 부귀공명과 명예에만 집착하는 무지한 지식인의 위선적 모습을 폭로하고자 하기도 했다. 즉 팔고문 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과거제도에 대한 지나친 중시로 인하여 획일화된 사상을 가질 수밖에 없던 지식인, 팔고문 외에 다른 학문과 생활에 대해서는 무지무능한 지식인, 그리고 지식과 실천이 분리된 채 단지 개인의 부귀공명에만 관심을 가져 점점 도덕성을 잃어가는 지식인을 비판하고 있다.
2) 사회병폐에 대한 풍자
지식인들은 학문이 아닌 과거시험에만 열중하고, 관직에 오르면 명예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