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1. 신고전주의 의미
2. 신고전주의 특징
3. 독일과 프랑스의 신고전주의
4. 부조니 (Ferruccio Benvenuto Bu-soni)
5. 스트라빈스키 (Igor Fyodorovitsch Stravinski)
(1)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관
(2) 스트라빈스키의 쇤베르크에 대한 평가
(3) 스트라빈스키 작품 특징 : 리듬, 화성, 관현악법과 편성
(4)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1기
(5)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2기
(6)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3기
1. 신고전주의 의미
2. 신고전주의 특징
3. 독일과 프랑스의 신고전주의
4. 부조니 (Ferruccio Benvenuto Bu-soni)
5. 스트라빈스키 (Igor Fyodorovitsch Stravinski)
(1)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관
(2) 스트라빈스키의 쇤베르크에 대한 평가
(3) 스트라빈스키 작품 특징 : 리듬, 화성, 관현악법과 편성
(4)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1기
(5)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2기
(6)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3기
본문내용
해인 1918년 스트라빈스키가 쓴 <병사 이야기>를 들 수 있다. 이 곡은 행진곡, 탱고, 왈츠, 코랄, form 타임 등의 짧은 형식을 나열한 일종의 모음곡이다. 이 곡의 특징은 우선 이전의 발레 음악 등에 비해 민족적인 풍취가 사라졌고, 기존 러시아 악파의 특징인 대편성 관현악곡 대신 소규모 실내악 편성을 택하였으며 전체 길이도 상대적으로 짧아졌다. 그러나 초기 작품의 특색인 리듬에 대한 의존도, 독특한 음색적 특성이 보여 완벽하게 이전 시기와 결별한 것은 아니었다.
스트라빈스키가 신고전주의 음악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 과도기적 작품은 <풀치넬라>와 <8주중곡>이다. 풀치넬라는 보통 페르골레지의 작품을 모아 새롭게 편곡한 곡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이 작품에는 페르골레지 이외에도 갈로나 파리소티 몬짜 등의 여러작곡가의 작품이 동시에 사용되었다. 발레 음악 '풀치넬라'는 풀치넬라라는 인물의 변장, 죽음과 부활, 여러 명의 가짜 풀치넬라의 등장, 마술사 포르보의 교묘한 술수 등의 주제로 진행되는 21곡의 모음곡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R. Vlad, Stravinsk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75P
이 곡의 풀치넬라라는 인물은 해학과 풍자적 특성이 강한 이태리 코메디의 전형적인 캐릭터로 키가 크고 삐뚤어진 코를 가진 추남이다. 민첩성과 재치, 잔인성과 어리석음, 자만성과 소심함 등의 성격을 지녔고 가면을 쓰거나 변장을 잘 하는 인물로 그려졌다. 초연은 1920년 마신느(L. Massine)의 안무와 주연, 그리고 피카소(P. Picasso)의 무대 디자인으로 공연되었다.
스트라빈스키의 제2기의 고전주의로의 획기적인 전환은 많은 사람들이 그가 러시아에 원천을 둔 독특한 스타일의 음악을 하다가 왜 18세기의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었는지 의문을 가졌고 비난하였다. 그리고 이런 변신도 오래지 않아 또 전환하리라 믿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중의 예상을 깨고 스트라빈스키는 낭만주의 이전 시대의 이상적인 형식과 구성만을 고집하였고, '8주중곡'을 계기로 사실주의적 원시주의를 버리고 음악적 객관주의에 이르렀다.
(6)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3기
스트라빈스키는 미국으로 활동무대를 옮기면서 제3기를 맞게 된다. 이 시기에 스트라빈스키는 일종의 예술적 위기를 느끼고 있었다고 한다. 쇤베르크와 함께 줄곧 현대음악의 선봉자로 추앙받던 작곡가였는데 시간이 갈수록 형세는 쇤베르크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스트라빈스키가 살고 있는 헐리우드에서 불과 5~6km 떨어진 곳에 살고 있던 쇤베르크가 1951년 사망한 후, 드디어 스트라빈스키는 쇤베르크의 음렬주의에 대한 관심을 표출했다. 이 시기에 그는 <칸타타>에서 처음으로 12음기법을 사용하였다.
스트라빈스키는 자신을 '음악의 발명가'라 일컫었다. 발명가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개념을 스트라빈스키는 작곡가에게 적용시키면서, 작곡의 수공예적 특성을 부각시켰다. 그는 차이코프스키의 편지에서 "(그들은) 바로 위대한 음악가가 했어야할 바로 그 일을 행한 사람이 되고자 노력했다. 그것은 수공업자이다. 그들은 구두공이 구두를 만드는 것과 같이 매일 매일 그리고 요청을 받아서, 불멸의 작품을 완성했다."라는 구절을 인용하며 "이 얼마나 옳은 생각인가! 바하, 헨델, 하이든,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과 같이 널리 알려진 작곡가들은… 그들의 작품을 이러한 방법으로 작곡하지 않았겠는가?"라고 덧붙였다.
참고문헌 : 오희숙, <20세기 음악 1, 2>
20세기 작곡가 연구회, <20세기 작곡가 연구 I>
이종구, <20세기 시대정신과 현대음악>
스트라빈스키가 신고전주의 음악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 과도기적 작품은 <풀치넬라>와 <8주중곡>이다. 풀치넬라는 보통 페르골레지의 작품을 모아 새롭게 편곡한 곡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이 작품에는 페르골레지 이외에도 갈로나 파리소티 몬짜 등의 여러작곡가의 작품이 동시에 사용되었다. 발레 음악 '풀치넬라'는 풀치넬라라는 인물의 변장, 죽음과 부활, 여러 명의 가짜 풀치넬라의 등장, 마술사 포르보의 교묘한 술수 등의 주제로 진행되는 21곡의 모음곡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R. Vlad, Stravinsk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75P
이 곡의 풀치넬라라는 인물은 해학과 풍자적 특성이 강한 이태리 코메디의 전형적인 캐릭터로 키가 크고 삐뚤어진 코를 가진 추남이다. 민첩성과 재치, 잔인성과 어리석음, 자만성과 소심함 등의 성격을 지녔고 가면을 쓰거나 변장을 잘 하는 인물로 그려졌다. 초연은 1920년 마신느(L. Massine)의 안무와 주연, 그리고 피카소(P. Picasso)의 무대 디자인으로 공연되었다.
스트라빈스키의 제2기의 고전주의로의 획기적인 전환은 많은 사람들이 그가 러시아에 원천을 둔 독특한 스타일의 음악을 하다가 왜 18세기의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었는지 의문을 가졌고 비난하였다. 그리고 이런 변신도 오래지 않아 또 전환하리라 믿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중의 예상을 깨고 스트라빈스키는 낭만주의 이전 시대의 이상적인 형식과 구성만을 고집하였고, '8주중곡'을 계기로 사실주의적 원시주의를 버리고 음악적 객관주의에 이르렀다.
(6)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양식 : 제3기
스트라빈스키는 미국으로 활동무대를 옮기면서 제3기를 맞게 된다. 이 시기에 스트라빈스키는 일종의 예술적 위기를 느끼고 있었다고 한다. 쇤베르크와 함께 줄곧 현대음악의 선봉자로 추앙받던 작곡가였는데 시간이 갈수록 형세는 쇤베르크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스트라빈스키가 살고 있는 헐리우드에서 불과 5~6km 떨어진 곳에 살고 있던 쇤베르크가 1951년 사망한 후, 드디어 스트라빈스키는 쇤베르크의 음렬주의에 대한 관심을 표출했다. 이 시기에 그는 <칸타타>에서 처음으로 12음기법을 사용하였다.
스트라빈스키는 자신을 '음악의 발명가'라 일컫었다. 발명가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개념을 스트라빈스키는 작곡가에게 적용시키면서, 작곡의 수공예적 특성을 부각시켰다. 그는 차이코프스키의 편지에서 "(그들은) 바로 위대한 음악가가 했어야할 바로 그 일을 행한 사람이 되고자 노력했다. 그것은 수공업자이다. 그들은 구두공이 구두를 만드는 것과 같이 매일 매일 그리고 요청을 받아서, 불멸의 작품을 완성했다."라는 구절을 인용하며 "이 얼마나 옳은 생각인가! 바하, 헨델, 하이든,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과 같이 널리 알려진 작곡가들은… 그들의 작품을 이러한 방법으로 작곡하지 않았겠는가?"라고 덧붙였다.
참고문헌 : 오희숙, <20세기 음악 1, 2>
20세기 작곡가 연구회, <20세기 작곡가 연구 I>
이종구, <20세기 시대정신과 현대음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