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빨리빨리 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인의 빨리빨리 문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본론-빨리빨리 문화가 등장하게 된 배경
1)민족적 특성
2)지형적 특성

3.결론

본문내용

벼를 수확하기까지 4번 정도 관리해 주면 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8번 정도 관리해야했다. 아열대기후의 더운 날씨와 비슷한 여름철에 이 모든 과정을 끝내야 하기 때문에 벼농사를 하는 다른 농경국가에 비해 상당히 부지런히 작업을 해야 했다. 또 각종 재해나 가뭄에도 대비해야 했으니 우리 민족이 빨리빨리 문화를 갖게 된 것은 자명하다. 이렇게 시간에 쫓기며 지내오길 수십 년, 수백 년을 반복하다 보니 빨리빨리 문화는 우리의 특성이 되었다. ‘동창이 밝았는데 소치는 아이는 상기 일어나지 않았는가?’ 와 같은 시조를 봐도 농사를 부지런히 지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통해 빨리빨리 문화는 농경을 하는 우리민족에게 계속해서 전해져 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결론
이렇게 우리나라는 민족적 특성,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빨리빨리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 빨리빨리 문화는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생겨난 결과 위주의 문화가 아닌, 우리민족 고유의 특성이라는 것이다. 국토의 78%가 산으로 이루어져있는 악조건 속에서도 한국인은 특성인 빨리빨리를 등에 업고 벼농사를 성공적으로 이루었듯이, 현대에도 빨리빨리 문화를 잘 적용시킨다면 놀라운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10.01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