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회신 엽서 쓰기
혼인 형태
결혼 대상과 시기
결혼전 관습
결혼 순서
결혼식 형태
결혼식 의상
결혼관련 풍습
피로연
결혼비용
느낀점
혼인 형태
결혼 대상과 시기
결혼전 관습
결혼 순서
결혼식 형태
결혼식 의상
결혼관련 풍습
피로연
결혼비용
느낀점
본문내용
일본의 결혼 문화
≪ 사 진 ≫
초대합니다~~~!
〓〓〓〓〓〓〓〓〓〓〓〓〓〓〓〓〓〓〓〓〓〓〓〓〓〓〓〓〓〓〓〓〓〓〓〓〓〓〓〓〓〓〓〓〓〓〓〓〓〓〓
일본에서는 초대장과함께
참석 여부를 알려주는 회신엽서까지 들어있습니다.
▶ 회신 엽서 쓰기
╋━━━━━━━━━━─────────
≪ 사 진 ≫
보낸분 성함옆에 있는 『行』을 지우고
『様』로 바꿔씀.
보내는 입장에서는 자기자신에게
돌아오는것이기에 『行』을 사용했지만,
받은사람은 다시 보내야 하기 때문에
받게 되는 분의 이름옆에 존칭의 의미로
『様』을 덧붙인다.
╋━━━━━━━━━━─────────
≪ 사 진 ≫
참석할경우엔 『ご欠席』에 취소선 ,
『ご出席』의 『ご』에 취소선 긋고
『出席』에 동그라미.
불참일 경우엔 『ご出席』에 취소선을
『欠席』에 동그라미.
마지막으로
공백에 축하메세지를 넣은다음
자기의 주소등 필요한정보를 적음.
〓〓〓〓〓〓〓〓〓〓〓〓〓〓〓〓〓〓〓〓〓〓〓〓〓〓〓〓〓〓〓〓〓〓〓〓〓〓〓〓〓〓〓〓〓〓〓〓〓〓〓
(『ご』란 단어는 상대방을 높이는 조사이기때문에
보내는 입장에서는 부탁의 의미이기에『ご』를 붙였지만
받은 사람입장에서는 자기가 출석한다고 표현해야하기때문에 『ご』를 지웁니다.)
▶ 혼인 형태
╋━━━━━━━━━━─────────
□ 고대 귀족들 사이 - 남자가 아내가 사는 처갓집을 방문하여 부부생활을 하는 쯔마도이콘(妻方婚)이 행해지기도 함.
□ 무코이리콘(淚入婚:데릴사위제) 요메이리콘(嫁入婚:며느리를 맞이하는 혼인)으로 변화 혼인의례의 변화를 동반하게 됨.
□ 전자의 경우 신랑 신부가 이미 사실혼 상태에서 혼인의례는
추인(追認)에 지나지 않았지만 요메이리콘으로 바뀌면서 의례도복잡하게 됨.
≪ 사 진 ≫
초대합니다~~~!
〓〓〓〓〓〓〓〓〓〓〓〓〓〓〓〓〓〓〓〓〓〓〓〓〓〓〓〓〓〓〓〓〓〓〓〓〓〓〓〓〓〓〓〓〓〓〓〓〓〓〓
일본에서는 초대장과함께
참석 여부를 알려주는 회신엽서까지 들어있습니다.
▶ 회신 엽서 쓰기
╋━━━━━━━━━━─────────
≪ 사 진 ≫
보낸분 성함옆에 있는 『行』을 지우고
『様』로 바꿔씀.
보내는 입장에서는 자기자신에게
돌아오는것이기에 『行』을 사용했지만,
받은사람은 다시 보내야 하기 때문에
받게 되는 분의 이름옆에 존칭의 의미로
『様』을 덧붙인다.
╋━━━━━━━━━━─────────
≪ 사 진 ≫
참석할경우엔 『ご欠席』에 취소선 ,
『ご出席』의 『ご』에 취소선 긋고
『出席』에 동그라미.
불참일 경우엔 『ご出席』에 취소선을
『欠席』에 동그라미.
마지막으로
공백에 축하메세지를 넣은다음
자기의 주소등 필요한정보를 적음.
〓〓〓〓〓〓〓〓〓〓〓〓〓〓〓〓〓〓〓〓〓〓〓〓〓〓〓〓〓〓〓〓〓〓〓〓〓〓〓〓〓〓〓〓〓〓〓〓〓〓〓
(『ご』란 단어는 상대방을 높이는 조사이기때문에
보내는 입장에서는 부탁의 의미이기에『ご』를 붙였지만
받은 사람입장에서는 자기가 출석한다고 표현해야하기때문에 『ご』를 지웁니다.)
▶ 혼인 형태
╋━━━━━━━━━━─────────
□ 고대 귀족들 사이 - 남자가 아내가 사는 처갓집을 방문하여 부부생활을 하는 쯔마도이콘(妻方婚)이 행해지기도 함.
□ 무코이리콘(淚入婚:데릴사위제) 요메이리콘(嫁入婚:며느리를 맞이하는 혼인)으로 변화 혼인의례의 변화를 동반하게 됨.
□ 전자의 경우 신랑 신부가 이미 사실혼 상태에서 혼인의례는
추인(追認)에 지나지 않았지만 요메이리콘으로 바뀌면서 의례도복잡하게 됨.
추천자료
일본의 고대문명 성립과 에도시대를 중심으로한 일본문화의 성격
일본문화와 한국문화의 비교
중국문화와 일본문화 비교
일본의_음식문화.
일본의문화와생활세계 9주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전통문화] 영화 ”한밤중의 야지상 기타상“을 통해 본 에도시대
게이샤를 주제로한 일본문화와 우리나라문화와의 차이점 - 화려하지만 슬픈 이름 ‘게이샤’와 ...
[일본의문화와예술]일본의 미술-우끼요에를 중심으로
일본문화japanese culture의이해 중간고사 레포트
[일본사회문화의이해 A형]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여러 출판사에서 번역되어 있음)을...
일본대중문화의 역사적 변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