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회의 창립에서 해소까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간회의 창립에서 해소까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신간회의 창립
(1) 민족협동전선론의 대두
(2) 정우회선언
(3) 조선민흥회
(4) 신간회의 창립
3. 신간회의 활동
(1) 복대표대회
(2) 신간회 지회의 활동과 성격
4. 신간회의 해소
(1) 해소론의 논리와 대두
(2) 신간회의 해소
5. 맺음말

본문내용

맺음말- 신간회의 한계와 의의
신간회는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전민족의 자주적(自主的) 요구에 의해 건설된 최대 민족운동체로서의 위상을 갖추었지만, 실제로는 민족해방운동(民族解放運動) 전반을 올바르게 지도하지 못하고 1931년 사실상의 해체를 맞았다. 신간회가 파국을 맞이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일제의 탄압이 주요한 이유이겠지만, 근본적으로 사회주의자들이 신간회의 우경화를 막아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독자적 헤게모니를 장악하지 못했다는데 있다. 이 외에도 신간회가 애초부터 가지고 있었던 조직적(組織的)인 문제- 단체 가입제가 아닌 개인 가입제 등-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해가는 각계의 대중운동을 치밀하게 지도하지 못했고, 당적 구조를 가진 합법운동체라는 한계 등의 이유로 말미암아 신간회는 해체될 수밖에 없었다. 신간회의 해체로 이후 1930년대 국내전선에서의 민족주의 좌파들은 그 운동기반을 잃고 분산되거나 급격하게 개량화되었다. 그러나 신간회 운동은 30년대 이후 해외전선에서 다시 일어난 민족통일전선(民族統一戰線)에게는 20년대 전반기 임시정부운동 때의 통일운동으로서의 국민대표자대회와 함께 귀중한 경험과 자산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신간회 운동은 지하운동의 방파제 역할로서의 표면 운동이라는 의미로 그 존재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결국 신간회는 식민지조선인들의 정치적사회적 훈련의 도장 혹은 일제통치 세력에 대한 일정한 압력수단이 될 수 있는 단계의 민족협동전선(民族協同戰線)이었고 지식인 중심의 민중운동체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신간회는 식민지조선 민중의 민족적, 계급적 요구에 응하여 조직차원에서 거기에 참여하거나 그것을 지도할 수 있는 단체는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민족운동(民族運動)사상의 과제는 이러한 신간회를 민족적, 계급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간회 창립시 표명했던정치적 투쟁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전환시켜 나가는 일이었고 해소운동에는 그러한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해소운동이 곧 신간회의 해체가 되고 말았던 것은 해소론자들의 오류였으며 민족운동 역량의 커다란 손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간회 운동은 일시적이거나 한때 있었던 좌우합작으로만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이후 조선의 민족해방운동(民族解放運動)은 30,40년대 신간회 운동의 반성 속에서 실질적인 민족통일국가(民族統一國家)를 준비해 들어가는 통일전선운동으로 발전해 들어갔고, 해방직후의 좌우합작운동, 이후 분단이 실제화된 상황에서는 자주적 민족통일국가를 지향하는 통일전선운동으로 이어져 갔었다. 그러기에 이런 일관된 민족해방운동사의 맥락 속에서 민족통일전선운동의 진정한 출발기로 신간회 운동을 이해할 때 신간회 운동의 의의와 가치는 올바르게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신간회운동>, 《한국사》49, 2003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7, 2003
이균영, 《신간회연구》, 1993, 역사비평사
역사학연구소,《강좌 한국근현대사》, 2002, 풀빛
《이야기 한국역사》12, 1997, 풀빛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