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복군과 대일전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광복군과 대일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광복군 창설 배경
2. 한국광복군의 창설
3. 중국 군사위원회와의 관계
4. 광복군의 초모(招募)․선전활동
5. 국내 침투를 위한 ‘독수리 작전과 국내 정진대(挺進隊)’

본문내용

장래에 국제간의 발언권이 박약하다는 것이다.”라고 우려하였다. 그러나 OSS와 연계된 국내정진작전이 좌절되었다고, 이를 학수고대하던 광복군의 의지마저 곧바로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광복군에서는 곧바로 국내로의 ‘정진대(挺進隊)’파견을 추진하였다. 이범석 장군을 포함한 4명으로 광복군 정진대를 편성하여 해방 3일 후인 8월 18일 여의도 비행장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일본군의 삼엄한 경계와 저항으로 도착 28시간 만에 다시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이로써 광복군의 모든 노력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와 같이 비록 최후의 노력은 실패하였으나 광복군은 임시정부의 무장부대로 해방의 순간까지 꾸준히 활동하였다. 이들은 해방 후 부대단위로 입국하지 못함으로써 그 위상이 크게 약화되었다.
국내 입국 후 광복군에 종사하였던 사람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다양한 군사단체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활동을 지속하였고, 대부분의 간부들은 대한민국 국군의 창건에 참여 국군창설의 주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1993, 일조각
조영진, 『항일무장 독립투쟁사2』,1999, 일원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2004, 솔출판사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10.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