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복군 창설 배경
2. 한국광복군의 창설
3. 중국 군사위원회와의 관계
4. 광복군의 초모(招募)․선전활동
5. 국내 침투를 위한 ‘독수리 작전과 국내 정진대(挺進隊)’
2. 한국광복군의 창설
3. 중국 군사위원회와의 관계
4. 광복군의 초모(招募)․선전활동
5. 국내 침투를 위한 ‘독수리 작전과 국내 정진대(挺進隊)’
본문내용
장래에 국제간의 발언권이 박약하다는 것이다.”라고 우려하였다. 그러나 OSS와 연계된 국내정진작전이 좌절되었다고, 이를 학수고대하던 광복군의 의지마저 곧바로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광복군에서는 곧바로 국내로의 ‘정진대(挺進隊)’파견을 추진하였다. 이범석 장군을 포함한 4명으로 광복군 정진대를 편성하여 해방 3일 후인 8월 18일 여의도 비행장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일본군의 삼엄한 경계와 저항으로 도착 28시간 만에 다시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이로써 광복군의 모든 노력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와 같이 비록 최후의 노력은 실패하였으나 광복군은 임시정부의 무장부대로 해방의 순간까지 꾸준히 활동하였다. 이들은 해방 후 부대단위로 입국하지 못함으로써 그 위상이 크게 약화되었다.
국내 입국 후 광복군에 종사하였던 사람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다양한 군사단체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활동을 지속하였고, 대부분의 간부들은 대한민국 국군의 창건에 참여 국군창설의 주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1993, 일조각
조영진, 『항일무장 독립투쟁사2』,1999, 일원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2004, 솔출판사
이와 같이 비록 최후의 노력은 실패하였으나 광복군은 임시정부의 무장부대로 해방의 순간까지 꾸준히 활동하였다. 이들은 해방 후 부대단위로 입국하지 못함으로써 그 위상이 크게 약화되었다.
국내 입국 후 광복군에 종사하였던 사람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다양한 군사단체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활동을 지속하였고, 대부분의 간부들은 대한민국 국군의 창건에 참여 국군창설의 주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1993, 일조각
조영진, 『항일무장 독립투쟁사2』,1999, 일원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2004, 솔출판사
추천자료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정책을 국제행정론의 측면(Global Governance, ...
[논문] 남한 역사학계의 한국사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
[중국현대사]아편전쟁 이후부터 5.4운동 이전까지 중국 현대 역사상 발생한 사건 - 양무운동
명성황후에 대해서 [을미지변의 발발과 배경]
[전략적 간호관리 E형]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본]일본 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진출(유엔안전보장이사회상임이사국진출)과 국가별입장, 한...
북일국교정상화협상(북한일본국교정상화)의 추진배경, 교섭과정, 협상현황, 재개, 북일국교정...
[제2차세계대전]제2차세계대전의 특성, 제2차세계대전의 전개과정, 제2차세계대전의 연합국형...
약산 김원봉, 강제 연행, 징용 및 징병 등으로 인한 재일 한국인
전시작전 통제권(戰時作戰統制權 / wartime operational control) 전환과 한반도 안보에 대하...
[국제정책 및 통상갈등 공통]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가간, 다국적 기업간, 또는 남북간 갈등(...
[빅데이터의이해 공통] 맵리듀스, 빅데이터의 출현배경, ‘수집-분석-적용-피드백’의 관점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