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순의 의미
2. 바순의 구조
3. 바순의 역사
4. 바순의 역할
5. 바순의 종류
6. 바순의 음색
7. 바순의 관리 요령
8. 명곡과 연주자
2. 바순의 구조
3. 바순의 역사
4. 바순의 역할
5. 바순의 종류
6. 바순의 음색
7. 바순의 관리 요령
8. 명곡과 연주자
본문내용
음은 Tu[투]로 악기 없이 발음하게 되면 혀끝으로 위/ 아랫니의 안쪽을 재빨리 치고 뒤로 빼내는 형태가 된다.
더블 텅잉의 예
몇몇 목관악기에서는 제한되지만 빠른 패시지Passage에서 tuku투쿠의 발음으로 텅잉한다. tu투를 발음할 때는 싱글텅잉처럼 혀를 움직이며 발음하고 ku쿠의 발음은 혀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발음하는 것과 동시에 악기에 공기를 넣어 소리 낸다. 이때 tu와 ku 의 소리 나는 정도가 비슷할수록 완벽한 텅잉을 하게 된다.
겹리드를 지닌 목관악기의 텅잉 : 겹 리드 목관악기는 오보에와 바순이다. 두 겹으로 되어 있는 리드를 위아래 입술과 함께 입안으로 약간 집어넣어 입술 양 옆 근육에 힘을 주고 오히려 입에 닿은 부분은 살짝 물어 불어넣는 공기에 리드가 떨리도록 하여야 하며 혀가 직접 리드 끝에 닿게 텅잉한다. 더블 텅잉까지는 수월하나 트리플 텅잉이나 플러터 텅잉은 겹 리드 악기의 특성상 입에 힘이 많이 들어가므로 소리내기 어렵다.
오버블로잉(overblowing) : 현악기의 하모닉스와 같은 의미이다. 즉 관의 중간 지점에 구멍(vent)를 만들어서 열 경우엔 기본음이 나오며, 구멍을 닫을 경우엔 1octave 위의 음이 나온다
키(keys) : 악기의 음역확대를 위해서 즉 손가락이 닿지 않는 곳의 구멍을 닫았다, 열었다 할 수 있는 교묘한 방법을 연구해 낸 것으로 관의 길이를 연장시켰다.
피치 pitch : 음정을 말한다. 관악기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해서 연주자가 항상 노력해야 한다. 관의 길이에 따라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항상 관을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입술로 조절해야 한다.
7. 바순의 관리 요령
연주 전 : 리드는 작은 용기에 물을 담아 적셔준 다음 연주한다.
연주 후 : 그리고 리드를 리드 홀더에 놓고 말린다. 상단 연결부를 부드러운 천으로 닦으며 하단 연결부는 막대에 천을 끼워 닦아준다. 각 연결부를 잘 말리고 부드럽고 깨끗한 천으로 바깥 부분을 닦아준다. 악기의 각 부위는 살짝 비틀면서 분리하며 케이스에 넣고 잘 보관한다.
<바순연주곡>명곡
◎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 중 고성
◎ 프로코피예프 “피터와 늑대” 중 할아버지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1악장”
◎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서곡”
◎ 도니제티 “사랑의 묘약 중 남몰래흘리는 눈물”
◎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2악장”
◎ 비발디-bassoon concertos
◎ 베버-concerto in F major
◎ 모짜르트-concerto in B♭ major
바순 연주자
밀란 투르코비치: 우리시대 최고의 바순 연주자
Klaus Thunemann(1937~) 북독일 방송 교향악단 주자
노르웨이 호르텐 출신의 바순 연주자 '닥 옌젠'
<자료 출처>
관악기 실기교육에 관한 연구 : 금관악기 중심으로 /박은미
오보에, 바순에 사용되는 더블리드에 관한 연구 / 남송은
http://www.classickorea.co.kr 클래식코리아
http://www.bassoon.co.kr/ 최호순의 바순
더블 텅잉의 예
몇몇 목관악기에서는 제한되지만 빠른 패시지Passage에서 tuku투쿠의 발음으로 텅잉한다. tu투를 발음할 때는 싱글텅잉처럼 혀를 움직이며 발음하고 ku쿠의 발음은 혀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발음하는 것과 동시에 악기에 공기를 넣어 소리 낸다. 이때 tu와 ku 의 소리 나는 정도가 비슷할수록 완벽한 텅잉을 하게 된다.
겹리드를 지닌 목관악기의 텅잉 : 겹 리드 목관악기는 오보에와 바순이다. 두 겹으로 되어 있는 리드를 위아래 입술과 함께 입안으로 약간 집어넣어 입술 양 옆 근육에 힘을 주고 오히려 입에 닿은 부분은 살짝 물어 불어넣는 공기에 리드가 떨리도록 하여야 하며 혀가 직접 리드 끝에 닿게 텅잉한다. 더블 텅잉까지는 수월하나 트리플 텅잉이나 플러터 텅잉은 겹 리드 악기의 특성상 입에 힘이 많이 들어가므로 소리내기 어렵다.
오버블로잉(overblowing) : 현악기의 하모닉스와 같은 의미이다. 즉 관의 중간 지점에 구멍(vent)를 만들어서 열 경우엔 기본음이 나오며, 구멍을 닫을 경우엔 1octave 위의 음이 나온다
키(keys) : 악기의 음역확대를 위해서 즉 손가락이 닿지 않는 곳의 구멍을 닫았다, 열었다 할 수 있는 교묘한 방법을 연구해 낸 것으로 관의 길이를 연장시켰다.
피치 pitch : 음정을 말한다. 관악기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해서 연주자가 항상 노력해야 한다. 관의 길이에 따라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항상 관을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입술로 조절해야 한다.
7. 바순의 관리 요령
연주 전 : 리드는 작은 용기에 물을 담아 적셔준 다음 연주한다.
연주 후 : 그리고 리드를 리드 홀더에 놓고 말린다. 상단 연결부를 부드러운 천으로 닦으며 하단 연결부는 막대에 천을 끼워 닦아준다. 각 연결부를 잘 말리고 부드럽고 깨끗한 천으로 바깥 부분을 닦아준다. 악기의 각 부위는 살짝 비틀면서 분리하며 케이스에 넣고 잘 보관한다.
<바순연주곡>명곡
◎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 중 고성
◎ 프로코피예프 “피터와 늑대” 중 할아버지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1악장”
◎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서곡”
◎ 도니제티 “사랑의 묘약 중 남몰래흘리는 눈물”
◎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2악장”
◎ 비발디-bassoon concertos
◎ 베버-concerto in F major
◎ 모짜르트-concerto in B♭ major
바순 연주자
밀란 투르코비치: 우리시대 최고의 바순 연주자
Klaus Thunemann(1937~) 북독일 방송 교향악단 주자
노르웨이 호르텐 출신의 바순 연주자 '닥 옌젠'
<자료 출처>
관악기 실기교육에 관한 연구 : 금관악기 중심으로 /박은미
오보에, 바순에 사용되는 더블리드에 관한 연구 / 남송은
http://www.classickorea.co.kr 클래식코리아
http://www.bassoon.co.kr/ 최호순의 바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