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고 있음
⑷ 기분에 영향을 미치며, 섬망, 환상과 정신분열병의 금단 증상에 영향을 미침
⑸ 체온 조절과 신체의 통증 조절 체계에 관련됨
⑹ 지나치게 많으면 뇌기능 자극
⑺ 부족하면 침정작용
8) 멜라토닌
⑴ 계절적 감정 장애와 수면-각성 주기에 연관됨
9) 글루타민산
⑴ 구조적 및 기능적 단백질의 합성에 사용
⑵ 시냅스의 소포에 저장되어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됨
⑶ 흥분성에 관여
10) GABA
⑴ 억제성에 관여
⑵ 간질을 치료하고 수면을 유도하는데 사용
정신과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 검사
1)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r Tomography)
⑴ 뇌구조의 세 가지 영역의 구조 제공 : 두개골 내의 뇌실과 연조직
(3차원 영상 가능) 뇌에 기초한 문제의 증거 제공
종양의 위치 확인
⑵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알코올리즘, 치매 및 알츠하이머 질환 발견
→ 뇌실이 확장, 뇌 피질의 위축, 약물 치료에 반응이 적음
2)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⑴ 두개골에 근접하게 뇌의 구조 촬영
⑵ 뇌의 백질과 회백질 구별 가능
⑶ 뇌실 크기의 증가, 측두엽의 퇴축, 해마 및 뇌동맥 위축 등의 변화 관찰
3)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⑴ 컴퓨터 단층촬영을 하는 동안 양전기를 방출하는 방사능 물질을 사용하여 생화학적
물질이 소모되는 비율을 보여줌
⑵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노인성 치매, 자폐증, 주의력 결핍, 과다 행동장애
→ 비정상적인 생화학적 반응
⑶ 자폐증, 정신분열병 → 전두엽의 활동이 위축
4) 단일광자 방출 단층촬영(SPECT)
⑴ 핵 중에서 직접 쏘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음
⑵ 신경전달 활동과 뇌의 심층부에서의 혈액의 흐름에 대한 영상을 제공
⑶ 광황장애 → 비정상적인 전두엽, 후두엽, 측두엽, 해마의 상태
5) 뇌 전기 활동 지도(BEAM)
⑴ 섬광이나 갑작스런 소리와 같은 특정 자극, 또는 특정 정신적 어부에 의해 유발된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뇌파 검사 EEG로부터의 데이터를 CT의 기술로 표현
⑵ 뇌의 활동 및 기능에 대한 영상
⑶ 뇌의 넓은 영역의 누적된 활동을 나타냄
<참고문헌>
1. 김윤희 외(2001), 정신간호총론(上), 수문사, pp 282 ~ 294
2. 이평숙 외(2001), 전신건강간호학(상권), 신광출판사, pp 234 ~252
3. 하양숙 외(1995), 정신건강간호학(상권), 현문사, pp 110 ~ 114
⑷ 기분에 영향을 미치며, 섬망, 환상과 정신분열병의 금단 증상에 영향을 미침
⑸ 체온 조절과 신체의 통증 조절 체계에 관련됨
⑹ 지나치게 많으면 뇌기능 자극
⑺ 부족하면 침정작용
8) 멜라토닌
⑴ 계절적 감정 장애와 수면-각성 주기에 연관됨
9) 글루타민산
⑴ 구조적 및 기능적 단백질의 합성에 사용
⑵ 시냅스의 소포에 저장되어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됨
⑶ 흥분성에 관여
10) GABA
⑴ 억제성에 관여
⑵ 간질을 치료하고 수면을 유도하는데 사용
정신과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 검사
1)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r Tomography)
⑴ 뇌구조의 세 가지 영역의 구조 제공 : 두개골 내의 뇌실과 연조직
(3차원 영상 가능) 뇌에 기초한 문제의 증거 제공
종양의 위치 확인
⑵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알코올리즘, 치매 및 알츠하이머 질환 발견
→ 뇌실이 확장, 뇌 피질의 위축, 약물 치료에 반응이 적음
2)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⑴ 두개골에 근접하게 뇌의 구조 촬영
⑵ 뇌의 백질과 회백질 구별 가능
⑶ 뇌실 크기의 증가, 측두엽의 퇴축, 해마 및 뇌동맥 위축 등의 변화 관찰
3)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⑴ 컴퓨터 단층촬영을 하는 동안 양전기를 방출하는 방사능 물질을 사용하여 생화학적
물질이 소모되는 비율을 보여줌
⑵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노인성 치매, 자폐증, 주의력 결핍, 과다 행동장애
→ 비정상적인 생화학적 반응
⑶ 자폐증, 정신분열병 → 전두엽의 활동이 위축
4) 단일광자 방출 단층촬영(SPECT)
⑴ 핵 중에서 직접 쏘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음
⑵ 신경전달 활동과 뇌의 심층부에서의 혈액의 흐름에 대한 영상을 제공
⑶ 광황장애 → 비정상적인 전두엽, 후두엽, 측두엽, 해마의 상태
5) 뇌 전기 활동 지도(BEAM)
⑴ 섬광이나 갑작스런 소리와 같은 특정 자극, 또는 특정 정신적 어부에 의해 유발된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뇌파 검사 EEG로부터의 데이터를 CT의 기술로 표현
⑵ 뇌의 활동 및 기능에 대한 영상
⑶ 뇌의 넓은 영역의 누적된 활동을 나타냄
<참고문헌>
1. 김윤희 외(2001), 정신간호총론(上), 수문사, pp 282 ~ 294
2. 이평숙 외(2001), 전신건강간호학(상권), 신광출판사, pp 234 ~252
3. 하양숙 외(1995), 정신건강간호학(상권), 현문사, pp 110 ~ 1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