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에 인덕터에 생기는 역기전력은 저항에 걸려 있던 전압과 크기가 같으므 로 이때 전류의 크기가 변하므로 역기전력이 생긴다. 따라서 오차가 생기게된다.
(2) 이상적인 인덕터의 경우 즉, 인덕터의 내부저항이 \"0\" 에 가까워질수록 [그림8]의 그래 프는 어떻게 될 것인가?
=> 인덕터의 내부저항이 0에 가까워질수록 V0 = 5V 에 가까워진다.
(3) 인덕터에 철심(iron core)을 넣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인덕턴스 L 값은 어떤 차이 가 있겠는가?
=> 인덕터의 철심은 피크점을 극대화 시켜 자속이 커지게 한다. 따라서 철심을 넣었을 경 우 L값이 커지게 된다.
2.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에서는 R-C 회로 (저항과 축전기 연결) R-L 회로 (저항과 인덕터 연결)에 전류를 흘려 보내 이때의 시간 대 전압의 그래프로 나타내어 이를 이용해 충전기의 충전용량과 인덕터의 인덕턴스 L을 구해 실험적인 수치와 이론적인 수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키르히호프 법칙을 실제로 확인해 보았다.
R-C회로 실험에서 공칭값은 실제측정치로부터 의 오차를 허용한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오차 범위내의 값이 얻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오차가 일어나는 이유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커서로 t 의 값을 측정할 때 측정이 부정확했고, 또한 회로전류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흐르며 콘덴서는 지수 함수적으로 충전을 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콘덴서에 전류가 흘렀으며, 도선의 내부저항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다.
R-L 회로에서의 오차는 마찬가지로 인덕터 자체의 내부저항과 t 의 값 측정 상 오차, 도선의 내부저항, 인덕터의 emf작용 등에 기인한다.
세 번째 실험에서 전원전압과 총전압이 거의 일치하여 키르히호프법칙을 증명해 낼 수 있었다. R-C 회로에서의 총전압은 전원전압과 매우 일치하는 수치를 기록한다. 하지만 R-L회로에서는 총전압이 완벽히 전원전압과 일치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콘덴서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생기는 오차보다 인덕터의 내부 저항에 의한 오차가 훨씬 컸기 때문이다. 또한 DC ON/OFF 때 인덕터가 전류증가에 대해 반대의 기전력 (emf)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큰 수치의 오차를 기록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직접 R-C회로와 R-L회로를 볼 수 있었고 키르히호프 법칙을 실제로 확인하게 되어 뜻깊었다.
3.참고문헌
http://phya.yonsei.ac.kr/~phylab
(2) 이상적인 인덕터의 경우 즉, 인덕터의 내부저항이 \"0\" 에 가까워질수록 [그림8]의 그래 프는 어떻게 될 것인가?
=> 인덕터의 내부저항이 0에 가까워질수록 V0 = 5V 에 가까워진다.
(3) 인덕터에 철심(iron core)을 넣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인덕턴스 L 값은 어떤 차이 가 있겠는가?
=> 인덕터의 철심은 피크점을 극대화 시켜 자속이 커지게 한다. 따라서 철심을 넣었을 경 우 L값이 커지게 된다.
2.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에서는 R-C 회로 (저항과 축전기 연결) R-L 회로 (저항과 인덕터 연결)에 전류를 흘려 보내 이때의 시간 대 전압의 그래프로 나타내어 이를 이용해 충전기의 충전용량과 인덕터의 인덕턴스 L을 구해 실험적인 수치와 이론적인 수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키르히호프 법칙을 실제로 확인해 보았다.
R-C회로 실험에서 공칭값은 실제측정치로부터 의 오차를 허용한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오차 범위내의 값이 얻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오차가 일어나는 이유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커서로 t 의 값을 측정할 때 측정이 부정확했고, 또한 회로전류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흐르며 콘덴서는 지수 함수적으로 충전을 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콘덴서에 전류가 흘렀으며, 도선의 내부저항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다.
R-L 회로에서의 오차는 마찬가지로 인덕터 자체의 내부저항과 t 의 값 측정 상 오차, 도선의 내부저항, 인덕터의 emf작용 등에 기인한다.
세 번째 실험에서 전원전압과 총전압이 거의 일치하여 키르히호프법칙을 증명해 낼 수 있었다. R-C 회로에서의 총전압은 전원전압과 매우 일치하는 수치를 기록한다. 하지만 R-L회로에서는 총전압이 완벽히 전원전압과 일치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콘덴서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생기는 오차보다 인덕터의 내부 저항에 의한 오차가 훨씬 컸기 때문이다. 또한 DC ON/OFF 때 인덕터가 전류증가에 대해 반대의 기전력 (emf)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큰 수치의 오차를 기록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직접 R-C회로와 R-L회로를 볼 수 있었고 키르히호프 법칙을 실제로 확인하게 되어 뜻깊었다.
3.참고문헌
http://phya.yonsei.ac.kr/~phylab
추천자료
렌츠의법칙 및 옴의 법칙, 저항읽기, Rc회로, 빛의 간섭과회절 조사자료
기초회로실험 7RC회로
전자회로결과레포트-공통컬렉터(이미터 폴로어) 증폭기
[일반물리학실험Ⅱ] 24장. 직류회로 (예비레포트)
디코더인코더 회로_결과보고서
[실험7]RC_및_RL_회로(1계회로)
BJT 트랜지스터 증폭 회로_결과_보고서
RC회로에서의 충전, 방전 과정
일반물리학실험 직류회로
rc회로에서의 충방전 공전
[물리학 및 실험] RLC회로의 임피던스 : 저항, 인덕터 및 축전기로 구성된 교류회로에서 주파...
베이스 접지 증폭기 및 이미터 폴로워 회로_결과(전자회로실험)
결과_전력증폭기회로
결과_다이오드응용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