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생명의 시작과 태내발달의 단계 - 수정, 성의 결정, 발아기, 배아기, 태아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 생명의 시작과 태내발달의 단계 - 수정, 성의 결정, 발아기, 배아기, 태아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태내발달의 중요성

2. 생명의 시작
 1) 수정
  (1) 배란(ovulation)
  (2) 난자의 특징
  (3) 정자의 특징
  (4) 수정의 과정
  (5) 쌍생아의 탄생
  (6) 수정란의 생존가능성
 2) 성의 결정

3. 태내발달의 단계
 1) 발아기(germinal period)
 2) 배아기(embryonic period)
 3) 태아기(fetal period)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에 되면 배아로 성장한다.
(5) 착상
① 착상이 완전히 이루어지는데는 1주일이 걸리는데 착상과 동시에 발아기가 끝나고 배아기가 시작
② 임신의 약 58%가 착상에 실패
③ 자궁외 임신: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지 못하고 난관, 난소, 자궁경부, 자궁각에 착상됨
자궁외 임신은 오래 지속될 수가 없기 때문에 태아는 난관 등에서 충분히 발육하지 못하고 유산되거나 난관파열을 일으키기도 함
때로는 복강 내 과대출혈로 임부가 사망에 이르기도 함
사진: 자궁외 임신이 일어나는 부위
2) 배아기(embryonic period)
(1)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한 후부터 8주까지 기간
(2) 배아기가 되면 자유롭게 떠다니던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여 어머니와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
(3) 아주 빠른 발달 속도 보임
(4) 배아의 발달
① 내세포 덩어리는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으로 분리된 층으로 분화
외배엽: 피부의 표피, 손톱, 발톱, 머리카락, 신경계, 감각기관으로 발달
중배엽: 피부의 진피, 근육, 골격, 순환계, 배설기관으로 발달
내배엽: 소화기관, 간 췌장, 침샘, 호흡기 계통으로 발달
4주: 심장이 뛰기 시작, 뇌와 신경조직이 분화, 입이나 소화기관, 간 등이 형성
8주:
ⅰ. 얼굴에서 입, 눈, 귀분화, 팔과 다리, 손발 형성
ⅱ. 성기형성이 시작, 근육이나 연골조직이 발달
ⅲ. 내부기관에서도 장, 간, 폐, 신장, 췌장이 뚜렷하게 형성되고 그 기능을 시작
ⅳ. 신경조직이 발달
② 외세포 덩어리
융모막과 양막이라는 두 개의 막을 형성-자궁벽에서 형성과 막과 함께 태아를 감쌈
양막:
ⅰ. 양수로 차고, 양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아를 보호하고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 주는 기능
ⅱ. 동시에 탯줄이 발달하여 태아를 자궁벽의 태반과 연결
ⅰ) 어머니와 태아의 혈류는 모두 태반에 닿아 있으나, 이들은 섬세한 반투명 막으로 분리되어 있음
ⅱ) 이를 통해 어머니 혈액 속의 영양분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고 태아로부터 만들어진 배설물도 태반을 통해 어머니에게 와서 배출될 뿐만 아니라 유해 환경도 태반을 통해 전달
(5) 태내환경에 대해 각별한 주의 요함
① 발달을 저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 영구적인 손상가능성 높음
② 배아기는 여성의 신체가 태아의 존재에 대해 적응하는 시기
호르몬 수준에서 변화, 가슴 커짐
두통, 구토, 특정한 음식을 찾거나 피하는 입덧, 피로, 감정적 예민
3) 태아기(fetal period)
(1) 8주 이후에서 출생까지
(2) 새로운 기관의 형성보다는 성장의 가속화
① 수동적 존재에서 촉각적 자극에 대해 반응하고, 운동기능의 점차 분화되고 복잡
② 태아는 신생아와 유사한 수면과 각성의 사이클을 갖게 됨
③ 소음을 들을 수 있고, 큰 소리나 음악은 태아의 움직임을 촉발
(3) 태아기의 발달
① 12주경: 인간의 형체를 닮기 시작, 팔 다리의 움직임이 나타남, 성별을 구분
② 16주경: 어머니가 태동을 느낌,
이를 통하여 태아가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고 애착을 형성
③ 20주: 태아의 움직임이 활발해 짐
태내에서의 많은 활동들은 출생 이후에 사용될 반사능력의 기초가 됨
태반의 안정기-이전에는 유산의 위험이 큼
태반의 역할
ⅰ. 태반을 통해 태아는 모체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음
ⅱ. 태아의 몸 속에 생긴 탄산가스와 노페물을 배출함
ⅲ. 어머니로부터 면역성을 얻어 출생 후 질병에 대한 면역성도 지니게 됨
④ 28주: 태아는 미숙아로 태어난다 하더라도 인큐베이터에서 양육이 가능
체중이 1.5kg 정도면 생존이 가능
2.3kg 이상이면 인큐베이터에서 양육하지 않아도 됨
마지막 3개월 동안 태아의 체중은 급격하게 증가-이유: 지방층의 발달에 기인
그 결과 태아는 자궁에서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움직임을 위한 공간이 줄어들게 됨
⑤ 36주: 대부분의 태아는 머리가 아래로 간 위치로 정착하게 됨
이러한 형태는 자궁 내에서 가장 많은 공간을 학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출산을 용이하게 함
참고문헌
정옥분 저,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3
권민균, 문혁준 외 저, 아동발달, 창지사 2012
이대식, 여태철 외 저,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아경희 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교문사 2010
손혜숙, 오애순 외 저, 아동발달론, 양서원 2012
Fergus P. Hughes 저,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정정옥, 김광자, 영유아 교사를 위한 최신 보유학 개론, 교육아카데미 2012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0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