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혈액 종양 (백혈병, 소아신경모세포종, 악성종격동종양, 간모세포종,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ward clas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혈액 종양 (백혈병, 소아신경모세포종, 악성종격동종양, 간모세포종,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ward class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백혈병
▷ 소아 MD(소아 신경 모세포종)
▷ 악성종격동 종양 (Mediastinal ca)
▷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LCH)

본문내용

병소가 여러 곳에 있거나 유아에서 생길수록 더 중하다.
침범된 장기와 그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며, 아래 증상중 하나 혹은 여러 가지가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전신 증상 : 열이나 설사가 나기도하며, 보채며 기운이 없다.
뼈의 증상 : 환자의 80%에서 보이며 5세 이후의 환자에서는 뼈에만 국한하여 병변이 나타날 수도 있다.
두개골을 가장 많이 침범하고, 두개골에 구멍이 여럿 뚫여 두개골의 단순방사선사진상 지도모양의 병소를 보인다. 척추뼈를 침범하여 척추가 내려앉거나, 팔/다리 뼈에 침범하여 골절이 초래되기도 한다.
이러한 것은 골수염, 악성골종양, 그리고 골낭종 등과 구별이 어려울 때가 많다.
피부증상 : 몸통이나 이마에 습진 비슷한 구진, 자반성 발진과 육아종성 궤양이 나타날 수 있다.
폐 : 폐를 침범하면 빈호흡, 호흡곤란, 기침, 폐기종, 늑막삼출 등이 올 수 있다.
간이나 비장이 커지거나, 저단백 혈증, 부종, 복수, 과빌리루빈 혈증이 있다.
조혈계 :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골수에서의 조직구 증가를 알 수 있으나 골수 장애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림프절 비대 된다.
안구 돌출 : 양쪽으로 오며, 안구 주위에 조직구의 이상증식으로 온다.
기타 : 뇌하수체와 뇌저부에 침범하면 요붕증, 성장장애, 사춘기 지연 등이 오고 장을 침범하면 장염이 온다.
2) 진단
이상의 여러 증상과 더불어 피부, 골수, 뼈에서 조직검사하여 특징적인 조직구 증식을 증명하면 학진이된다. 가장 간편한 방법은 피부의 발진을 떼어 내어 슬라이드에 묻혀 염색을 해 보면 특징적인 조직구를 볼 수 있다.
3) 치료
완해와 재발을 반복할 수 있으며 단순 장기 침범의 경우 저절로 치유되는 수도 있다.
단순 골병변의 치료 : 외과적으로 절제나 긁어내는 수술을 한다.
방사선치료 : 약 5회 방사선조사여 총 10Gy정도 주며, 치료 후 약 5개월 정도에 효과가 현저하다.
아래의 경우에 방사선치료를 한다.
하악, 잇몸, 그리고 상악에 병변이 있는 경우로 치아가 흔들거리거나 치통이 있어 제대로 씹지를 못할 때, 힘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골절의 위험이 있을 때, 수술 후 국소 재발을 했을 때, 골 병변이 수술 후에도 낫지 않을 때, 뼈를 뚫고 나가는 팽창성 병변으로 척수나 안구 같은 주위의 중요 장기를 압박할 때, 안면이나 두개골 같이 외관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곳에 생겼을 때, 약물 치료 중에도 통증이 있는 병변, 요붕증이 있을 때 한다.
세 개 이상의 장기에 침범되었을 때, 장기의 기능 부전이 있을 때, 초기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한 경우 면역요법을 하기도 하고 골수이식을 하기도 한다.
4) 예후
나이가 어릴수록(2세 미만), 침범된 장기가 많을수록, 장기 장애가 많을수록, 조직학적으로 섬유화나 괴사가 많을 수록 예후가 나쁘다.
약 50%에서 요붕증, 성장 장애, 만성 폐질환, 지능장애, 간경변, 신경장애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드물지만 갑상선암, 백혈병, 림프종 등 2차성 악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1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2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