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troduction
Experimental section
Results and Discussion
Reference
Experimental section
Results and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3·H2O enantiomer의 polarimeter 결과
고유 광회전도 [α]D=177.4144
[(-)-Co(en)3]I3·H2O enantiomer
그림2. [(-)-Co(en)3]I3·H2O enantiomer의 polarimeter 결과
고유 광회전도 [α]D=-127.67
3.UV spectrum
그림3. [(+)-Co(en)3]I3·H2O enantiomer의 UV spectrum
최대 파장 λmax=467nm, 최대 흡광도 Amax=1.14940
그림4. [(-)-Co(en)3]I3·H2O enantiomer의 UV spectrum
최대 파장 λmax=467nm, 최대 흡광도 Amax=0.43993
Conclusion
ethylendiamine과 hexaaquocobalt(II) chloride를 합성하여 얻은 화합물인 [Co(en)3]Cl3를 이용한 실험으로, 합성->분리->분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실험1에서의 합성은 2.4549g의 생성물을 얻었고 57.1%의 수득률이 나왔다. 실험2에서는 실험1의 생성물을 (+)-enantiomer와 (-)-enantiomer로 분리하는 과정으로, sodium potassium (d)-tartrate tetrahydrate counter-ion으로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걸러진 결정이 (+)-enantiomer이고 여과된 용액이 (-)-enantiomer로, 결정의 수득량은 1.2718g이며 수득률은 40%가 나왔다. 실험3과 실험4는 실험2의 생성물 중에서 각각 (+)-enantiomer인 결정과 (-)-enantiomer인 여과된 용액을 이용하는 실험으로 재결정을 통하여 실험3은 1.7765g, 실험4는 0.1185g의 생성물을 얻었다. 수득률은 각각 44.9%, 3%가 나왔는데, 실험하기 전에 [Co(en)3]Cl3는 라세미 혼합물이라서 이론상 수득량이 같을 뿐더러, 실험상 오차가 생기더라도 비슷한 양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이론상 수득량의 절반이 얻어진 실험3의 양에 비해 실험4는 매우 적은 양을 얻었다. 매우 적은 양을 얻은 (-)-enantiomer는 [Co(en)3]Cl3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용액으로, 넣어주는 용매의 양이 많아질수록 여과된 용액의 농도는 낮아지는 데다가 8ml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실험을 진행하면서 (-)-enantiomer의 수득량은 굉장히 낮을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polarimeter의 결과는 각각 (+), (-)로 잘 나왔고, UV spectrum도 점점 농도를 낮춰서 매끄러운 곡선을 얻었으나, (-)-enantiomer에 비해 (+)-enantiomer의 농도가 너무 높아서 (+)-enantiomer를 더 많이 묽혀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최대 파장인 λmax은 같은 값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 것처럼 467nm의 동일한 peak값을 얻었다.
Reference
1) 실험노트
2) 네이버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2247&mobile&categoryId=353
고유 광회전도 [α]D=177.4144
[(-)-Co(en)3]I3·H2O enantiomer
그림2. [(-)-Co(en)3]I3·H2O enantiomer의 polarimeter 결과
고유 광회전도 [α]D=-127.67
3.UV spectrum
그림3. [(+)-Co(en)3]I3·H2O enantiomer의 UV spectrum
최대 파장 λmax=467nm, 최대 흡광도 Amax=1.14940
그림4. [(-)-Co(en)3]I3·H2O enantiomer의 UV spectrum
최대 파장 λmax=467nm, 최대 흡광도 Amax=0.43993
Conclusion
ethylendiamine과 hexaaquocobalt(II) chloride를 합성하여 얻은 화합물인 [Co(en)3]Cl3를 이용한 실험으로, 합성->분리->분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실험1에서의 합성은 2.4549g의 생성물을 얻었고 57.1%의 수득률이 나왔다. 실험2에서는 실험1의 생성물을 (+)-enantiomer와 (-)-enantiomer로 분리하는 과정으로, sodium potassium (d)-tartrate tetrahydrate counter-ion으로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걸러진 결정이 (+)-enantiomer이고 여과된 용액이 (-)-enantiomer로, 결정의 수득량은 1.2718g이며 수득률은 40%가 나왔다. 실험3과 실험4는 실험2의 생성물 중에서 각각 (+)-enantiomer인 결정과 (-)-enantiomer인 여과된 용액을 이용하는 실험으로 재결정을 통하여 실험3은 1.7765g, 실험4는 0.1185g의 생성물을 얻었다. 수득률은 각각 44.9%, 3%가 나왔는데, 실험하기 전에 [Co(en)3]Cl3는 라세미 혼합물이라서 이론상 수득량이 같을 뿐더러, 실험상 오차가 생기더라도 비슷한 양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이론상 수득량의 절반이 얻어진 실험3의 양에 비해 실험4는 매우 적은 양을 얻었다. 매우 적은 양을 얻은 (-)-enantiomer는 [Co(en)3]Cl3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용액으로, 넣어주는 용매의 양이 많아질수록 여과된 용액의 농도는 낮아지는 데다가 8ml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실험을 진행하면서 (-)-enantiomer의 수득량은 굉장히 낮을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polarimeter의 결과는 각각 (+), (-)로 잘 나왔고, UV spectrum도 점점 농도를 낮춰서 매끄러운 곡선을 얻었으나, (-)-enantiomer에 비해 (+)-enantiomer의 농도가 너무 높아서 (+)-enantiomer를 더 많이 묽혀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최대 파장인 λmax은 같은 값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 것처럼 467nm의 동일한 peak값을 얻었다.
Reference
1) 실험노트
2) 네이버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2247&mobile&categoryId=353
키워드
추천자료
하고 싶은 무기화학 실험??
무기화학실험 크롬산 납 제조
[무기화학실험]Synthesis of Metal Acetylacetonates
[무기화학실험]Preparation of CdS quantum dots (nanoscience)
[무기화학실험]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무기화학실험 - 증류에 의한 두 액체의 분리
[무기화학실험]Synthesis of Metal acetylacetonate complexes
(무기화학실험) Tris(thiourea)copper(1)sulphate 합성
[무기화학실험] phosphor
무기화학실험 - XPS[ESCA]의 원리와 특성, XPS 장치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