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정관리
2. 행정기능
3. 행정기술
2. 행정기능
3. 행정기술
본문내용
는 기술을 의미하며, 주로 인간 심리의 특성을 통찰하고 관심배려관용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 전체파악적인 행정기술
전체 파악적 기술은 행정의 최고의 기술이요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최고행정책임자에게 가장 많이 요구되는 행정기술이다. 따라서 담임목사는 전체를 파악하고 통합하는 안목이 기술을 익혀야 한다. 교회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지금 교회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교회의 조직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교회의 인적 물적 영적 자원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는 예산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인사관리를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등 전체를 보는 눈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에 따라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도 하고, 동기를 부여하기도 하고, 이리 저리로 산만하게 흩어져 있는 자원들을 하나로 통합시키거나 분산시키기도 해야 한다. 아무리 풍부한 인적, 물적, 영적 자원을 갖고 있다고 할지라도 이를 통합하고 방향을 잡아 주고 동기를 부여해주는 행정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그 귀한 자원들은 잠잘 수밖에 없고 사장될 수밖에 없다. 행정 실무자나, 중간관리자들도 전체를 파악하고 보는 눈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람은 누가 뭐래도 최고 책임자인 담임목사에게 필요한 행정역량이다. 담임목사는 이를 위해 부교역자나 당회 등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인이나 교회의 각급 지도자(부장, 구역장, 집사 등등) 들과 의심탄회한 대화가 필요하다. 이런 대화를 통해 전체를 파악하고 통합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은 유기적인 활동이다. 실무자, 관리자, 최고 책임자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방적인 지시나 명령 그리고 감독으로 되지 않는다. 행정이 유기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실무자는 실무자대로, 중간관리자는 중간관리자대로, 최고 책임자는 최고책임자대로 각자의 위치에서 실무적 기술과 인간관계적 기술과 전체 파악적 기술들을 균형 있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조합하고 이끌어가는 것은 누가 뭐래도 담임목사이다. 담임목사는 우리 교회에서 누가 실무자인지 누가 중간관리자인지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적절한 행정적 지원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행정기술들은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배워서 익히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한 기술과 감각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기회들은 충분히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전체파악적인 행정기술
전체 파악적 기술은 행정의 최고의 기술이요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최고행정책임자에게 가장 많이 요구되는 행정기술이다. 따라서 담임목사는 전체를 파악하고 통합하는 안목이 기술을 익혀야 한다. 교회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지금 교회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교회의 조직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교회의 인적 물적 영적 자원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는 예산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인사관리를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등 전체를 보는 눈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에 따라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도 하고, 동기를 부여하기도 하고, 이리 저리로 산만하게 흩어져 있는 자원들을 하나로 통합시키거나 분산시키기도 해야 한다. 아무리 풍부한 인적, 물적, 영적 자원을 갖고 있다고 할지라도 이를 통합하고 방향을 잡아 주고 동기를 부여해주는 행정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그 귀한 자원들은 잠잘 수밖에 없고 사장될 수밖에 없다. 행정 실무자나, 중간관리자들도 전체를 파악하고 보는 눈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람은 누가 뭐래도 최고 책임자인 담임목사에게 필요한 행정역량이다. 담임목사는 이를 위해 부교역자나 당회 등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인이나 교회의 각급 지도자(부장, 구역장, 집사 등등) 들과 의심탄회한 대화가 필요하다. 이런 대화를 통해 전체를 파악하고 통합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은 유기적인 활동이다. 실무자, 관리자, 최고 책임자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방적인 지시나 명령 그리고 감독으로 되지 않는다. 행정이 유기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실무자는 실무자대로, 중간관리자는 중간관리자대로, 최고 책임자는 최고책임자대로 각자의 위치에서 실무적 기술과 인간관계적 기술과 전체 파악적 기술들을 균형 있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조합하고 이끌어가는 것은 누가 뭐래도 담임목사이다. 담임목사는 우리 교회에서 누가 실무자인지 누가 중간관리자인지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적절한 행정적 지원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행정기술들은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배워서 익히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한 기술과 감각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기회들은 충분히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추천자료
행정학의 성립배경과 초기행정학의 관리주의 학파를 설명하시오.
[김대중 정부][행정개혁]김대중 정부의 행정개혁 고찰과 성과 평가 및 향후 과제 평가 분석(...
[전산화][행정업무 전산화][도서관 전산화][학교보건업무 전산화][후원관리 전산화][마케팅 ...
전통적 공공관리 이론의 문제점과 인간적 변수의 도입 / 행정학의 고전이론과 정치 행정의 관계
정부조직개편에 관한 이론, 정부조직개편의 분야, 지방환경행정기구의 조직개편, 재해재난관...
[행정규칙, 행정규칙 개념, 행정규칙 종류, 행정규칙 특성, 행정규칙 성질, 행정규칙 관리]행...
[사회복지행정론] 제 13장. 정보관리 & 제 14장. 슈퍼비전과 컨설테이션
[미국의 위기관리체계] 미국 재난관리정책의 전개과정, 미국정부의 재난관리 행정체제의 제도...
[행정의 관리과학] 관리 과학 (管理科學) - 관리과학의 개념(정의)과 적용, 관리과학의 발전...
[보건행정] 보건행정의 정의와 내용, 보건행정 관리과정(행정의 관리원칙, 행정의 계획과 평...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의 주요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시고, 특히 고전적 이론과 인...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가의 관리행동
[2017 교육행정및경영]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