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목받는 인도경제
Ⅱ. 인도 IT 경쟁력(강점) 분석
Ⅲ. 인도 IT 성과
Ⅱ. 인도 IT 경쟁력(강점) 분석
Ⅲ. 인도 IT 성과
본문내용
: 단순 IT S/W에서 고부가가치 분야로 증가
Microsoft: 4 년내17억 달러 추가 투자, SemIndia (인도교포 컨소시엄): 반도체에 30억 달러 투자계획
- IT 관련 서비스 분야의 고도화
2. 인도 기반의 IT업체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
▼ IT에서 자동차, 전자, BT에 이르기까지 인도에서 R&D를 수행하는 다국적 기업들이 증가(다국적 기업들은 인도 R&D센터를 보조적 역할이 아닌 글로벌 R&D활동의 중추로 인식하고 있음)
미국 굴지의 기업체이며 세계 최대의 기업체 가운데 하나로 항공기 엔진과 의료영상설비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금융업에도 관계하며 다수의 제조업체를 소유하고 있는 제너럴 일렉트릭사(GE)의 1,100여명의 인도 R&D인력 중 석사가 44%, 박사가 31%를 차지하며 이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뿐만 아니라 백색가전, 제트 엔진, 의료기기, 나노테크 등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한다. 인텔 또한 2007년까지 2억 달러를 투자해 R&D인력을 3천명으로 늘렸다고 한다.
▼ 많은 미국 기업들이 IT관련 서비스를 위탁할 정도로 인도 IT기업들의 실력이 우수해 짐
- Infosys Technologies, Wipro, Tata 등은 인도 기업 중 가장 존경받는 기업
IT기업들의 기술개발을 통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선진국의 하청생산에서 경쟁자로 등장하게 된다. 미국 500대 기업 중 인도 IT기업의 고객은 2001년 125개에서 2003년 말 285개로 급증한다. 포춘 선정 미 10대 기업 중 8개가 인도 기업인 타타의 고객이며, 포춘 500대 기업 중 97개는 Wipro의 고객이었다.
▼ 인도 기업들은 각종 기술인증 획득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을 과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카네기 멜론大 소프트웨어개발능력평가(CMMI)에서 최고등급(Level 5)을 받은 전세계 7개社 중 5개가 인도회사였으며(2003년 2월) 현재 인도의 거의 모든 기업들이 ISO 9000시리즈 인증을 획득하였다.
▼ IT 기업의 해외 활동 증가
- Tata는 32개국, 100여개 도시에 지사 개설
- Wipro는 전 세계 44개의 개발센터, 30개의 지사 운영
- Infosys, Satyam, Patni는 NASDAQ에 상장
3. 향후 IT산업이 지속적인 인도 성장의 원동력으로 역할을 할 전망
소프트웨어 및 IT관련 서비스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1년 2%에서 2008년 7%로 커지고 향후도 지속적으로 인도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인도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사업자 협회(NASSCOM. 2007))으로 전망된다.
▼ IT산업의 고용창출효과
인도 IT산업 고용현황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소프트웨어
수출부문
170,000
205,000
270,000
345,000
398,000
550,000
소프트웨어 국내부문
22,000
25,000
28,000
30,000
115,000
140,000
소프트웨어
재택근무 부문
224,250
260,000
290,000
322,000
365,000
378,000
ITES-BPO
106,000
180,000
253,500
348,000
415,000
553,000
합계
522,250
670,000
841,500
1045,000
1,293,000
1,621,000
자료:NASSCOM
※ 2001년 이후 IT서비스 분야의 고용인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05년에서 06년 사이 소프트웨어 국내부문의 인력이 약 세배 가까이 증가했는데, 이는 그동안 IT기업들이 충분한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몰려있던 IT분야 전문인력이 대거 사회로 진 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07년 IT서비스분야 약 55만 명, ITES-BPO 약 55만 명 등 직접고용인원이 총 162만 명에 달한다.
예를 들어 IBM은 2007년부터 인도 콜센터 망 구축을 포함한 연구 개발활동을 위해 약 60억 달러를 투자하고 현재 4만 3000명 수 준인 고용규모를 3배 이상 확충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개 발센터건설에서 파생되는 간접산업(건설, 전기, 시스템제어 등)의 고용창출 효과를 고려한다면 향후 IT산업의 고용 창출효과는 더욱 커질 전망된다.
▼ 그 중에서도 BPO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과거 기업내부에서 처리하던 고객관리, 물류, 회계, 재무 등 백오피스 업무를 외부에서 아웃소싱하는 것. 비용절감을 위해 핵심기능 외의 업무를 아웃소싱하려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BPO시장이 급성장.
산업이 급성장
- 2004년 23억 달러인 인도 BPO 산업의 매출은 2008년까지 100억 달러 이상으로 급증하고 같은 기간 신규고용이 50만 명 이상 됨
- BPO 분야에서 필리핀, 아일랜드 등이 부상하고 있지만 인도의 독주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cf.
▷문제점 : 높은 이직률과 여성인력 차별, 수요에 비해 부족한 IT인력
-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내 이직활동이 활발해 두뇌유출이 심각
고임금의 유혹, 해외로의 이직, 수준 높은 재교육 등을 위해서 이직하는 경우가 많음
→ 임금인상, 후생복지 강화, 애사심 강화전략으로 두뇌유출을 방지해야함
인도 현지기업의 대응 방안
TATA
첨단시설을 갖춘 자체훈련센터건립.
IIT IIS와 연계, 직원 훈련 및 인력조달
Wipro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직원들의 석.박사학위 취득 지원
NIIT
School for Employee Education and Development지원
- 소프트웨어 기업의 남녀 비율 65:35
전문 소프트개발인력이 아닌 단순 IT아웃소싱(콜센터 등)은 여성의 비율이 3:7정도로 높음 → 여성의 사회참여 비율을 좀 더 끌어올려야 하고, 기업과 정부에서 능력 있는 여성들을 우선 선발할 수 있게 육아수당, 보조금 지급 등 정책마련이 시급함
- 세계적인 IT인력의 부족
매년 15만 명 이상의 IT인력이 쏟아져 나오는 인도시장이지만 그 중에서도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는 10%내외일 정도로 최고급 인재들의 비율이 적음 → 이공계 대학 증설, 새로운 커리큘럼 개발, 고등교육 의무화 등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함
Microsoft: 4 년내17억 달러 추가 투자, SemIndia (인도교포 컨소시엄): 반도체에 30억 달러 투자계획
- IT 관련 서비스 분야의 고도화
2. 인도 기반의 IT업체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
▼ IT에서 자동차, 전자, BT에 이르기까지 인도에서 R&D를 수행하는 다국적 기업들이 증가(다국적 기업들은 인도 R&D센터를 보조적 역할이 아닌 글로벌 R&D활동의 중추로 인식하고 있음)
미국 굴지의 기업체이며 세계 최대의 기업체 가운데 하나로 항공기 엔진과 의료영상설비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금융업에도 관계하며 다수의 제조업체를 소유하고 있는 제너럴 일렉트릭사(GE)의 1,100여명의 인도 R&D인력 중 석사가 44%, 박사가 31%를 차지하며 이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뿐만 아니라 백색가전, 제트 엔진, 의료기기, 나노테크 등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한다. 인텔 또한 2007년까지 2억 달러를 투자해 R&D인력을 3천명으로 늘렸다고 한다.
▼ 많은 미국 기업들이 IT관련 서비스를 위탁할 정도로 인도 IT기업들의 실력이 우수해 짐
- Infosys Technologies, Wipro, Tata 등은 인도 기업 중 가장 존경받는 기업
IT기업들의 기술개발을 통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선진국의 하청생산에서 경쟁자로 등장하게 된다. 미국 500대 기업 중 인도 IT기업의 고객은 2001년 125개에서 2003년 말 285개로 급증한다. 포춘 선정 미 10대 기업 중 8개가 인도 기업인 타타의 고객이며, 포춘 500대 기업 중 97개는 Wipro의 고객이었다.
▼ 인도 기업들은 각종 기술인증 획득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을 과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카네기 멜론大 소프트웨어개발능력평가(CMMI)에서 최고등급(Level 5)을 받은 전세계 7개社 중 5개가 인도회사였으며(2003년 2월) 현재 인도의 거의 모든 기업들이 ISO 9000시리즈 인증을 획득하였다.
▼ IT 기업의 해외 활동 증가
- Tata는 32개국, 100여개 도시에 지사 개설
- Wipro는 전 세계 44개의 개발센터, 30개의 지사 운영
- Infosys, Satyam, Patni는 NASDAQ에 상장
3. 향후 IT산업이 지속적인 인도 성장의 원동력으로 역할을 할 전망
소프트웨어 및 IT관련 서비스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1년 2%에서 2008년 7%로 커지고 향후도 지속적으로 인도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인도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사업자 협회(NASSCOM. 2007))으로 전망된다.
▼ IT산업의 고용창출효과
인도 IT산업 고용현황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소프트웨어
수출부문
170,000
205,000
270,000
345,000
398,000
550,000
소프트웨어 국내부문
22,000
25,000
28,000
30,000
115,000
140,000
소프트웨어
재택근무 부문
224,250
260,000
290,000
322,000
365,000
378,000
ITES-BPO
106,000
180,000
253,500
348,000
415,000
553,000
합계
522,250
670,000
841,500
1045,000
1,293,000
1,621,000
자료:NASSCOM
※ 2001년 이후 IT서비스 분야의 고용인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05년에서 06년 사이 소프트웨어 국내부문의 인력이 약 세배 가까이 증가했는데, 이는 그동안 IT기업들이 충분한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몰려있던 IT분야 전문인력이 대거 사회로 진 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07년 IT서비스분야 약 55만 명, ITES-BPO 약 55만 명 등 직접고용인원이 총 162만 명에 달한다.
예를 들어 IBM은 2007년부터 인도 콜센터 망 구축을 포함한 연구 개발활동을 위해 약 60억 달러를 투자하고 현재 4만 3000명 수 준인 고용규모를 3배 이상 확충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개 발센터건설에서 파생되는 간접산업(건설, 전기, 시스템제어 등)의 고용창출 효과를 고려한다면 향후 IT산업의 고용 창출효과는 더욱 커질 전망된다.
▼ 그 중에서도 BPO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과거 기업내부에서 처리하던 고객관리, 물류, 회계, 재무 등 백오피스 업무를 외부에서 아웃소싱하는 것. 비용절감을 위해 핵심기능 외의 업무를 아웃소싱하려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BPO시장이 급성장.
산업이 급성장
- 2004년 23억 달러인 인도 BPO 산업의 매출은 2008년까지 100억 달러 이상으로 급증하고 같은 기간 신규고용이 50만 명 이상 됨
- BPO 분야에서 필리핀, 아일랜드 등이 부상하고 있지만 인도의 독주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cf.
▷문제점 : 높은 이직률과 여성인력 차별, 수요에 비해 부족한 IT인력
-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내 이직활동이 활발해 두뇌유출이 심각
고임금의 유혹, 해외로의 이직, 수준 높은 재교육 등을 위해서 이직하는 경우가 많음
→ 임금인상, 후생복지 강화, 애사심 강화전략으로 두뇌유출을 방지해야함
인도 현지기업의 대응 방안
TATA
첨단시설을 갖춘 자체훈련센터건립.
IIT IIS와 연계, 직원 훈련 및 인력조달
Wipro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직원들의 석.박사학위 취득 지원
NIIT
School for Employee Education and Development지원
- 소프트웨어 기업의 남녀 비율 65:35
전문 소프트개발인력이 아닌 단순 IT아웃소싱(콜센터 등)은 여성의 비율이 3:7정도로 높음 → 여성의 사회참여 비율을 좀 더 끌어올려야 하고, 기업과 정부에서 능력 있는 여성들을 우선 선발할 수 있게 육아수당, 보조금 지급 등 정책마련이 시급함
- 세계적인 IT인력의 부족
매년 15만 명 이상의 IT인력이 쏟아져 나오는 인도시장이지만 그 중에서도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는 10%내외일 정도로 최고급 인재들의 비율이 적음 → 이공계 대학 증설, 새로운 커리큘럼 개발, 고등교육 의무화 등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함
추천자료
IT산업 DB 구축 및 분석(우리나라 국회의원 선거참여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유럽 주요 4개국 경제 모델 연구
경영혁신과 성공사례
몽골 IT산업에 대한 현황분석과 한국 기업의 진출 전략
스리랑카 조사 보고서
중국 IT산업 정책 분석 및 전망(WTO 가입에 따른 시장변화)
효율적인 e-비즈니스 산업 인력양성방안 연구
KB국민은행 기업분석및 경영전략분석,문제점및 앞으로의 해결방안제안(우리은행,신한은행과 ...
[경쟁방식, 경쟁방법, 해외투자]경쟁방식(경쟁방법)과 해외투자, 경쟁방식(경쟁방법)과 방송...
카페베네 기업분석과 카페베네 마케팅전략과 카페베네 경쟁력분석과 카페베네 기업성과분석
글로벌기업 (SM엔터테인먼트,이케아.현대자동차)들의 해외진출 글로벌마케팅전략분석및 경영...
[P&G의 해외시장 진출 사례]P&G 기업소개,사례 분석-한국일본중국인도,브랜드마케팅,...
사우스웨스트항공 (Southwest Airlines) - 사우스웨스트항공 기업분석과 차별화된 마케팅, ...
유한킴벌리와 킴벌리클라크 기업분석과 유한킴벌리 경영전략분석및 성과분석,친환경경영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