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중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 인터넷 중독에 대하여...
1. 정 의
2. 인터넷에 중독의 원인
1) Suler(1996)의 견해
2)King(1996)의 견해
3)Young(1997)의 견해
4)Greenfield(1999)의 견해

♣청소년 인터넷 중독
서울시내 고교생 40% 인터넷중독증
1.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원인
1)건전한 놀이 문화의 부재
2)핵가족화 및 가정 해체
2. 인터넷 중독에 빠지기 쉬운 청소년의 유형
1)감각 추구형
2)집중력 장애형
3)적응 장애형
4)구체적인 행동으로 본 인터넷 중독에 빠지기 쉬운 청소년 유형

3.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실제적인 사례
《사례》
4.전반적인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대응방안


♣결론


♣ 참고 자료 목록

본문내용

1. 11. 26
등급분류 세분화, 전문상담센터 시급초고속 인터넷의 급속 확산으로 불처럼 번지고 있는 온라인 게임중독. 이미 많은 치유프로그램과 캠페인 등이 실시되어 왔지만 중독자 증가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치료프로그램의 끊임없는 개선 외에 유해성 온라인 게임을 근절할 수 있는 제도적 정비, 건전한 게임문화 장려책 마련, 전문센터 설립 등을 통해 입체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의 대처방식이 대부분 온라인 상담을 통해 중독자 개인의 각성을 환기하는 정도에만 머물러 있어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 가운데 제도의 정비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온라인 게임의 사후 관리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행법이 신생 게임의 사전 등록과 검열에만 치우친 탓에 게임 등록 후에 파일이나 아이템을 추가해 유해성 게임으로 돌변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미흡한 까닭이다. 이를 막기 위해 등급분류를 우선 세분화하고 등록 후 재등급 분류를 지속해야한다는 주장이다. 국가차원의 전문상담센터를 설립하자는 대응책도 나왔다. 현재 국내에서 중독자들의 재활을 돕는 상담센터는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운영하는 사이버중독센터, YMCA의 상담실 등 4 곳. 하지만 대부분 정보 제공이나 일회성 상담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전문적인 인력의 대대적인 양성과 연구를 총괄하는 상담센터의 설립이 시급하다는 것. 한국정보문화센터 전종수 정보생활진흥단장은 "국내보다 인터넷 인프라가 약해 중독의 정도가 덜한 유럽 국가들도 대부분 국가의 지원아래 전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전한 게임문화의 장려책으로 PC방 평가제도, 우수업체 지정제도 등을 통해 유해환경을 억제해 나가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4.전반적인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대응방안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대응방안으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1)하루 중 컴퓨터를 켜고 끄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하고 꼭 지키도록 노력하라.
뚜렷한 목적이 없는 웹서핑을 하지 말아야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른 일을 다 끝마친 후에 컴퓨터를 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한 시간만 채팅하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은 이 역시 중독증상의 하나일 뿐이다.
2)혼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해라.
남에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은밀성이 사이버 중독증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보다 공개된 장소로 컴퓨터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오락과 휴식의 도구로서의 컴퓨터 사용을 줄여라.
컴퓨터 사용은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유발하므로 또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과감하게 불필요한 게임 CD는 정리하고 게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좋다.
4)신체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늘려라.
땀을 흘리는 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모니터 앞에서 식사를 절대 하지 않으며, 바쁘더라도 컴퓨터를 끈 채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5)사이버 공간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의 대인관계를 늘려라.
PC(게임)방을 가더라고 동료, 연인과 같이 가고 혼자서는 절대 가지 않는다는 원칙을 만드는 것도 좋다.
6)대안활동을 찾아라.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만을 줄이는 데 목적을 두게 되면 남는 시간에 할 일이 없어서 다시 인터넷을 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을 조절하기 원하신다면 인터넷 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는 대안활동을 찾아서 즐기는 것도 좋다. 한두 가지 말고 가능한 한 여러 개가 좋다. 이런 노력을 통해서 중독증상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와 상의해 본다.
♣결론
인터넷 중독은 이제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대두되었다. 앞으로의 사회가 컴퓨터와 함께 살아가야 할 사회가 될 것인데 인터넷 중독으로 인해 컴퓨터의 노예가 되지 않도록 스스로 경각심을 가지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민감한 청소년기에는 주변에서 인터넷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과 함께 아직 잘 인식되지 않고 있는 인터넷 중독이라는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 자료 목록
http://www.inetcare.org/study/study_02_01.asp?fn=32
http://www.cyadic.or.kr/
http://psyber119.com/main.htm
http://sundance.isbest.net/technote/read.cgi?board=notice&y_number=13&nnew=1
http://www.kukminilbo.co.kr/html/kmview/2001/1129/091838157113131100.html
http://fromdoctor.0za.to/
윤재희 (1998)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 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인덕(1999) 온라인 중독증 개념의 타당성 검증 연구. 경희대학교 신문방속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소영(2000)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명준(2000) 인터넷 중독자의 온라인 및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명준, 허유정, 이은정, 권정혜(2001) 인터넷 중독: 중독적 특성, 중독의 결과 및 중독자의 하위유형. 고려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심리검사 및 상담연구" 제5권
송명준, 김신희, 구훈정, 권정혜(2001) 인터넷 중독에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세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심리검사 및 상담연구" 5권.
권준수 인터넷중독증. 대한 의사 협회지 제 42권 제 8호
송명준, 권정혜 (2000) 대학생 인터넷중독 현황 및 인터넷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심리학회 포스터발표)
김상우 (1995) 청소년들의 비디오 게임 이용동기와 선호유형.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춘경 (1991) 비디오 게임과 아동의 인성특성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 대학교 아동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용수 (1998) 인터넷 이용자의 현실지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0.2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