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학]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천손설화와 난생설화의 특징과 대표적인 국가들의 시조설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민족학]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천손설화와 난생설화의 특징과 대표적인 국가들의 시조설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천손설화의 특징
 2.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난생설화의 특징
 3. 대표적인 국가와 인물들
  1) 가야
  2) 고구려
  3) 신라

Ⅲ. 결 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해하며, 아기를 동천이라는 샘에 데리고 가서 몸을 씻겼다. 그러자 아기의 몸에서 광채가 나고, 짐승들이 몰려와 덩달아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고, 하늘과 땅이 울렁이며 태양과 달의 빛이 더욱 밝아졌다. 촌장들은 그 아이의 보고 알이 매우 커서 박과 같다고 하여 성을 ‘박' 이름을 '혁거세'라고 지었다.
삼국시대의 신라를 세운 시조 박혁거세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 또한 하늘로부터 내려온 백마가 절을 하고 다시 하늘로 올라갔음을 통하여 박혁거세가 천손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알에서 태어난 신비로운 출생배경을 타나냄으로써 난생설화의 특징을 함께 구비하고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천손설화와 난생설화의 특징, 그리고 대표적인 나라들의 시조설화를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신화의 경우 북방계 유목민들의 신화에서는 천손설화의 내용을 담는 경우가 많고, 남방계 농경민들의 신화는 난생설화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 고대국가의 시조신화에서는 이 두 가지의 요소가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 역사의 기원인 단군신화의 경우 천손설화의 특징만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 뒤에 건국되는, 우리나라 역사의 가장 지대한 기초를 세운 고구려나 신라, 가야 등의 고대국가의 탄생설화에서는 하늘자손임을 강조하는 천손설화의 내용과 그 천손이 알에서부터 태어났다는 난생설화의 내용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합하여 천손난생신화라는 표현으로 쓰기도 한다. 이는 해당 사회의 경제적 기반이 벼농사나 밭농사 등 농경사회로 이루어져 있었음을 의미하며, 천손사상을 배경으로 집권세력에게 정당성을 부여하여 정치적 바탕으로 삼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고구려나 신라, 가야는 정체성이 두드러지지 않는 부족국가나 집단적 공동체 상태가 전부였던 당시의 상황에서 탈피되어 정립된 한 국가로의 도약을 이루어낸 국가들이었고, 고주몽과 박혁거세, 김수로와 같은 인물들은 그 새로운 도약의 주체가 되는 왕들이었다.
이와 같이 천손설화와 난생설화는 해당 주체의 신성성과 신비성을 부각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당시 아직 정립되지 않은, 확립된 왕권국가를 새롭게 건국하는데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윤철중, 한국의 시조신화, 보고사, 1998.
이지영,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월인, 2000.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2003.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28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