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nohydrate)
녹는점 : 1176 °C (anhydrous)
100 °C (pentahydrate)
50 °C (nonhydrate)
물이 대한 용해도 : 12.4 g/100 mL (0 °C)
18.6 g/100 mL (20 °C)
39 g/100 mL (50 °C)
- Zn(NO3)2
분자량 : 189.36 g/mol (anhydrous) , 297.49 g/mol (hexahydrate)
밀도 : 2.065 g/cm3 (hexahydrate)
녹는점 : 110 °C (anhydrous)
45.5 °C (trihydrate)
36.4 °C (hexahydrate)
끓는점 : ~125 °C, decomp (hexahydrate)
물에 대한 용해도 : 327 g/100 mL, 40 °C (trihydrate)
184.3 g/100 ml, 20 °C (hexahydrate)
6. 실험방법
합성방법 II 역마이셀법 이용
① w=5와 w=10의 역마이셀 용액을 제조한다. (2조 가위바위보에서 진 조)
-25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헥산 100mL를 담는다
-계면활성제(sodium lauryl sulfate; 288.38g/mol)을 3.2g을 용해시킨다.
(magnetic stirrer로 계속 교반)
-w=5의 경우 1mL의 증류수를, w=10의 경우 2mL의 증류수를 각각 넣고 용액이 골고루 섞일 때까지 계속 교반시킨다.
-고무셉터를 끼워서 needle로 N2(g)를 흘려 넣어준다.
② CdS 나노입자의 합성 (1조 2조 or 5조 6조 or 9조 10조)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①의 역마이셀 용액 10mL를 주사기로 취하여 넣고 5의 1M Cd(NO3)2(Cd2+의 농도는 5×10-4M)를 가하고 용액이 완전히 골고루 섞일 때까지 교반시킨다.
-용액이 골고루 섞이면 5의 1M Na2S 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S2-의 농도는 5×10-4M )
-20분정도 방치하고 1cm 큐벳 시료 용기에 취하여 250nm~600nm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다.
③ ZnS 나노입자의 합성 (3조 4조 or 7조 8조 or 11조 12조)
-②의 과정과 동일하게 1M Zn(NO3)2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7.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대한화학회/청문각/p.48-51/1999
-http://ko.wikipedia.org/wiki/%EB%9D%A0_%EC%9D%B4%EB%A1%A0
-http://ko.wikipedia.org/wiki/%EC%9B%90%EC%9E%90%EA%B0%80%EB%9D%A0
-http://ko.wikipedia.org/wiki/%EC%A0%84%EB%8F%84%EB%9D%A0
-http://dic.paran.com/dic_ency_view.php?kid=15994000&q=%BE%E7%C0%DA%BB%E7%C0%CC%C1%EE%C8%BF%B0%FA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mtt_id=72715
-http://ko.wikipedia.org/wiki/%EC%8A%88%EB%A2%B0%EB%94%A9%EA%B1%B0_%EB%B0%A9%EC%A0%95%EC%8B%9D
-http://ko.wikipedia.org/wiki/%EB%AF%B8%EC%85%80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http://en.wikipedia.org/wiki/Cadmium_nitrate
-http://en.wikipedia.org/wiki/Sodium_sulfide
-http://en.wikipedia.org/wiki/Zinc_nitrate
-http://daedeokvalley.tistory.com/472
녹는점 : 1176 °C (anhydrous)
100 °C (pentahydrate)
50 °C (nonhydrate)
물이 대한 용해도 : 12.4 g/100 mL (0 °C)
18.6 g/100 mL (20 °C)
39 g/100 mL (50 °C)
- Zn(NO3)2
분자량 : 189.36 g/mol (anhydrous) , 297.49 g/mol (hexahydrate)
밀도 : 2.065 g/cm3 (hexahydrate)
녹는점 : 110 °C (anhydrous)
45.5 °C (trihydrate)
36.4 °C (hexahydrate)
끓는점 : ~125 °C, decomp (hexahydrate)
물에 대한 용해도 : 327 g/100 mL, 40 °C (trihydrate)
184.3 g/100 ml, 20 °C (hexahydrate)
6. 실험방법
합성방법 II 역마이셀법 이용
① w=5와 w=10의 역마이셀 용액을 제조한다. (2조 가위바위보에서 진 조)
-25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헥산 100mL를 담는다
-계면활성제(sodium lauryl sulfate; 288.38g/mol)을 3.2g을 용해시킨다.
(magnetic stirrer로 계속 교반)
-w=5의 경우 1mL의 증류수를, w=10의 경우 2mL의 증류수를 각각 넣고 용액이 골고루 섞일 때까지 계속 교반시킨다.
-고무셉터를 끼워서 needle로 N2(g)를 흘려 넣어준다.
② CdS 나노입자의 합성 (1조 2조 or 5조 6조 or 9조 10조)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①의 역마이셀 용액 10mL를 주사기로 취하여 넣고 5의 1M Cd(NO3)2(Cd2+의 농도는 5×10-4M)를 가하고 용액이 완전히 골고루 섞일 때까지 교반시킨다.
-용액이 골고루 섞이면 5의 1M Na2S 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S2-의 농도는 5×10-4M )
-20분정도 방치하고 1cm 큐벳 시료 용기에 취하여 250nm~600nm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다.
③ ZnS 나노입자의 합성 (3조 4조 or 7조 8조 or 11조 12조)
-②의 과정과 동일하게 1M Zn(NO3)2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7.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대한화학회/청문각/p.48-51/1999
-http://ko.wikipedia.org/wiki/%EB%9D%A0_%EC%9D%B4%EB%A1%A0
-http://ko.wikipedia.org/wiki/%EC%9B%90%EC%9E%90%EA%B0%80%EB%9D%A0
-http://ko.wikipedia.org/wiki/%EC%A0%84%EB%8F%84%EB%9D%A0
-http://dic.paran.com/dic_ency_view.php?kid=15994000&q=%BE%E7%C0%DA%BB%E7%C0%CC%C1%EE%C8%BF%B0%FA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mtt_id=72715
-http://ko.wikipedia.org/wiki/%EC%8A%88%EB%A2%B0%EB%94%A9%EA%B1%B0_%EB%B0%A9%EC%A0%95%EC%8B%9D
-http://ko.wikipedia.org/wiki/%EB%AF%B8%EC%85%80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http://en.wikipedia.org/wiki/Cadmium_nitrate
-http://en.wikipedia.org/wiki/Sodium_sulfide
-http://en.wikipedia.org/wiki/Zinc_nitrate
-http://daedeokvalley.tistory.com/47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