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으며 우리나라에 전래되는 시기로서 춘향전의 기독교 해석이 연구되는 가치의 소중함을 명확히 시사해 주는 것이다. 이본에 따라서 춘향전의 시대적 배경이 인조 때까지도 소급될 수 있고, 숙종조로도 기록되고 있는데 이 기간동안 남원에는 네덜란드 사람들이 방문한 바가 있었으며 그들 중에 한 기독교 신자는 한국인 아내를 얻어 정착한 뒤 행복하게 살았다는 기록이 있어 주목된다. 또한 만화본춘향가를 쓴 유진한의 사위인 권일신은 신유박해때 순교하였고, 유진한의 친척에는 순교자 유항검·유관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유진한은 기독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사람으로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우쾌제 외, 「고소설 연구사」, 월인, 2002
김병국 외,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이정, 1993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장덕순 외,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한국고소설연구회,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출판사, 1991
진은진, 「女性探索譚의 敍事的 傳統 硏究」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김경완, 「춘향전의 기독교적 시각: 고본 춘향전을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참고문헌
우쾌제 외, 「고소설 연구사」, 월인, 2002
김병국 외,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이정, 1993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장덕순 외,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한국고소설연구회,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출판사, 1991
진은진, 「女性探索譚의 敍事的 傳統 硏究」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김경완, 「춘향전의 기독교적 시각: 고본 춘향전을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