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가해자의 이해와 치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폭력 가해자의 이해와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3. 가정폭력 당사자들에 대한 이해
 1) 가해자 이해
  (1) 폭력 행사의 원인
  (2) 가해자의 일반적 특성
  (3) 가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 가해자의 유형

4. 치료
 1) 상담
  (1) 일반적 지침
  (2) 발달 단계적 개입
  (3) 남자/여자 상담 팀
  (4) 남성 집단과 부부집단 상담
  (5) 탓하지 않기
  (6) 또래 상담
  (7) 상담과 교육
  (8) 비폭력 계약
 2) 행동 기술 훈련
  (1) 기초 선 설정
  (2) 행동의 감독
  (3) 개입에 관한 계획
  (4) 주간 행동 목록 그리고 학대 사건 도표
  (5) 역할극
  (6) 과제
  (7) 개인 스트레스 관리
  (8) 구체적인 행동으로의 분리
  (9) 행동계획(짜임새)
  (10) 축소반응과의 대면
 3) 의사소통 기술 훈련
  (1) \'싸움\' 분석
  (2) \'공정한 싸움\' 훈련
  (3) 반복적인 행동
  (4) 은유, 이야기, 유추에 의한 설명
  (5) 유머
  (6) 소리 내어 생각하기
  (7) 동료 치료자 자문
  (8) \'바보\' 기법
  (9) 의식 증진
 4) 인지 기술 훈련: 합리적 정서(Rational Emotive) 기법

본문내용

감정표현을 더 잘 용납할 수 있다, 그것은 상담의 중간 또는 끝 부분에 가서 RET와 다른 인지관점 원리를 사용한다. RET접근들은 심리 교육 접근과 잘 접목되는 것인데 그것은 본질이 교훈적이기 때문이다. 다음은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RET 접근들의 이름과 토론이다.
ABC's: 학대하는 많은 남자들은 폭력적 행동을 어떤 사건의 결과로 본다. 물론 이것은 다른 사람을 과도하게 탓하는 결과이며 폭력적인 남자의 특성으로 흔히 말한다. ABC원칙을 어느 정도 이야기하고, 자주 상기시키고 반복해서 강화시키는 것이 가해자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서 책임을 지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처음에는 거의 대부분의 가해자들이 자신에 대해서 이와 같이 보는 것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상담원은 이 접근에 대해서 숙달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틀림없이 저항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주 가해자 자신이 반응하게 된 '원인'에 대한 특정한 사건을 발표하게 한다.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건이 분노 또는 감정의 통제를 상실 한 것의 '원인'이면 특히 도움이 된다.
그와 같은 행동의 보편성에 대해서 토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많은 남성 가해자는 누구나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말 할 것이다. 상담원은 어떤 사건에 대해서 보편적인 반응은 없으며, 사실은 그들의 반응은 오랜 시간을 두고 학습된 것 또는 자발적으로 선별한 선택이라는 것을 지적한다. 상담원은 이럴 때 빨리 의미 있는 예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이 상대가 욕을 한다고 따귀를 때리지 않는다. 다른 대안들도 있다.'등 이다.
비합리적 신념체계: 많은 부부들은 자신들, 가족 그리고 세상에 관한 비합리적인 신념들에 대해서 잘 의식하지 않고 있다. 교육과 의식화훈련으로 인지 재구조화는 이와 같은 신념체계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한 남자는 엄하게 훈육한다고 굵은 몽둥이를 자녀들에게 사용한다고 한다. 만약 그래도 말 안 들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질문을 하니 '죽여야지.' 이것에 관해서 대면하였고 그의 응답은 그의 아버지가 여러 번 자신을 심하게 때렸지만 그래도 잘 성장했다고 말한다.
또 다른 경우에는 여자가 남편이 애정이 없다고 느꼈으며, 그들의 신체적인 접촉은 성 관계 할 때뿐이다. 이것에 대한 그의 반응은 '나는 항상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어떤 가해자는 자신, 배우자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비합리적인 신념을 많이 가지고 있다. 흔히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기대치가 비합리적인 신념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해자에게 이들 신념에 대해 대면한다. 인지 재구조와 교육을 통하여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보다 더 현실적인 면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예를 들어서, '만약 그가 나를 사랑한다면 그의 자유시간을 낚시 가지 않고 나와 보낼 것이다.' 물론 비합리적인 신념은 그녀는 그의 사랑을 그녀와 같이 보내는 것에 근거를 두는 것이다.
Self-Talkf를 의식하고 통제한다: 가해자들은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그리고 반응하는 것에 대해 스스로에게 무엇이라고 말하는 지를 의식하고, 부정적인 때는 긍정적인 self-talk으로 바꾼다. 예를 들어서, '나는 실패자이다, 나는 아무 것도 제대로 할 수 없다.' 물론 이것은 부정적인 메시지이다. 이 사람은 이 시점에서 멈추고, 부정적인 생각을 분석하고 긍정적인 메시지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예, 이번에는 실수를 했네, 그러나 아무도 완전한 사람은 없다. 나는 완전할 필요가 없다 (합리적 생각). 나는 성공적으로 많은 것을 해냈다. 나는 나의 최선을 할 것이다.'
틀림없이: 때로는 가해자가 '...이라야 한다', '...만이라야 된다', '절대로...', '반드시...' 그리고 이것에 미치지 못하면 기준에 미달된 것이다. 배우자와 자녀에게도 적용된다. 이것은 가족과 부부관계에도 문제가 된다. '나는 문제를 만들기 싫어서 그가 하자는 대로하고 치운다.' 이와 같은 생각은 개인 또는 부부관계에게 건강한 생각이 안 될 때도 있다. 그녀가 아무리 애써 했어도 그녀가 하지 않은 것이 있을 것이다. 이것이 비합리적인 사고에 해당된다. 가해자 자신이 이와 같은 생각에 의식을 가지고 의식적으로 변하는 것이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바꾸는 열쇠이다.
모순 기술: RET 문헌에 의하면 치료사는 가해자가 한 비합리적인 또는 근거가 없는 말의 확대 해석을 그 말의 모순이 들어 날 때까지 계속한다. 예를 들어서, 가해자가 그의 배우자가 차 열쇠를 잘못 두어 직장에 늦게 도착하게 하려 한다고 말하면, 상담원은 "물론 사실일 거예요 왜냐하면 당신의 배우자는 당신이 일하는 것을 싫어하거든요, 직장을 질투해서, 열쇠를 여러 번 숨기면 당신이 직장에서 해직되어, 자신감이 확실하게 떨어지면 당신을 통제하고 지배해서 나중에는 당신을 완전히 파멸시키고 목숨도 앗아가게 하려는 것이지요. 당신은 또 그것을 잘 알고 있으니까, 이런 일이 계속되게 해서 배우자의 목숨을 먼저 뺏으려고 당신이 스스로 차 열쇠를 잘 두지 않는 것이고요. 두분 다 차 열쇠의 보관에서부터 시작하는 거지요" 라고 말 할 수 있다.
동일한 어투로 관계증진: 어떤 가해자에게는 심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만약 누가 속으로만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그와 같은 감정을, 특히 적대 행위에 대해서 신체적 학대로 나타냈다면 처음에는 적대감이 심한 언어로 나타날 수 있다. 상담원은 가해자가 "욕" 된 말을 하여도 놀라거나 거슬릴 필요가 없다. 이것이 자신을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지도 모른다. 상담원이 반응하여, 속상하게 해서 도중하차 할 핑계를 만드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그렇게 하므로 상담시간을 자신이 통제하려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다른 집단원의 도덕적 또는 종교적 신념의 이유로 거슬리지 않을 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상담원은 자신의 언어 '폭'을 가해자에 효과적으로 맞춘다. 다른 여러 가지 기술들이 매 회에 사용된다.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가해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찾는 것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11.04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