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원형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의 원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비옥 성장 풍요 보호 양육 생명원리 따스함 비옥 풍요와 관련되어 있다. 무서운 어머니
지모신의 부정적인 모습으로 관능성, 성적, 방탕, 공포, 위험, 암흑, 분할, 죽음, 마녀, 요정, 요부, 등을 표현한다. 두려움 공포 죽음 등과 관련되어 있다.
영혼의 친구
성모나 공주 아름다운 숙녀를 의미한다. 영혼의 동반자 이며 영감과 정신적인 완성의 화신을 의미한다. 기원은 인격부여 현상에서부터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원시인들은 식물의 성장을 여신의 수태에 미개척지의 신인 가이아나 경작지의 신인 데메테르 어머니 대지의 신인 키벨레 등을 수태에 비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모든 풍요의 원천인 농업은 여성의 전유물이었다.
 밤은 땅속에서 하는 일을 보호한다. 키벨레는 원래 산의 여신으로 땅의 깊숙한 곳에 쌓인 열기로부터 나온 재생의 기적을 촉발할 수 있는 천상과 지하의 힘의 양면성을 그녀가 타는 수레인 네 마리 사자의 마차를 태양의 상징으로 표현하고 있다.
땅의 하부이며 내부인 지옥으로 들어가면 우리는 밤의 상징들과 함께 현기증과 번뇌를 자아내는 죽은 자 들이 사는 곳에서 저 낮은 세상과 심연의 상징을 만나게 된다.
7)원의 이미지
 원은 전일성(全一性), 통합,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우주 등을 의미한다. 만다라에서 볼 수 있다. 알은 타원체로 생명의 신비와 발생의 힘을 의미한다. 또한 의식과 무의식의 융합을 나타내는데 이는 동양의 음양과도 연결되며 양을 의미하는 의식, 생, 열, 빛과 음을 의미하는 어두움, 죽음, 냉의 결합을 의미한다.
원의 기원
원은 하늘을 의미한다. 주술의식에서는 최대로 큰 원을 그리면 해로운 영향을 막는 보호의 한계선을 의미한다. 회교승들이 빙글빙글 돌면서 추는 원무는 영적 변신의 한 방법이다. 알은 천지창조론에 주로 등장하는 것으로 부활절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8)수의 이미지와 기원
 숫자3은 빛, 정신적 자각과 합일을 의미한다. 성부성자성신의 삼위일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남성의 원리를 나타내는 수이다. 숫자 4는 원을 의미하며 생명의 순환, 4계절과 연관되어 있다. 여성의 원리이며 지구와 자연을 의미한다. 숫자 일곱은 3과 4의 결합을 의미하는 가장 힘 잇는 상징적 숫자이며 한 주기의 완결, 완벽한 질서를 의미한다. 기원은 다음과 같다. 3은 수태하지 못한 이원성의 생산적 양태와 부부 사이의 아이를 나타내며 영적 마음 사색적 마음 동물적 마음을 의미한다.
4는 4원소 삶의 네 시절 네 기질을 의미한다. 4는 네모이며 십자가이고 워의 구적법이다. 10이란 1+2+3+4를 의미하며 이는 원의 구적법과 관련되어 있다. 7은 처녀성과 형성의 수이다. 일곱별과 더불어 신과의 결합을 의미한다.
9)뱀(벌레)의 이미지와 기원
 활기와 순수한 힘의 상징이다. 대표적인 예로 성적 충동을 들수 있다. 악, 부패, 관능, 파괴, 신비, 지혜, 무의식을 상징한다.
신화적 조상이며 문명의 개화자인 뱀은 범세계적 상징이다. 뱀은 어둠으로부터 번개처럼 솟아오르는 의미를 포함하며 양면성을 갖는다. 불길한 존재일 때도 있으며 지혜이기도 하다. 우주의 힘이 상승하고 하강하는 모습을 표현하기도 한다. 뱀의 이중성 본석으로 인해 성서에서 나오는 낙원의 유혹을 의미한다.
수도원의 딱따구리 고진하, http://www.kojinha.com, 시의창고, 수도원의 딱따구리
                고진하
하늘이 하늘을 먹는다[以天食天] ―海月
이른 아침부터
산호수나무 위에는
딱따구리 한 마리 날아와 앉아
딱딱거린다.
망치도
망치를 쥘 손도 없는
딱따구리는
제 머리를 망치 삼아
송곳 같은 뾰족한 부리로
한 끼 식사를 위해
죽은 나뭇가지에 구멍을 뚫고 있다.
수녀님들도 지금
성당
딱딱한 마루바닥에 엎드려
한 끼 영혼의 식사를 위해
하늘에
구멍을 뚫고 계신다.
헛참!
벌레 한 마리 잡기 위해
천지가 진동을 하는데,
밥상을 차리기는 차릴 수 있을까.
없는 하늘에 구멍을 뚫느라
고생스럽기는
수녀님들도
딱따구리 신세와 다를 바 없구나!
해월은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의 호이다. 벌레가 활기와 순수한 힘의 상징 한다는 것을 이 시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 시에서는 以天食天-하늘이 하늘을 먹는다는 내용을 두고 있는데, 약육강식의 세계를 표현한 시로 보인다. 이 시에서 식욕이라는 본능이 활기와 순수한 힘의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다.
‘새’와‘벌레’는 우주적 존재이다. 벌레로 인해 죽은 나뭇가지에서 벌레원형의 부패와 파괴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딱따구리의 행동을 통해, 벌레가 행동을 유발하는 관능의 대상임도 찾을 수 있다.
10)색의 이미지와 기원
흑색의 이미지
무의식, 혼돈(카오스), 죽음 등을 의미하고 어두움과 연관되어 무지, 몽매함을 나타내며 혹은 악마, 고통, 우수 등을 의미한다.
붉은 색의 이미지
피, 희생, 정열, 혼란 등을 의미한다.
녹색의 이미지
성장이나 희망, 감각 등을 암시한다.
백색의 이미지
긍정적인 빛의 이미지로 순수 순진 영원을 의미하고 부정적인 면에서는 죽음 공포 초자연 수수께끼 같은 우주적 신비에 싸여 알 수 없는 진리를 의미 한다.
청색의 이미지
아주 긍정적인 면에서 진실 종교적인 느낌 안정 정신적 순수와 연관된다.
백색의 이미지
혼합의 상징이다. 고대인들에게서 성인남성으로 넘어가는 의미를 삶에서 죽음으로 넘어가는 수의의 색이었다
검정은 태초의 어둠 비표명의 상태이며 외적 어둠의 색이다. 사형선고를 받은 사람의 머리에 씌우는 천, 회교승려의 망토를 의미한다.
연금술에서 카오스로 가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빨강은 화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색체에는 점성술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어둠이며 빛에 해당할 수 있는데 에로스가 지닌 생명의 힘 부와 사랑을 상징하기도 한다. 어둠의 빨강은 여성적이면서 모태의 핏빛을 의미한다.
파랑은 목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집트인에게는 진리의 색이다.
금성의 초록은 식물들의 중재적인 색이며 다시 태어나게 하는 맑은 물의 색이다.
11) 사막의 이미지
영혼의 매마름, 허무, 죽음, 절망 등을 의미한다. 리비아 사막의 기원을 나타내는 신화 파에톤과 헬리오스의 이야기에서 볼 수 있다.
  • 가격2,6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11.04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