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속건축(vernacular architectur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속건축(vernacular architectur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됨)
* 田형태의 겹집(방이 두줄)
* 가옥 구조: 폐쇄적인 가옥 구조
* 추운 겨울을 보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ㅁ\'자형 구조를 가졌다
* 특징적인 요소 : 겹집, 두꺼운 벽, 작은 창문, 낮은 천정 등
* 관북형
- ㄱ·田형태
- 관북지방, 강원북부
- 폐쇄성이 강하다(긴 겨울 적응)
- 겹집, 정주간
* 관서형
- ㅡ·ㄱ 향태
- 멸악산맥 이북관서지방
- 대청이 없고, 부엌과 방사이에 문, 부엌에 이어 방이 연속됨
☆ 남부지방 :
* 분포 : 영호남 지방, 강릉이남의 영동지방
* 더위에 유리한 가옥구조(마루, 통풍에 유리)
* 一형태의 홑집(방이 한줄)
* 개방적인 가옥 구조: 고온 다습한 여름 기후 때문
* 무더운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 특징적인 요소 : 홑집, 넓은 대청과 마루, 넓은 창문 등
☆ 중부 북부와 남부의 중간
* 형태(ㄱ, ㄴ형태이다)
*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절충형
* 멸악산맥 이남~차령산맥이북 관서형과 남부형의 점이적 성격
* 기본구조∼안방, 대청, 건넌방
☆ 기타지역
제주도형 제주도 부엌과 방이 분리, 고팡이 있다. 울릉도형 울릉도 눈에 대한 대비(우데기)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11.05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