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 론
제 2장 소련의 중동 진출 배경
제 1절 소련의 외교정책
제 2절 소련에 있어서 중동의 중요성과 중동 진출의 목적
제 3장 중동 진출의 시대적 전개 방향
제 1절 소련 정권 탄생부터 제 3차 중동전쟁 이전까지의 전개
제 2절 제 3차 중동 전쟁부터 제 4차 중동 전쟁까지의 전개
제 3절 제 4차 중동전쟁 이후부터 80년대 초반까지의 전개
제 4절 1980년대 초반부터 소련 붕괴까지의 전개
제 4장 소련의 대중동 진출의 특성
제 1절 군사적 측면
제 2절 경제적 측면
제 3절 외교적 측면
제 4절 정치적 측면
제 5장 결 론
참고문헌
제 2장 소련의 중동 진출 배경
제 1절 소련의 외교정책
제 2절 소련에 있어서 중동의 중요성과 중동 진출의 목적
제 3장 중동 진출의 시대적 전개 방향
제 1절 소련 정권 탄생부터 제 3차 중동전쟁 이전까지의 전개
제 2절 제 3차 중동 전쟁부터 제 4차 중동 전쟁까지의 전개
제 3절 제 4차 중동전쟁 이후부터 80년대 초반까지의 전개
제 4절 1980년대 초반부터 소련 붕괴까지의 전개
제 4장 소련의 대중동 진출의 특성
제 1절 군사적 측면
제 2절 경제적 측면
제 3절 외교적 측면
제 4절 정치적 측면
제 5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1장 서 론
역사상 중동은 삼대륙과 삼대양을 이어주는 위치에 있어 교역의 통로로서 매우 중요한 지정학적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전력적 요충지인 수에즈 운하를 비롯하여 홍해, 페르시아만, 다다넬스 해협, 지중해 해로 또 보다 서쪽으로는 지브롤터 해협 등이 통상뿐만 아니라 군사적 요충지로서 역사상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중동은 외세의 침략과 영향하에서 정치적으로 계속 불안했고, 석유 발견 이후 중동의 전략적 국제경제적 위치는 더욱 향상되었으나 이에 못지 않게 이 지역의 정치적 불안은 더욱 그 심도를 깊이 하게 되었다. 특히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들어선 미.소 양극체계는 전 세계를 이념의 각축장으로 만들어갔으며 태생부터 여러 갈등 요소를 안고 있었던 중동 각국에도 이러한 상황은 예외가 아니었다.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 왔던 영국, 프랑스 세력의 퇴조와 함께 중동에는 점차로 미국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정 러시아 시대 이래로 중동으로의 팽창을 시도해 왔던 소련역시 중동 지역에 관심을 보인다. 소련은 1955년 이집트와의 무기거래를 계기로 대 아랍 관계를 개선하였다.
≪ … 중 략 … ≫
제2장 소련의 중동 진출의 배경
제 1절 소련의 외교정책
소련의 외교정책을 논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기본성격은 그 토대가 되는 뚜렷한 목적 지향성이다. 즉, 소련의 외교정책은 공산당의 지배체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상명령과 전 세계에 걸친 공산주의 지배체제의 확립을 도모한다는 과제의식 위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소련 외교정책에 있어, 소련 외교의 목적지향성을 보지 않고 목적 실현을 위한 방법과 수단의 선택에 있어서의 현실성의 성격만을 강조하여 보게 되면 실리추구의 외교정책 성격만을 파악하기 쉽게 된다. 예를 들어 중동연구에 있어 치중되기 쉬운 중동의 석유자원에 대한 소련 외교정책의 성격파악에 관심이 집중될 때, 그럴 가능성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역사상 중동은 삼대륙과 삼대양을 이어주는 위치에 있어 교역의 통로로서 매우 중요한 지정학적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전력적 요충지인 수에즈 운하를 비롯하여 홍해, 페르시아만, 다다넬스 해협, 지중해 해로 또 보다 서쪽으로는 지브롤터 해협 등이 통상뿐만 아니라 군사적 요충지로서 역사상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중동은 외세의 침략과 영향하에서 정치적으로 계속 불안했고, 석유 발견 이후 중동의 전략적 국제경제적 위치는 더욱 향상되었으나 이에 못지 않게 이 지역의 정치적 불안은 더욱 그 심도를 깊이 하게 되었다. 특히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들어선 미.소 양극체계는 전 세계를 이념의 각축장으로 만들어갔으며 태생부터 여러 갈등 요소를 안고 있었던 중동 각국에도 이러한 상황은 예외가 아니었다.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 왔던 영국, 프랑스 세력의 퇴조와 함께 중동에는 점차로 미국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정 러시아 시대 이래로 중동으로의 팽창을 시도해 왔던 소련역시 중동 지역에 관심을 보인다. 소련은 1955년 이집트와의 무기거래를 계기로 대 아랍 관계를 개선하였다.
≪ … 중 략 … ≫
제2장 소련의 중동 진출의 배경
제 1절 소련의 외교정책
소련의 외교정책을 논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기본성격은 그 토대가 되는 뚜렷한 목적 지향성이다. 즉, 소련의 외교정책은 공산당의 지배체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상명령과 전 세계에 걸친 공산주의 지배체제의 확립을 도모한다는 과제의식 위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소련 외교정책에 있어, 소련 외교의 목적지향성을 보지 않고 목적 실현을 위한 방법과 수단의 선택에 있어서의 현실성의 성격만을 강조하여 보게 되면 실리추구의 외교정책 성격만을 파악하기 쉽게 된다. 예를 들어 중동연구에 있어 치중되기 쉬운 중동의 석유자원에 대한 소련 외교정책의 성격파악에 관심이 집중될 때, 그럴 가능성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