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수술 전후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수술 전 간호
1. 의식수준 사정
 (1) mental check
 (2) Glasgow Coma Scale
2. Pupil 사정
 (3) Reation to light
3. 근육운동력의 단계
4. 정서적지지

◆ 수술 후 간호
1. 신경학적 사정
2. Vital sign 관찰
3. 수분과 전해질 균형
4. 체위변경
5. 방광기능 및 장 기능의 관리

척추수술 환자 간호
◆ 수술 전 간호
◆ 수술 후 간호
1. 활력징후 : 혈압, 맥박, 호흡, 체온
2. 심호흡, 기침 : 1~2시간마다 격려
3. 식사
4. Sensory & Motor check
5. 자세관리
6. Bag 관리(Hemo-Vac, Baro-Vac, EVD-bag)
7. 수술부위 관리
8. 통증관리
9. 방광기능
10. 장기능
11. 운동
12. 퇴원시 교육사항

본문내용

7. 수술부위 관리
- 드레싱을 건조하게 유지
- 삼출물, 부종, 염증의 증거 유무 확인
- 통증, 불편감의 정도 확인
- 발열, 백혈구의 증가유무 확인
- 기침 시 수술절개 부위지지
- 절개부위와 떨어진 곳에 배액관 두도록 함.
- 환자가 수술부위 손대지 않도록 교육
- 상처에 별문제 없는 한 POD 7일째 HSO하고 POD9일째 ASO하므로 퇴원 시 stitch in되어 있 는 상태로 퇴원하지 않도록 함.
8. 통증관리
(1) 수술후 24시간 내 : 진통제 투여(morpine, demerol, depain)
- 오심, 구토, 호흡억제 등 부작용 관찰
- 방광 팽만 관찰
- 4시간 안에 주사진통제는 가급적 주지 않음
- 체위변경, 깨끗한 침상, 정서적지지 도모
(2) POPC 관리
-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한 고통으로 인한 고통 완화 및 정상적인 생리기능으로 의 회복을 촉진시 키기 위해서 필요
- 카테터를 통해서 정맥이나 등쪽의 경막외강에 약물 주입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기계를 사용하 여 지속적으로 진통제를 투여
9. 방광기능
- 수술 24시간 후 F-cath. 제거함
- 소변배설의 불능의 원인 : 마취, 동통, 공포와 긴장, 낯선 환경, 도뇨관의 폐쇄로 인함. 자세 등
- 방광 팽만의 징후: 치골상부에 팽만 촉진됨. 조금씩 자주 배뇨하며 자연배뇨 후 잔뇨감 호소, 팽만감 호소
- 간호:① 수돗물 틀어 놓고 보게 하거나 물 흐르는 소리 듣도록 유도
② 좌욕, 더운물 찜질통한 괄약근 이완
③ N-cath 시행 (f-cath 제거 후 4시간동안 자연배뇨 못 볼 경우 시행)
④ N-cath 1회 시행시 소변이 500cc 넘지 않도록 함.
10. 장기능
- 수술 3일 후 자연배변 못 본 경우
- 수분섭취 격려 & 복부 마사지 교육
- 의사 처방하에 변 완화제, 좌약, 관장 등을 점적으로 시행.
11. 운동
- 각 운동은 빠른 속도로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각각의 동작을 정확히 천천히 하는 것이 중요
- 처음에는 각 동작을 5회 반복하고 익숙해지면 단계적으로 10회까지 증가
- 각각의 동작사이에 충분히 휴식
- 운동은 매일 2~3회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효과 있음.
- 자신에게 쉬운 운동부터 실시하며, 운동시 약간의 통증을 느끼는 정도를 지나서 운동을 해야지 만 참기 어려운 정도로 해서는 안됨
12. 퇴원시 교육사항
- 적절한 운동, 목욕 가능한 시기, 운전 및 직장생활, 음식, 부부생활 등에 대한 교육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