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과 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생인권과 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육복지와 학생인권

Ⅱ. 학생인권과 복지현황

Ⅲ. 학교복지서비스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 도입의 필요성과 그 방향

본문내용

에 대한 재인식과 더불어 지구촌시대에 걸 맞는 세계적, 보편적 가치를 전수하고 체득하는 방향조절이 필요하다.
7. 학생문제의 다변화 및 기존의 통제 위주 접근의 한계
청소년문제는 다양화, 복잡화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학교에서는 소극적 통제 혹은 사후적 접근으로 다루고 다양한 서비스를 실시해 오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실제로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학교복지서비스의 강화를 통한 접근은 한 인간의 평생 삶의 질과도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의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8. 학교복지도입의 필요성
먼저 학교사회복지사 도입의 필요성의 근거로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유무에 따른 학년 간 사회적 지지를 비교한 ‘학교사회사업 서비스의 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 김요한(2004) ‘연구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 연구 중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유무에 따른 학년 간 사회적 지지비교 부분을 발췌한 것으로 각 문항은 4점 Likert척도로서 ‘매우그렇다’4점, ‘그런편이다’3점, ‘그렇지않다’2점, ‘전혀그렇지않다’1점으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되는 사람으로부터 높은 지지를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Ⅳ>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유무에 따른 학년 간 사회적 지지비교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없는 학교
M/(SD)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있는 학교
M/(SD)
t
가족지지
1학년
3.53 (.461)
3.74 (.255)
-3.805***
2학년
3.34 (.653)
3.70 (.339)
-4.313***
3학년
3.41 (.484)
3.64 (.380)
-3.244**
친구지지
1학년
3.12 (.607)
3.35 (.417)
-3.123**
2학년
3.17 (.893)
3.31 (.524)
-1.179
3학년
3.19 (.549)
3.62 (.314)
-5.848**
학교사회사업가
1학년
2.57 (.673)
2.95 (.556)
-4.404***
2학년
2.57 (.697)
2.79 (.586)
-2.115*
3학년
2.59 (.720)
3.52 (.420)
-9.630***
교사지지
1학년
3.00 (.534)
3.09 (.525)
-1.192
2학년
2.73 (.737)
3.07 (.580)
-3.220**
3학년
2.65 (.737)
3.29 (4.65)
-6.379***
*p<0.05, **p<0.01, ***p<0.001
위 연구로 미루어 볼 때 3년 동안 학교사회사업가와 친밀감이 높아진 3학년 학생들은 학교사회사업가로부터 느끼는 지지정도가 가장 높다. 교사지지는 학교사회사업서비스가 있는 학교와 학교사회사업 서비스가 없는 학교간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학교사회사업 서비스가 교사교육 및 연계지원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에 대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3학년이 공통적으로 가족지지를 제외한 나머지 친구, 상담교사, 담임교사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단정할 수는 없지만 학교사회사업서비스 활동이 3년간 지속되면서 친구들 사이에서 가정과 학생,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에 있어서 지지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나 생각해 볼 수 있겠다. 3학년이 느끼는 친구지지가 가장 높은데, 이것은 학교사회사업서비스 가운데 학급원들과의 친밀도나 원활한 관계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적어도 1년 회 이상 지속적으로 경험하였기 때문에 3학년이 느끼는 친구지지가 가장 높은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전체적으로 비교해보았을 때 1 2학년과 3학년의 차이가 눈에 띄게 나타나는데, 이는 3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오랜 기간 동안 학교에서 생활하였음이 하나의 원인이라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이유로는 학교사회사업활동에 다른 학생들 보다 오랜 시간 참여하였거나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학교사회사업 서비스의 지속성이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이러한 연구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복지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자.
1)학생복지가 실현되는 최적의 교육환경
학생들은 각자가 속한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의 사회경제적 환경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학교는 학생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그것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 개인뿐 아니라 학생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개입을 통한 최적의 교육환경을 마련해 줄 책임을 갖고 있다. 이것은 학생의 가정, 학교와 지역사회가 학생으로 하여금 심리 사회적으로 균형 있게 성장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즉 학생복지가 실현되는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2) 최적의 교육환경 달성을 위해 필요한 학교사회복지
학교 안에서 학교사회복지는 학교가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생태학적 체계중의 하나라는 점에 근거한다. 학교사회복지실천은 유기체와 환경간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역점을 두면서, 인간의 기능과 욕구에 대한 광범위한 시각을 가능하게 하는 생태학적 관점을 갖고 이루어진다. 따라서 학생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과 환경간의 상호교류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학생, 가정,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원조하여 교육효과의 극대화를 꾀하고자 한다.
3)학교사회복지의 효과와 필요성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교복지실천을 3년 동안 실시해온 학교의 학생들이 비교학교의 학생들보다 일관되게 가족, 친구와 교사로부터 받는 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학교생활만족도도 모든 학년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교가 모든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각자의 사회경제적인 상황, 능력과 특성에 맞게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학교환경을 마련할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개인과 환경의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지원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 교육병리 현상과 학생문제의 심각성이 고조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는 매우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11.1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