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방법
*측정값
*실험결과
*결과에 대한 논의 / *결론
*측정값
*실험결과
*결과에 대한 논의 / *결론
본문내용
9)) 임을 의미한다.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기본전하 e=1.6021x10^(-19)과 근사하므로 다음측정값 범위에 포함된다. 즉 실험을 반복하면 할수록 구하고자 하는 기본전하 e값을 찾을 수 있다.
*그래프 2는 표1에서의 (qi-qj)/e를 계산한 결과근처에 있는 자연수n을 찾아 다시 (qi-qj)/n을 하여 실험값e를 찾아 그린 것이다. 실험값e는 실제e 근처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전하량은 기본 전하량의 n배임을 한 번 더 확인 할 수 있다. (qi-qj
*정확한 e를 찾고자 하는 개선책은 실험간 분사 시켜주는 기름의 밀도는 관측되는 정도로 최소화 하여야 한다. 이 점을 간과하여 실험값의 정확도를 떨어뜨렸고, 개인오차도 생겼음을 표 q1,q2,q3를 보면 알 수 있다. 실험 당시 전하가 일부 방전 되었구나 하고 무심코 진행해 나갔지만 바뀌는 전 후의 전하량을 계산해 본 결과 (표q2의 자료사용) : (1회~11회) - 8.1557x10^(-19)c / (12회~20회) - 5.6295x10^(-19)c
실험값e는 1.6311x10^(-19)c(n=5) 1.4073x10^(-19)c(n=4) 이다. 같은 유적에 대해 e하나가 방전이 되었다 하더라도 실험값e는 비슷하게 나와야한다. 하지만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른 유적을 봤다고 말할 수 있다. (q1,q2,q3는 결과에 있어 적절한 표본이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밀도를 최소화 하여 집중해서 하나의 유적을 정확히 관찰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온화 레버 on/off를 정확히 조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on위치에 둔다면 이는 실험이 될 수 없다. 이점에서 개인오차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중요하기 때문에 언급한다. 이 점들만 지키면 실험에는 아무 문제가 없고 찾고자 하는 e를 찾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전하량은 기본전하의 정수배이다. 라는 말이 언급된다. 실험을 하기 전 우리는 과학자들이 실험한 결과로써 받아들여야만 했고 기본전하의 실수배로서 전하량은 연속적인 분포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실험을 한 결과 qi=ne라는 결과에 도달하게 되어 이론을 확실히 검증 할 수 있고 의문도 해결 되었다.
이번 밀리칸의 기름방울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qi=ne(n=정수)이고 이를 통해 기본전하 e=1.6021x10^(-19)c 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 2는 표1에서의 (qi-qj)/e를 계산한 결과근처에 있는 자연수n을 찾아 다시 (qi-qj)/n을 하여 실험값e를 찾아 그린 것이다. 실험값e는 실제e 근처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전하량은 기본 전하량의 n배임을 한 번 더 확인 할 수 있다. (qi-qj
실험값e는 1.6311x10^(-19)c(n=5) 1.4073x10^(-19)c(n=4) 이다. 같은 유적에 대해 e하나가 방전이 되었다 하더라도 실험값e는 비슷하게 나와야한다. 하지만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른 유적을 봤다고 말할 수 있다. (q1,q2,q3는 결과에 있어 적절한 표본이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밀도를 최소화 하여 집중해서 하나의 유적을 정확히 관찰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온화 레버 on/off를 정확히 조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on위치에 둔다면 이는 실험이 될 수 없다. 이점에서 개인오차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중요하기 때문에 언급한다. 이 점들만 지키면 실험에는 아무 문제가 없고 찾고자 하는 e를 찾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전하량은 기본전하의 정수배이다. 라는 말이 언급된다. 실험을 하기 전 우리는 과학자들이 실험한 결과로써 받아들여야만 했고 기본전하의 실수배로서 전하량은 연속적인 분포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실험을 한 결과 qi=ne라는 결과에 도달하게 되어 이론을 확실히 검증 할 수 있고 의문도 해결 되었다.
이번 밀리칸의 기름방울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qi=ne(n=정수)이고 이를 통해 기본전하 e=1.6021x10^(-19)c 임을 알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