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착되지 못한 상태이다. 여기서 혈청을 뽑아오면 혈청에는 complement가 존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RBC와 hemolysin을 넣어주게 되면 용혈이 일어나 투명해지게 된다.
시험관 6 : 56℃로 가열하게 되면 protein인 complement는 변성이 일어나 그 기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 RBC와 hemolysin을 넣어도 용혈이 일어나지 않아 혼탁한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에 다시금 정상 기능을 하는 complement를 넣게 되면 RBC와 hemolysin, complement가 모두 들어가게 되어 용혈이 일어나 투명하게 변하게 된다.
용혈이 되면 글씨가 투명하게 보이고 되지 않으면 혼탁하게 보인다. 그리고 heme 색소가 붉은색이므로 RBC가 터지든 안터지든 시험관안의 용액의 색은 붉은색이어야 한다. 2번, 4번의 색이 특별히 흰 것은 원심분리후 supernatant만을 버려야하는 과정에서 pellet를 버려서 RBC의 양이 줄어든 원인일 것이다.
Ⅵ. References
1. Abul K. Abba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ed., 2011, Elsevier.
2. Wikipedia.
시험관 6 : 56℃로 가열하게 되면 protein인 complement는 변성이 일어나 그 기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 RBC와 hemolysin을 넣어도 용혈이 일어나지 않아 혼탁한 상태로 존재한다. 여기에 다시금 정상 기능을 하는 complement를 넣게 되면 RBC와 hemolysin, complement가 모두 들어가게 되어 용혈이 일어나 투명하게 변하게 된다.
용혈이 되면 글씨가 투명하게 보이고 되지 않으면 혼탁하게 보인다. 그리고 heme 색소가 붉은색이므로 RBC가 터지든 안터지든 시험관안의 용액의 색은 붉은색이어야 한다. 2번, 4번의 색이 특별히 흰 것은 원심분리후 supernatant만을 버려야하는 과정에서 pellet를 버려서 RBC의 양이 줄어든 원인일 것이다.
Ⅵ. References
1. Abul K. Abba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ed., 2011, Elsevier.
2. Wikipedi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