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or pulmonale - 폐성심>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1. 정의
2. 증상과 징후
3. 간호중재
4. 합병증 관리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Ⅴ.결론
Ⅵ. 참고문헌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1. 정의
2. 증상과 징후
3. 간호중재
4. 합병증 관리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1.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Ⅴ.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3년 3월 22일 대상자는 숨쉬기가 힘들지 않다고 말했다.
간호진단 : 얼굴부종으로 나타나는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체액 과다
자료수집
주관적
-물 좀 주세요.
-피곤하고 힘들어요.
객관적
T38.2℃ P95회/분 R26회/분 BP141/71mmHg
CVP 12cmH2O
Na 136mg/dl, K 4.1mg/dl, Cl 113mEq/L, pH6.6
Left temporal area 와 zygoma area 에 soft tissue swelling 이 있음.
차갑고 창백한 피부
목표
단기목표 : 2013년 3월 27일까지 대상자는 혈중 염소 수치가 회복 양상을 보인다.
장기목표 : 대상자의 얼굴부종이 없어진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중심정맥압을 monitoring한다.
2. 수분과 염분 제한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3.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해준다.
4. Valsalva 반응을 유발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5. 4시간마다 피부간호를 시행하고,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1. 우심부전으로 인해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돌아온 혈액을 폐로 적절히 펌프하지 못하여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의 울혈을 초래하고 중심정맥압을 상승시킨다.
2. 다량의 수분과 염분 섭취는 수분 정체를 가중시킨다.
3. 반좌위는 신체 하부에 울혈을 유도하여 정맥귀환량 즉, 전부하를 감소하여 폐울혈을 완화한다.
4. Valsalva maneuver는 흉곽내압과 복강내압의 증가로 심박출량을 감소시킨다.
5. 부종이 있는 경우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피부가 손상된다.
수행
1. 12cmH2O → 11cmH2O → 10cmH2O 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 수분과 염분 제한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3. 침상 머리를 올려 반좌위를 취하게 하였다.
4. 숨을 참거나 배변시 힘주기 등의 Valsalva 반응을 유발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5. 4시간마다 상처나 욕창이 생겼는지 확인했고 Back care시마다 체위를 변경하였다.
평가 : 2013년 3월 27일 Na 136mg/dl, K 4.1mg/dl, Cl 111mEq/L, pH6.6로 염소 수치가 정상 범위 이내는 아니지만 감소하는 회복양상을 보였다.
간호진단 : 비언어적 욕구 표출로 나타나는 의료적 처치와 관련된 의사소통 향상 가능성
자료수집
주관적
-창문 커튼을 내려주세요.
-간호사 선생님을 불러주세요.
-영양을 주입해 주세요.
-물 좀 주세요.
-베개를 빼주세요.
-침상 머리를 올려주세요.
객관적
언어적 표현은 불가능. 비언어적 표현으로 의사소통 원함.
대상자가 원하는 욕구를 손에다가 글씨로 써서 표현함.
간호 실습생보다는 간호사를 더 찾음.
목표
단기목표 : 2013년 3월 29일까지 대상자는 학생에게 원하는 간호를 요구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욕구 뿐 아니라 생각과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간호 실습생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시킨다.
2.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위해 대상자의 욕구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3. 구어적인 의사소통을 대체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한다.
1. 아직 의료인이 아니지만 예비 의료인으로써의 믿음을 준다.
2. 환자와의 사이에 라포가 확립되어 있으면 간호와 치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도구는 대상자가 다른 사람과 사회적 의사소통작용을 하는 일차적 수단으로 제공되어 의사소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
수행
1. 간호 실습생의 역할과 능력을 설명하여 이해시켰다.
2. 공감적 이해의 뜻으로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을 했다. 비언어적인 반응으로 눈으로 지긋이 깊게 바라봐줌으로 '네'라는 말을 대신하고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입으로 반응하였다.
3.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펜과 종이를 이용하였고 이해를 위해 문자나 그림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평가 : 2013년 3월 29일 대상자는 간호 실습생에게 비언어적 표현으로 욕구를 표출하였다.
Ⅴ.결론
대상자는 10년전부터 COPD를 가지고 있었고 그로 인해 cor pulmonale이 생겼다. 또한 대상자는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던 Kyphoscoliosis와 COPD로 인한 cor pulmonale로 인해 pericardial effusion이 생겨 천자를 시행하던 중 ICU로 오게 되었다. 검사 결과를 찾아보면서 대상자가 처음 ICU에 올 때는 상황이 정말 심각했던 것 같았다. 그리고 내가 실습할 쯤엔 많은 부분이 상당히 호전되어 있었다. 하지만 선천적인 Kyphoscoliosis로 인해 tracheostomy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상자는 더 이상 상황이 진전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제발 대상자의 신체적 상황이 나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번 case study를 하면서 많은 것을 공부했다. pericardial effusion이라는 것도 처음 알았고 천자를 시행하던 중 이렇게 급박한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도 놀라웠다. 그리고 공부를 하면서 의문점 또한 생겼다. 호흡기계 환자인데 마취제인 midazolam을 너무 많이 투여하지 않았나, 거기에 morphine까지 투여하다니 이건 너무 위험하지 않나, 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내가 사례연구를 한 대상자는 억제대를 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많은 환자들은 억제대를 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과는 달랐다. 하지만 이해한다. 억제대는 간호사의 편의가 아닌 환자의 위험을 줄여주려는 이유라는 것을. 나는 실습을 하면서 한번도 돌아가신 분을 보지 못했다. 다만 다음날 실습 왔을 때 그 자리가 비어있을 뿐이었다. ICU는 참 많은 일이 있고 그 많은 일들을 잘 해결하고 이겨내고 있는 같다. 이때까지 실습해본 파트 중에 제일 많은 영역을 봐야 하고 제일 많은 공부를 해야하는, 자칫하면 위험상황이 올 수 있는 파트이다. 그만큼 많은 것을 느끼고 공부하고 또 그만큼 볼 수 있던 것 같다.
Ⅵ. 참고문헌
1. 중환자 전문 간호 교육과정 협의회(2007). 순환 호흡기계 중환자 간호, 군자출판사.
2.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최경옥(2010). 성인간호학1, 수문사.
3. 홍영혜, 성미혜, 정향미(2011). 최신 간호진단, 수문사.
간호진단 : 얼굴부종으로 나타나는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체액 과다
자료수집
주관적
-물 좀 주세요.
-피곤하고 힘들어요.
객관적
T38.2℃ P95회/분 R26회/분 BP141/71mmHg
CVP 12cmH2O
Na 136mg/dl, K 4.1mg/dl, Cl 113mEq/L, pH6.6
Left temporal area 와 zygoma area 에 soft tissue swelling 이 있음.
차갑고 창백한 피부
목표
단기목표 : 2013년 3월 27일까지 대상자는 혈중 염소 수치가 회복 양상을 보인다.
장기목표 : 대상자의 얼굴부종이 없어진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중심정맥압을 monitoring한다.
2. 수분과 염분 제한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3.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해준다.
4. Valsalva 반응을 유발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5. 4시간마다 피부간호를 시행하고,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1. 우심부전으로 인해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돌아온 혈액을 폐로 적절히 펌프하지 못하여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의 울혈을 초래하고 중심정맥압을 상승시킨다.
2. 다량의 수분과 염분 섭취는 수분 정체를 가중시킨다.
3. 반좌위는 신체 하부에 울혈을 유도하여 정맥귀환량 즉, 전부하를 감소하여 폐울혈을 완화한다.
4. Valsalva maneuver는 흉곽내압과 복강내압의 증가로 심박출량을 감소시킨다.
5. 부종이 있는 경우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피부가 손상된다.
수행
1. 12cmH2O → 11cmH2O → 10cmH2O 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 수분과 염분 제한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3. 침상 머리를 올려 반좌위를 취하게 하였다.
4. 숨을 참거나 배변시 힘주기 등의 Valsalva 반응을 유발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5. 4시간마다 상처나 욕창이 생겼는지 확인했고 Back care시마다 체위를 변경하였다.
평가 : 2013년 3월 27일 Na 136mg/dl, K 4.1mg/dl, Cl 111mEq/L, pH6.6로 염소 수치가 정상 범위 이내는 아니지만 감소하는 회복양상을 보였다.
간호진단 : 비언어적 욕구 표출로 나타나는 의료적 처치와 관련된 의사소통 향상 가능성
자료수집
주관적
-창문 커튼을 내려주세요.
-간호사 선생님을 불러주세요.
-영양을 주입해 주세요.
-물 좀 주세요.
-베개를 빼주세요.
-침상 머리를 올려주세요.
객관적
언어적 표현은 불가능. 비언어적 표현으로 의사소통 원함.
대상자가 원하는 욕구를 손에다가 글씨로 써서 표현함.
간호 실습생보다는 간호사를 더 찾음.
목표
단기목표 : 2013년 3월 29일까지 대상자는 학생에게 원하는 간호를 요구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욕구 뿐 아니라 생각과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간호 실습생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시킨다.
2.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위해 대상자의 욕구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3. 구어적인 의사소통을 대체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한다.
1. 아직 의료인이 아니지만 예비 의료인으로써의 믿음을 준다.
2. 환자와의 사이에 라포가 확립되어 있으면 간호와 치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도구는 대상자가 다른 사람과 사회적 의사소통작용을 하는 일차적 수단으로 제공되어 의사소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
수행
1. 간호 실습생의 역할과 능력을 설명하여 이해시켰다.
2. 공감적 이해의 뜻으로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을 했다. 비언어적인 반응으로 눈으로 지긋이 깊게 바라봐줌으로 '네'라는 말을 대신하고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입으로 반응하였다.
3.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펜과 종이를 이용하였고 이해를 위해 문자나 그림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평가 : 2013년 3월 29일 대상자는 간호 실습생에게 비언어적 표현으로 욕구를 표출하였다.
Ⅴ.결론
대상자는 10년전부터 COPD를 가지고 있었고 그로 인해 cor pulmonale이 생겼다. 또한 대상자는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던 Kyphoscoliosis와 COPD로 인한 cor pulmonale로 인해 pericardial effusion이 생겨 천자를 시행하던 중 ICU로 오게 되었다. 검사 결과를 찾아보면서 대상자가 처음 ICU에 올 때는 상황이 정말 심각했던 것 같았다. 그리고 내가 실습할 쯤엔 많은 부분이 상당히 호전되어 있었다. 하지만 선천적인 Kyphoscoliosis로 인해 tracheostomy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상자는 더 이상 상황이 진전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제발 대상자의 신체적 상황이 나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번 case study를 하면서 많은 것을 공부했다. pericardial effusion이라는 것도 처음 알았고 천자를 시행하던 중 이렇게 급박한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도 놀라웠다. 그리고 공부를 하면서 의문점 또한 생겼다. 호흡기계 환자인데 마취제인 midazolam을 너무 많이 투여하지 않았나, 거기에 morphine까지 투여하다니 이건 너무 위험하지 않나, 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내가 사례연구를 한 대상자는 억제대를 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많은 환자들은 억제대를 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과는 달랐다. 하지만 이해한다. 억제대는 간호사의 편의가 아닌 환자의 위험을 줄여주려는 이유라는 것을. 나는 실습을 하면서 한번도 돌아가신 분을 보지 못했다. 다만 다음날 실습 왔을 때 그 자리가 비어있을 뿐이었다. ICU는 참 많은 일이 있고 그 많은 일들을 잘 해결하고 이겨내고 있는 같다. 이때까지 실습해본 파트 중에 제일 많은 영역을 봐야 하고 제일 많은 공부를 해야하는, 자칫하면 위험상황이 올 수 있는 파트이다. 그만큼 많은 것을 느끼고 공부하고 또 그만큼 볼 수 있던 것 같다.
Ⅵ. 참고문헌
1. 중환자 전문 간호 교육과정 협의회(2007). 순환 호흡기계 중환자 간호, 군자출판사.
2.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최경옥(2010). 성인간호학1, 수문사.
3. 홍영혜, 성미혜, 정향미(2011). 최신 간호진단, 수문사.
추천자료
[모성간호학]자궁탈출(uterine prolapse)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실습일지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폐결핵케이스스터디 폐결핵약물종류 폐결핵진단검사 폐결핵병태생리 폐결핵문헌고찰 폐결핵간...
[성 빈센트 병원 임상 간호사례보고서]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응급실 ER / 응급실케이스 - 통...
A++자료!!성인간호학 폐암(lung ca.)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 간호진단 3개, 난소암 간호과정 스터디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지주막하 출혈 간호과정/지주막하 출혈 간호진단/지주막하 출혈 문...
견인 간호(피부견인, 골격견인, 간호과정)
결핵간호(병태생리, 분류법, 검사, 약물요법, 간호과정, 예방접종)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폐렴 case
모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c/s (제왕절개 간호과정)
[간호학] 물질관련 장애 - 알코올 장애 -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