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하지만 PSPICE에서 R2의 저항값을 R1의 저항값의 2배로 설정하고 simulation을 돌리니 원하는 출력전압값이 나오지 않았다. R1과 R2의 비를 더 크게 설정(4.5배)하니까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 하였다.
따라서 회로에서는 R1 : 10㏀ R2 : 45㏀을 사용하였다.
Time domain
대략 3ms부터 출력전압값이 증가하여 진동함을 알 수 있다.
FFT plot
발진 주파수 1.1668kHz에서 Loop gain Av = 14.455/15 = 0.963 (대략 1)이 됨을 알 수 있다.
▣ 그림 2와 같이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Wien bridge 발진기를 안정화 할 수 있다. Wien bridge 발진기의 출력을 안정화하는데 다이오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시오.
OP증폭기의 이득이 1보다 클 경우에는 포화로 인한 왜곡 파형을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이득 값을 조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이득이 소신호에서는 1보다 크게, 대신호에서는 1보다 작거나 1에 근사한 값을 가지게 함으로써 신호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데 이 때 다이오드를 이용한 negative feedback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즉 대신호에서는 다이오드 중 하나가 forward bias 됨으로써 feedback 저항과 OP증폭기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반면, 소신호에서의 이득은 다이오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즉 다시말하면, 소신호일때는 다이오드의 저항이 커지고 반전종폭기의 이득이 커져 발진을 하고, 대신호에서는 다이오드의 저항이 작아지고 반전증폭기의 이득이 작아져 발진 안정이 된다.
하지만 PSPICE에서 R2의 저항값을 R1의 저항값의 2배로 설정하고 simulation을 돌리니 원하는 출력전압값이 나오지 않았다. R1과 R2의 비를 더 크게 설정(4.5배)하니까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 하였다.
따라서 회로에서는 R1 : 10㏀ R2 : 45㏀을 사용하였다.
Time domain
대략 3ms부터 출력전압값이 증가하여 진동함을 알 수 있다.
FFT plot
발진 주파수 1.1668kHz에서 Loop gain Av = 14.455/15 = 0.963 (대략 1)이 됨을 알 수 있다.
▣ 그림 2와 같이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Wien bridge 발진기를 안정화 할 수 있다. Wien bridge 발진기의 출력을 안정화하는데 다이오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시오.
OP증폭기의 이득이 1보다 클 경우에는 포화로 인한 왜곡 파형을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이득 값을 조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이득이 소신호에서는 1보다 크게, 대신호에서는 1보다 작거나 1에 근사한 값을 가지게 함으로써 신호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데 이 때 다이오드를 이용한 negative feedback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즉 대신호에서는 다이오드 중 하나가 forward bias 됨으로써 feedback 저항과 OP증폭기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반면, 소신호에서의 이득은 다이오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즉 다시말하면, 소신호일때는 다이오드의 저항이 커지고 반전종폭기의 이득이 커져 발진을 하고, 대신호에서는 다이오드의 저항이 작아지고 반전증폭기의 이득이 작아져 발진 안정이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