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경우 각각의 주파수 f를 구하여라.
03) 교류전압 파형에서 주파수 f가 100[㎐], 5[㎑], 20[㎑], 2[㎒], 100[㎒]인 경우 각각의 주기 T를 구하여라.
04) 실험에서 사용한 피크-피크값 전압(VP-P)이 6[V]이고, 주파수가 500[㎐]인 정현파 교류입력전압 vi를 아래의 예와 같은 형태의 식으로 표현하여라.
[예 : 인 경우 교류입력전압의 실효값 Vrms와 피크-피크값 전압 VP-P를 구하여라.
05) 교류전압은 실효값(root mean square value, RMS)이고, 직류전압은 평균값(average value)이다. 교류전압의 실효값과 직류전압의 평균값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교류전압의 실효값 : 시간함수인 교류 전압을 직류로 환산한 값으로서, 순시값의 제곱에 대한 평균값의 평방근을 의미함.
직류전압의 평균값 : 직류전압은 맥류가 없는 파형으로서 순시값, 실효값 등의 개념이 없다. 교류전압의 평균값이 직류전압 값이 된다.
06) 교류입력전압이 인 경우 교류입력전압의 실효값 Vrms와 피크-피크값 전압 VP-P를 구하여라.
07) 실험단계 의 질문과 같이 디지털 멀티미터(DMM)와 오실로스코프(OSC)에 의한 측정전압 결과의 차이가 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디지털 멀티미터(DMM)으로 측정한 결과값은 순전히 DC 혹은 AC 결과값만 측정되지만,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값은 AC를 기본으로 한다. 다시말해, AC 측정에 있어서는 두 결과값 모두 큰 차이가 없지만 DC 측정의 경우 DMM은 순수한 DC만을 출력하고 오실로스코프는 AC 성분이 포함된 DC 파형을 출력하게 되어 그 값에 있어 DMM 측정값과 오실로스코프 측정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08) 실험단계 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확인한 다이오드 동작특성을 간단히 설명하여라.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시에만 스위칭 ON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시에는 스위칭 OFF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즉, 교류 파형의 경우 순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의 파형 위에서는 스위칭 ON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부분의 -파형 부분에서는 스위칭 OFF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09) 다음 실험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스위치 ON 상태인 경우 출력전압은 가 된다. 즉, 입력전압(vi)에서 다이오드 장벽전압 만큼 전압강하가 발생하여 출력전압으로 나타난다. 실험단계 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실험에 사용한 다이오드의 장벽전압(VTh)을 구하여라.
10) 실험시의 특이사항 및 실험에 대한 종합결론을 정리하여라.
처음에 오실로스코프 사용 시에 선 문제인지 기기 문제인지는 확실하게 파악되지는 않았지만 파형이 일그러져서 나타났다. 측정용 probe와 오실로스코프를 아예 다른 것으로 바꾸어서 실험한 결과 이론값과 예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측정 오류인지 VP-P값을 4[V]로 바꾼 뒤 측정한 결과값에서 오실로스코프 파형은 맞게 나왔으나 DMM 값에 있어 무시하기 힘든 오차가 발견되었다.
03) 교류전압 파형에서 주파수 f가 100[㎐], 5[㎑], 20[㎑], 2[㎒], 100[㎒]인 경우 각각의 주기 T를 구하여라.
04) 실험에서 사용한 피크-피크값 전압(VP-P)이 6[V]이고, 주파수가 500[㎐]인 정현파 교류입력전압 vi를 아래의 예와 같은 형태의 식으로 표현하여라.
[예 : 인 경우 교류입력전압의 실효값 Vrms와 피크-피크값 전압 VP-P를 구하여라.
05) 교류전압은 실효값(root mean square value, RMS)이고, 직류전압은 평균값(average value)이다. 교류전압의 실효값과 직류전압의 평균값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교류전압의 실효값 : 시간함수인 교류 전압을 직류로 환산한 값으로서, 순시값의 제곱에 대한 평균값의 평방근을 의미함.
직류전압의 평균값 : 직류전압은 맥류가 없는 파형으로서 순시값, 실효값 등의 개념이 없다. 교류전압의 평균값이 직류전압 값이 된다.
06) 교류입력전압이 인 경우 교류입력전압의 실효값 Vrms와 피크-피크값 전압 VP-P를 구하여라.
07) 실험단계 의 질문과 같이 디지털 멀티미터(DMM)와 오실로스코프(OSC)에 의한 측정전압 결과의 차이가 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디지털 멀티미터(DMM)으로 측정한 결과값은 순전히 DC 혹은 AC 결과값만 측정되지만,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값은 AC를 기본으로 한다. 다시말해, AC 측정에 있어서는 두 결과값 모두 큰 차이가 없지만 DC 측정의 경우 DMM은 순수한 DC만을 출력하고 오실로스코프는 AC 성분이 포함된 DC 파형을 출력하게 되어 그 값에 있어 DMM 측정값과 오실로스코프 측정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08) 실험단계 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확인한 다이오드 동작특성을 간단히 설명하여라.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시에만 스위칭 ON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시에는 스위칭 OFF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즉, 교류 파형의 경우 순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의 파형 위에서는 스위칭 ON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부분의 -파형 부분에서는 스위칭 OFF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09) 다음 실험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스위치 ON 상태인 경우 출력전압은 가 된다. 즉, 입력전압(vi)에서 다이오드 장벽전압 만큼 전압강하가 발생하여 출력전압으로 나타난다. 실험단계 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실험에 사용한 다이오드의 장벽전압(VTh)을 구하여라.
10) 실험시의 특이사항 및 실험에 대한 종합결론을 정리하여라.
처음에 오실로스코프 사용 시에 선 문제인지 기기 문제인지는 확실하게 파악되지는 않았지만 파형이 일그러져서 나타났다. 측정용 probe와 오실로스코프를 아예 다른 것으로 바꾸어서 실험한 결과 이론값과 예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측정 오류인지 VP-P값을 4[V]로 바꾼 뒤 측정한 결과값에서 오실로스코프 파형은 맞게 나왔으나 DMM 값에 있어 무시하기 힘든 오차가 발견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실험보고서) MOSFET 전압 전류 특성 실험 및 시뮬레이션
기계공학실험 진동실험 2자유도 진동계 특성 실험레포트
공진실험 - 전기계에서의 공진 현상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L-C 직렬회로 및 병렬회로에...
실험보고서 - 등가속도 운동 실험 - 실험목적 : 선형 공기부상궤도를 이용한 동가속도 운동 ...
[논리회로실험] encoder decoder 7segment (7세이그먼트) - Encoder, Decoder를 이해하고, 특...
[물리실험] 인장특성 평가실험
전동기제어 실험 07. 단상 변압기의 특성 실험 [결과]
전동기제어 실험 04.직류 분권 발전기의 특성 실험 [예비] - 실험목적, 관련이론, 실험 준비...
전동기제어 실험 03.직류 타여자 발전기의 특성 실험 [결과]
전동기제어 실험 09.단권 변압기의 특성 실험 [예비]
전동기제어 실험 03.직류 타여자 발전기의 특성 실험 [예비]
전동기제어 실험 06.직류 복권 전동기의 특성 실험 [결과]
공학실험 - 자이로스코프[Gyroscope]의 동특성 실험
열공학 실험 - 태양전지 출력 특성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