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참고문헌 (Cb. infarction 환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경색 참고문헌 (Cb. infarction 환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b. infarction 환자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1. 문헌고찰
 1) 뇌경색
  (1) 뇌경색이란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검사
  (6) 치료
 2) 심계항진

본문내용

뇌혈류상태에 대한 추가 정보 를 얻을 수 있다.
- 뇌졸중 원인인 심장성 요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심전도, Holter 모니터검사(24시간 휴대용 심전도 기록장치), 심장효소검사, 심초 음파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6) 치료
비수술요법
약물요법
약물요법
☞혈전용해제(Thrombolytic therapy)
- 혈전용해제는 급성헐혈성 뇌졸중에 사용하며, 뇌색전을 예방하고 뇌동맥 폐색을 완화하여 혈류를 방해하지 않게 한다.
- 정맥용혈전용해제(thrombolysis)인 tissue plasminogen
activator(rt-PA)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로 발병 후 0.9mg을 3시간 이내에 투여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항응고제(Anticoagulants)
-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 치료는 논란이 있지만 의사의 선호도에 따라 이용한다.
- 대표적인 약물로는 Aspirin, heparin, low-molecu-lar weight heparin, warfarin이 있다.
- 혈정용해제 치료 후 다음 단계로 혈관용 항응고제를 일반적으로 처방한다.
- 급성기에는 heparin을 쓰고, 장기간 사용해야 할 때는 warfarin sodium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 TIA나 뇌졸중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특히 sodium heparin을 투여한다.
- PT와 PTT검사는 heparin 치료를 시작할 때, 주입 후 6~8시간 후에, 치료를 받는 동안 매일 아침에 시행한다.
- 치료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PT와 PTT를 정상 수치의 1.5~2배로 유지해야 한다.
☞항혈소판(Antiplatelet)제제
- 혈전 형성의 첫 단계인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괴 형성을 막아주는 약물을 항혈소판제라고 한다.
- 대표적인 약물로 아스피린을 들 수 있다. 이는 재발성 뇌졸중이나 색전성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이용한다.
- 대상자에게 멍이나 혈뇨, 혈변, 점막출혈이 아나타나는지를 모니터하고, 간기능과 응고 기능검사를 모니터한다.
- plavix는 위 자극을 예방하기 위해 음식과 함께 섭취해야 한다.
☞두개내압 하강제
- 두개내압의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삼투성 이뇨제인 mannitol과 steroid 제제인 dexamethasone(Decadron)을 투여한다.
- 출혈 증상이 동반되지 않으면 요소용액(urea solution)을 정맥 내에 주입하기도 한다.
☞수액요법
- 수액요법은 허혈 부위에 충분한 혈량을 공급하여 혈관 내 용량을 증가시키고, 혈액을 희석해 점성도를 떨어뜨려 뇌혈류를 원활하게 해준다.
- 포도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생리식염수를 원칙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허혈 부위에 과도한 포도당이 공급되면 혐기성 대사로 국소적 대사성 산증이 생겨 허혈성 뇌 손상을 악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술요법
동맥내막절제술
동맥내막절제술(endarterectomy)은 일과성 허혈발작(TIA)이나 경동맥협착증을 지닌 대상자의 경동맥 죽종(atherosclerotic plaque)을 제거하여 허혈 부위의 동맥을 개방하고 혈류를 증가시켜 뇌졸중 진행을 막아준다.
두개강 내외 우회술
두개강 내외동맥 우회술(extracranial-intracranial bypass)은 두개절개술을 시행하여 두피의 동맥을 두개 내의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에 연결해 막힌 동맥 주변과 침범된 영역에 혈류를 확보해 주는 방법이다.
동정맥 기형 수술
- 비정상적인 동맥이나 정맥을 폐색하는 수술이다.
- 경동맥이나 대퇴동맥을 이해 색전을 만들고자 하는 동·정맥까지 미세 카테터를 밀어 넣고 백금 코일, 분리 가능한 실리콘 풍선, 액체성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색전성 물질을 주사한다.
- AVM이 크다면 점진적으로 동맥을 폐색하여 AVM주변 뇌조직이 서서히 다른 혈관에서 혈류를 공급받도록 해준다.
- 혈관이 더 이상 확장되는것을 막기 위해 미세수술인 gamma knife로 gamma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여 혈관 내피세포에 딱지를 형성한다.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수술
-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되며 두개절개술을 이용해 뇌동맥류를 수술한다.
- 수술 동안 동맥류에 clip을 적용하거나 동맥류 진입 부위의 출혈을 막기 위해 동맥류 기저부위나 경부를 결찰한다.
- 동맥류에 잘룩한 경부가 없다면 동맥벽을 경화시키고 재출혈을 막기 위해 근육이나 플라스틱 코팅으로 싸준다
① 응급관리
-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의식이 없다면 기도 분비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고개를 옆으로 돌리거나 손상 받은 쪽으로 눕힘
- 셔츠의 단추는 정맥 귀환을 돕기 위하여 느슨히 풀어줌
- 머리는 상승시키나 목을 굴곡시키는 것은 안되며 조용하게 해주고 응급기관에 연 락함
- 응급실 :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면서 산소를 공급함
: 색전을 유발할 수 있는 심실세동과 같은 심장 질환 여부를 사정하고 혈 압을 적절하게 유지함.
② 급성기 관리
- 환자 관리의 목표 : 생명유지, 휴유증의 최소화, 두개내압 감소, 병변의 확대 또는 재발방지
- 혈전용해 치료 환자 :출혈에 대한 감시가 필요
- 모든 환자는 침상 안정 함
- 두개 내압을 낮추고 , 정맥귀환을 돕기 위하여 머리를 30도 정도 상승시킴
- 뇌척수액의 축적으로 인한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일정 기간동안 외부 뇌실 배액을 삽입하기도 함
- 혈압 : 또 다른 뇌졸중이나 출혈 예방 위해 낮게 유지.
- 수분 : 수분 과다와 뇌경색 악화를 피할 수 있도록 주의 깊게 주입.
2) 심계항진
심계항진은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심장이 팔딱거림, 건너뛰는 것 같은 느낌을 말한다.
갑자기 시작되고, 갑자기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흔한원인으로는 심실 조기 수축, 심방세동, 동성빈맥 등 부정맥이다.
심계항진을 촉진시키는 요인에는 불안, 스트레스, 피로와 카페인 및 니코틴 같은 자극제 등이 있다. 운동시 심계항진이 나타날 때 숨이 가빠지고 실신을 하는 지, 혹은 웅크리는 자세에서 숨을 죽이면 증상이 완화 되는지 자세히 질문하여 심계항진의 심각성을 사정한다.
약물 독성도 심계항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투약력을 파악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12.03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5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